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뜸했던 대전지역 분양시장에 하반기들어 신규물량이 쏟아지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대전지역에는 지난달 LH의 노은3지구 보금자리주택 공급을 시작으로 지난 19일 계룡건설이 같은 노은3지구에 ‘노은 계룡리슈빌Ⅲ’ 분양에 돌입하면서 1300세대의 아파트 신규 공급이 진행됐다.

지역 부동산업계는 2대 1의 청약률을 보였던 LH 보금자리주택의 계약과 견본주택 개관과 동시에 3일간 1만 5000명이 모여들었던 ‘노은 계룡리슈빌Ⅲ’의 청약 등 이들의 성공 여부를 통해 내년 대전지역 부동산시장의 성쇠 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역 부동산업계는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는 LH 보금자리주택 계약의 경우 실수요자 중심의 청약이 이뤄진 만큼 대부분 계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전노은3지구는 지난달 20일 청약접수결과 210%의 높은 청약율을 보여 대전지역 부동산시장이 살아나고 있다는 기대감을 높인 바 있어 이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부동산업계의 관심은 ‘노은 계룡리슈빌Ⅲ’의 청약기간에 쏠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계룡건설이 지난 19일 분양한 노은 계룡리슈빌Ⅲ는 사실상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인 민간분양 물량인 데다 최근 트렌드에 맞춘 다양한 무료 옵션 등의 혜택으로 수요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계룡건설에 따르면 지난 19~21일 주말 3일간 견본주택 내 마련된 상담석에서는 분양상담을 받으려는 예비청약자로 붐비는 등 총 1만 5000여 명의 방문객이 견본주택을 다녀갔다. 이는 노은3지구내 첫 민간분양아파트라는 점과 인근 분양단지보다 저렴한 분양가, 과거 노은지구에 공급한 계룡리슈빌 I, II 성공 분양 경험 등이 수요자들에게 큰 관심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노은 계룡리슈빌Ⅲ가 노은3지구에서는 보기 드물게 단지 삼면이 지족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최상의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고, 분양가도 지난해 분양을 마친 인근의 다른 단지에 비해 세대당 3000만 원 이상 저렴해 예비청약자들에게 큰 메리트로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24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6일까지 진행되는 노은 계룡리슈빌Ⅲ의 청약 결과가 향후 대전지역 부동산 시장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지역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민간분양 물량이 나온 점이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취득세 감면 등 정부 부동산 활성화 대책 이후 분양이 시작되면서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충분한 상황”이라며 “청약 열풍이 불 경우 공급을 꺼리던 민간 건설사들이 내년 상반기 앞다퉈 공급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노은3지구의 성공이 지역 부동산 시장 활성화의 열쇠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전지역 민·관합동 캠페인이 25일 대대적으로 열린다.

대전시와 충청투데이는 이날 오전 7시30분부터 오전 9시까지 대전시 서구 둔산동 경성큰마을 네거리에서 손해보험협회와 대전지방경찰청, 서구청, 시교육청, 도레미교통문화실천시민모임 등 시민단체 4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교통사고 줄이기’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날 캠페인은 운전 중 3대 위험행위(DMB시청, 담배꽁초 투기, 휴대폰사용)와 안전띠 메기, 무단횡단 금지, 교통신호 준수 등을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이번 캠페인은 시민들에게 교통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시민홍보 및 안전시설 강화 등 선진교통문화 확립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를 위해 대전시와 대전지방경찰청, 손해보험협회, 충청투데이 등 4개 기관은 지난 6월 ‘교통안전도시 대전만들기 협약식’을 체결했다.

지난해 대전에서는 총 105명이 교통사고로 인해 소중한 목숨을 잃었고, 올 들어 현재(22일 기준)까지 총 87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사망수치는 전년동기(82명) 대비 6.1%증가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망사고를 유형별로 분석해보면 차 대 사람이 48명, 차 대 차가 23명, 차량 단독이 16명 등으로 나타나 무단 횡단 사고 피해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시와 경찰은 무단 횡단자 등에 대한 계도활동을 강화키로 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모두의 작은 실천으로 교통사고가 줄어들 수 있는 만큼 시민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캠페인에는 대전시, 대전지방경찰청, 대전시교육청, 서구청, 손해보험협회, 충청투데이, 버스운송사업조합, 녹색어머니회, 교통안전공단 중부지역본부, 도로교통공단, 안전생활실천시민협의회, 곰두리봉사회, 모범운전자회(여운회 포함) 등 총 13개 기관 및 시민단체가 참여한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와 무 등 채소류 가격이 급등해 주부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주부교실 대전시지부(회장 송병희)는 최근 대전지역 백화점, 대형마트, 대형슈퍼, 전통시장 등 30곳을 대상으로 생활필수품 54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5개 품목이 인상됐고, 19개 품목은 내렸다. 생필품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배추와 무, 대파 등 김장 채소였다.

지난해 10월 1단(500g)에 1141원이던 대파는 올해 2260원으로 무려 98.1%나 값이 올랐고, 배추(1포기/2㎏)역시 2216원에서 3294원으로 65.5% 급등했다. 무는 지난해 1개((1.5㎏)에 1436원이던 것이 2154원으로 50%나 올랐고 양파(30.3%), 배(23.9%) 등도 가격 상승폭이 컸다. 최근 식품과 생활용품 제조업체들의 연이은 제품 가격 인상에 일부 제품에서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1박스(12개)에 2526원이던 초코파이는 올해 3076원으로 21.8% 가격이 인상됐고, 농심 신라면(120g) 9.3%, 동원참치(150g) 6.9%, 합성세제 CJ 비트(2.7㎏) 17.1%, 주방세제 LG 자연퐁(980㎖) 14.6% 올랐다.

반면 산지 돼지 값이 하락하면서 돼지고기(불고기)는 지난해 100g에 1255원에서 1067원으로 15.0%, 삼겹살도 12.4%가량 떨어졌다. 이어 동태(13.4%), 오징어(9.6%), 부침가루(8.1%) 등도 가격이 내렸다.

목욕료, 학원비 등 개인서비스는 지난해 대비 대부분 품목에서 요금이 올라 20개 품목 중 17개 품목의 요금이 인상됐고 3개 품목은 변동이 없었다.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목욕료로 7.0% 인상됐고, 경유(3.1%), 이용료(남자 커트) 2.5%, 김치찌개(2.4%), LPG요금(2.1%), 사진촬영료(1.8%), 삽겹살(1.6%) 순으로 조사됐다. 파마요금과 세탁요금, 영화관람료 등 3개 품목은 지난해와 동일했다.

주부교실 관계자는 “해마다 급등과 급락을 거듭하는 김장 채소값에 주부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정부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산지 수집싱과 도매상의 경매제도 등 유통구조가 가격변동성을 키워 가격폭등의 큰 원인이 되는 만큼 가격 안정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KAIST가 미래학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미래전략대학원(석사과정)을 세종시에 설치하고 내년 봄학기부터 운영한다. KAIST 미래전략대학원은 불확실성 시대를 대비해 정부·기업이 필요로 하는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전략기획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 설립됐다. 제1기 학생모집은 내달 14일부터 1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받으며, 정원은 25명 이내다.

교과과정은 다양한 과학적 예측방법을 통해 국제적 이슈는 물론 국지적 이슈에 관한 해결방안을 교육할 ‘미래학’ 분야와, 과학기술·경제·국제관계 등에 대한 전략과 각 전략에 따른 세부정책을 상호 연계시킬 수 있는 정형화된 전략도구를 제시하는 ‘미래전략’ 분야로 구성된다.

교수진으로는 프로그램 책임교수인 이광형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를 비롯해 이용훈 교수(전기및전자공학과), 오준호 특훈교수(기계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생명과학과), 정재승 교수(바이오및뇌공학과), 임춘택 교수(원자력및양자공학과) 등 으로 구성됐다. 이광형 미래전략대학원 설립추진위원장은 “선진국형 중장기 국가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전략기획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길러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 10년 충청경제는?

2012. 10. 22. 21:24 from 알짜뉴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이 있듯이 대전과 충남, 충북 등 충청권 경제에도 지난 10년간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대전·충북·충남지역 산업동향 변화상’ 자료에 따르면 2000년 대비 2010년 지역내 총생산은 대전은 14조 83억 원에서 26조 4127억 원으로 88.6%, 충남은 29조 2771억 원에서 76조 3538억 원으로 160.8%, 충북은 19조 8415억 원에서 36조 2332억 원으로 82.6%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액은 대전은 1002만 8000원에서 1748만 2000원으로 74.3%, 충남은 1557만 9000원에서 3678만 6000원으로 136.1%, 충북은 1327만 7000원에서 2381만 2000원으로 79.3% 10년전보다 각각 증가했다. 지역내 사업체 수는 대전이 8만 6862개에서 9만 5650개로 10.2%, 충남은 11만 9149개에서 13만 4317개로 12.7%, 충북은 9만 4736개에서 10만 5756개로 11.6% 각각 10년전보다 증가를 보였다.

2011년 기준 산업생산지수는 대전 120.4, 충남 232.6, 충북 161.5로 10년전인 2001년보다 대전은 41.3%, 충남은 357%, 충북은 100.1% 각각 증가했다.

주택의 종류 가운데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전의 경우 10년전보다 10.5%p 증가한 70.2%, 충남은 17.0%p 증가한 47.9%, 충북은 11.5%p 증가한 53.9%로 각각 아파트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대전의 경우 10년전 41만 7382대에서 58만 4435대로 40%, 충남은 52만 7522대에서 86만 8688대로 64.7%, 충북은 42만 2129대에서 64만 0303대로 51.7% 각각 증가했다.

한편 각 지역별 재정자립도(2012년 기준)는 대전의 경우 2002년 평균(73.6%)보다 15.3%p 감소한 58.2%를 보였고, 충남은 2002년 평균(28.4%)보다 7.1%p 증가한 35.5%, 충북은 2002년 평균(32.9%)보다 1.3%p 증가한 34.2%를 기록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