② 비틀거리는 축산농가

“올해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가축을 매몰했던 축산농가 대부분이 재입식을 시도하고 있지만, 보상금이 마무리되지 않아 어렵습니다.”

장장길 양돈협회충남도지회장은 6일 충청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구제역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은 도내 축산농가의 회복이 더디기만 하다며 큰 고심을 털어놨다.

장 회장은 “구제역이 발생한 지 반년이 흘렀지만 보상금이 제때 지급되지 않아 사료를 외상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며 “게다가 재입식을 해도 모돈 입식 후 돼지 판매는 1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수익성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아 어려움이 크다”고 푸념했다.

충남도가 지난 4월 3일 홍성을 마지막으로 전 시·군의 이동제한을 해제한지 100여 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축산농가들은 구제역의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폭발적인 구제역 발생으로 많은 가축이 한꺼번에 살처분됐지만, 피해 보상금이 늦어짐에 따라 재입식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도내 구제역 피해 농가 427곳에 대한 보상금 1450억 원 가운데 66%인 950억 원만 지원됐다.

당초 도는 6월 중 피해 보상금 지급을 모두 완료해 축산농가의 회복을 돕는다는 계획이었으나, 6일 현재 피해 보상금 지급은 절반 조금 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 처럼 보상금이 늦어지는 것과 관련 도는 피해 규모가 방대하다 보니 살처분 당시 사육두수 등 농가의 피해 현황을 정확히 분석하지 못해 살처분 보상금의 정확한 액수를 추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또 농림식품부로부터 피해 보상의 세부지침이 5월 중에 내려왔지만, 구제역에 대한 정부의 감사가 6월에 집중돼 보상 업무를 돌볼 여유가 없었다는 게 도의 해명이다.

보상금이 차일피일 늦어지며 가축을 모두 살처분한 농가들의 재입식 현실은 어둡기만 하다.

도 자료에 의하면 지난 5월 30일 현재 도내 전두수 가축살처분 농가 166개소 가운데 재입식을 완료한 농가는 총 70농가로 재입식률이 42%에 머물고 있다.

재입식이 늦어질 경우 농가들의 피해는 그만큼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재입식 후 사육을 통해 다시 시장에 출하하기까지 1년 정도의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내 일부 축산농가는 아예 축산을 접고 오이 등의 작물 재배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구제역으로 인한 축산물 수급불균형도 축산농가의 재입식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구제역으로 상당수의 돼지가 매몰되며 돼지 가격이 치솟는 반면, 이동제한에 걸려 팔지 못한 소들이 일시에 풀려 소 값은 바닥을 치는 등 축산물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시장 여건도 매몰차다.

김충완 한우협회충남도지회장은 “구제역 이동 제한이 풀리며 소가 대량 방출됨에 따라 제 값을 받지 못한다. 사료 값은 치솟고 식당이나 정육점 등 소비 가격은 내리지 않아 어려움이 크다”며 “게다가 FTA까지 발효돼 축산농가의 앞날은 더욱 불확실해 졌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구제역이 폭발적으로 발생하다 보니 사육두수 등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로 살처분했다. 사료 구매 등 역환산을 통해 살처분 보상금을 추정하느라 어려움이 있었다”며 “구제역 감사가 6월에 집중돼 업무를 원활히 추진하지 못했다. 7월 중 모든 보상금 지급을 완료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 중구가 혈세낭비 지적을 받고 있는 사계절스케이트장 존폐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구는 사계절스케이트장의 조속한 철거를 원하지만 조성비용을 지원한 국민체육진흥공단이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중구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국민체육진흥공단 기금지원팀이 사계절스케이트장에 대한 운영실태 점검 등 현장실사를 실시했다.

서대전시민공원에 위치한 사계절스케이트장은 지난해 4월 국민체육진흥공단 기금 3억 5000만 원을 포함, 총 6억 3000만 원을 투입해 조성됐다. 특히 사계절스케이트장은 치밀한 수요조사 없이 개장해 평일에는 이용객이 전무하고, 주말에만 산발적으로 20~50명 가량의 이용객이 방문하는 등 심각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때문에 국민체육진흥공단은 기금의 적정 사용여부와 사계절스케이트장의 운영현황을 점검키 위해 실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중구는 기금 3억 1500만 원 반납을 감수하면서까지 철거 가능성 여부를 타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국민체육진흥공단은 기금 투입 사업은 기본적으로 5년은 존속해야 한다며 철거를 반려해 중구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등 진퇴양난에 빠진 형국이다. 결국 사계절스케이트장은 향후 4년 동안은 이용객의 증감여부와 운영수지 등과 상관없이 존속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중구는 궁여지책으로 이달에 개장한 경기도 김포시의 사계절스케이트장을 방문해 시설환경과 운영상황을 시찰하는 등 벤치마킹 사례를 발굴할 계획이지만 뾰족한 대안을 도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중구 관계자는 “어차피 설치된 시설물이고 향후 4년은 존속될 수밖에 없는 난감한 상황”이라며 “즉각 철거가 불가능한 만큼 시설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지역주민 민원을 최소화하는 등 운영쇄신을 위해 전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