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의 확산으로 학교 휴업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학원과 어린이집 등의 휴원도 잇따르고 있다.

휴업과 휴원이 잇따르면서 학원과 학부모들 사이에 환불 기준을 놓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신종플루 학원, 어린이집 휴원

신종플루 확산으로 학원과 어린이집들도 휴원을 선택하고 있다. 청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신종플루로 인해 청주에서 휴원한 학원은 10월 말을 기준으로 총 19곳.

휴원 학원은 지난 9월부터 생기기 시작해 신종플루가 급격히 확산됐던 10월 마지막주 한 번에 12개 학원이 휴원하면서 급격히 늘었다.

신종플루의 사각지대로 분류됐던 학원가에도 이제 본격적으로 신종플루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어린이집의 경우에도 9월을 기준으로 3곳이었던 휴원 어린이집이 10월에는 11곳으로 늘었고 지난 10일 기준으로는 15곳으로 또다시 늘었다.

청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신종플루가 확산되면서 학원과 어린이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11월 첫째 주 휴원 학원 숫자가 아직 파악되지는 않았지만 10월 말 기준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환불 기준 논란

학원과 어린이집 휴원이 이어지면서 학원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환불 기준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5세 아들을 둔 A 씨는 아들이 다니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일주일간 휴원한다는 통지를 받고 어린이집에 환불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어린이집 원장은 “한 주간 원비를 늦춰줄 수는 있지만 환불은 어렵도 그래도 환불을 원한다면 아이 어린이집을 퇴소시켰다가 신종플루 위험이 사라지면 다시 보내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학부모들은 신종플루로 부득이하게 휴원을 하더라도 수업 부족분에 대해서 만큼은 환불을 해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학원과 어린이집은 최근 보건복지가족부의 “한 달 동안 열흘 이상 출석을 한 원생의 경우 환불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지침에 따라 환불 자체를 난감해 하고 있는 실정이다.

A 씨는 “사립이 아닌 국·공립 어린이집의 경우에는 입학하기 위해 몇 달씩 기다릴 정도로 경쟁률이 세기 때문에 아이를 퇴소시켰다가 다시 보내라는 것은 어린이집을 그만두라는 뜻이나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원비를 늦추거나 못한 수업을 추후에 대체하는 방법 등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전국농민회총연맹 충북도연맹 소속 농민들이 11일 쌀 생산비 보장을 요구하며 충북도청 정문에 조곡 40㎏ 포대를 쌓고 야적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충북지역 농민들이 뿔났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충북도연맹(의장 이상찬)은 11일 충북도청 앞에서 농민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0㎏짜리 벼 2500포대를 쌓아놓고 쌀 생산비 보장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지난해 5만 7000원에 거래되던 조곡 40㎏ 한포대가 올해에는 5만 원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이처럼 쌀로 인한 농가소득의 20%가 줄어들고 있지만 정부는 보장해 줄 것이니 걱정하지 말라고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올 초 쌀값대란이 예상되면서 농민들은 줄곧 인도적 차원의 대북 쌀 지원을 재개해 쌀값을 보장하라고 요구해왔다”며 “하지만 정부는 멍든 농심을 달래기는커녕 다시 한번 농민들의 가슴을 울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쌀 대란을 예상한 농민들은 충북도에 보다 구체적인 대책을 요구했지만 충북도는 종자지원의 명목으로 40억 원을 책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며 “충북도는 이런 생색내기 지원책이 아닌 농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올해 충북도 농가소득은 600억 원 가량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며 “충북도는 200억 원 이상의 쌀 소득 안정기금 조성을 비롯한 장기적 지원으로 안정적 농가소득을 보장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피력했다. 박한진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의 내년 한 해 살림살이 예산이 올해 당초 예산 보다 5.5% 증가한 3조 20억 원(기금포함)으로 잠정 확정됐다.

회계별로는 일반회계가 올해 보다 11.2% 증가한 2조 4722억 8700만 원, 특별회계 3658억 900만 원 등이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지방세 4949억 원, 지방소비세 1015억 원 등 5964억 원으로 추계됐고 세외수입은 올해 보다 27.4% 줄어든 1092억 원으로 계상됐다.

지방교부세는 올해 당초 예산액 보다 5.4% 감소한 4049억 원으로, 국고보조금 등 중앙지원 사업비는 올해 보다 16.9% 증가한 1조 2781억 원으로 조정됐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가로림만조력발전소 건립에 대해 지역민들이 사이에서 찬·반으로 나눠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가로림만 공유수면기본계획을 승인함에 따라 논란도 가열될 전망이다.

11일 가로림조력발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학계와 연구기관 전문가, 환경단체 등 19명으로 구성된 중앙연안관리심의회를 열고, 가로림조력발전㈜가 신청한 서산시 일대 34만 3170㎡의 에너지시설용지 공유수면 매립계획을 승인했다.

국토해양부는 심의회에 앞서 지난 5월부터 5개월간 관련 부처와 해당 지자체, 지방의회와 의견협의를 실시했으며 해당지역에 대한 현지실사와 사전 환경성 검토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의견도 수렴했다.

가로림조력발전은 발전소 건설계획이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됨에 따라 보상대책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보상약정이 체결되는 대로 어업피해조사를 실시하고 환경영향평가 등의 일정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해당 지역민과 환경단체 등이 가로림만조력발전소 절대 불가를 외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사업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서현교 사장은 "5개월간 전문가의 현장실사를 거쳐 이뤄진 것으로 조력발전소 건설이 가로림만 생태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가로림만조력발전소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고로 떠오를 것"이라 말했다.

한편 한국서부발전㈜는 오는 2012년까지 1조 원을 들여 서산시 대산읍 오지리~태안군 이원면 내리까지 방조제를 막아 조류를 이용해 발전기를 돌려 520㎿의 발전설비를 갖추고, 연간 발전량 950GWh를 생산하기 위해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서산=박계교 기자

antisof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호떡 한 개가 700원이라고요?”

최근 동네 포장마차에 들른 고등학생 최 모(17·대전 유성구 신성동) 군은 호떡 가격에 어리둥절했다.

최 군은 “올해 초만해도 500원이던 호떡값이 1년도 안 돼 어떻게 200원이나 오를 수 있냐”며 애꿎은 포장마차 주인만 들볶았다.

가게 주인은 식용유 등 재료값이 1년 새 많이 올랐다고 해명했다.

혹시나 했던 최 군은 인근의 다른 포장마차도 확인해 봤으나 가격은 비슷했다.

서민들의 입을 저렴한 가격에 즐겁게 해주던 이른바 ‘길거리표 음식’이 ‘부담스러운(?) 음식’으로 변하고 있다.

1000원 한 장으로도 겨울철 배를 쉽게 채울 수 있었던 붕어빵, 호떡, 어묵꼬치 등 길거리표 음식들의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면서 ‘서민간식’이라는 꼬리표가 떨어져나가고 있는 것.

최근 대전지역에서 판매되는 붕어빵의 가격은 3개에 1000원으로 지난해보다 1개가 줄었다.

1000원에 2개였던 호떡마저 600~700원으로 올랐다.

붕어빵과 호떡 외에 어묵꼬치와 떡볶이, 순대 등의 가격도 뛰었다.

올 초만해도 개당 300원이던 어묵꼬치의 가격은 400~500원에 판매되는 추세로, 어묵꼬치와 국물의 재료에 따라 600~700원짜리도 있다.

떡볶이 역시 길이가 예전의 3분의 2로 작아지거나, 굵기가 가늘어졌다.

이는 식용유, 조미료, 고추장, LP가스 등 원부자재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인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11일 한국물가협회 대전충남지회와 한국석유공사 등에 따르면 포장마차 등에서 사용되는 고추장, 조미료, LP가스 등의 가격이 전년보다 5~20% 정도 인상됐다.

식용유 1.5ℓ의 가격은 이날 현재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50원(19.5%) 올라간 5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혼합조미료(쇠고기 다시다 500g)의 가격도 전년 동기 대비 700원(12.4%) 뛴 6350원에 팔리고 있고, 소금(12.4%)과 고추장(5.9%) 등의 재료값도 지난해보다 비싸졌다.

조리에 필요한 LP가스 역시 지난 7월 대전지역에서 1㎏당 1440원에 거래되던 게 지난주 현재 199.29원(13.8%) 뛰어 오른 1639.29원에 거래됐다.

서구 월평동 계룡건설 인근에서 떡볶이 집을 운영하는 한 사장은 “음식 재료비도 올랐는데 연료비까지 자꾸 오르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며 “저렴한 가격에 그나마 간편한 군것질 거리로 여겨지는 떡볶이마저 비싸지면 손님들이 사먹기나 할지 걱정”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어 “지난달 10㎏짜리 가스가 1만 6000원 정도였는데 한 달 새 1000원이 뛰었다”며 “올 겨울 연료 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소식까지 들려 환장하겠다”고 덧붙였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