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지만 대전, 충북지역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충남지역 미분양 주택은 건설사들이 내달 11일 끝나는 양도세 면제 혜택 이전에 분양을 마치려고 공급물량을 쏟아내 492가구 늘어났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11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12만 2542가구로 전월(12437가구) 대비 2105가구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증가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지난 3월 16만 5641가구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8개월만에 처음이다.

지방은 9만 9677가구로 전월(10만589가구) 대비 912가구가 감소했다.

대전 역시 지난해 11월 말 2776가구로 전 달(2928가구) 대비 5.2% 감소했다.

대전 미분양 주택 수는 지난해 2월 말 3676가구였으나 3월 말 3360가구, 4월 말 3169가구, 5월 말 3012가구로 3개월 연속 감소하며 3012가구까지 줄었다.

이어 같은해 6월에는 3696가구로 고점을 기록한 뒤 7월 3428가구, 8월 3150가구, 9월 3300가구로 오르락내리락 현상을 보이다 10월 말에 3000가구 밑으로 급감했다.

충북도 지난해 11월 말 5351가구로 전 월(5425가구) 대비 1.4%(74가구)가 감소했다.

지난해 충북지역 미분양 주택 월별 현황을 보면 3월 8087가구로 가장 많은 미분양 주택 수를 기록한 뒤 4월 7403가구, 5월 6812가구, 6월 6262가구, 7월 6245가구, 8월 6027가구, 9월 5568가구로 매월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충남은 1만 4148가구로 전 월 대비 3.6%(492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충남의 미분양 주택 수는 1월 1만 6349가구, 2월 1만 6926가구, 3월 1만 8251가구로 최고점을 찍은 뒤 4월 1만 7939가구, 5월 1만 7229가구, 6월 1만 6063가구, 7월 1만 6342가구, 8월 1만 4595가구, 9월 1만 4195가구로 감소세를 보였다.

박길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해가 바뀌어 대전 시민들은 올 한해 집을 마련해야 하는지를 놓고 고민을 하고 있다. 당초 예상과 달리, 지난해 대전지역 분양시장은 괜찮은 편이었다.

올해도 서구, 유성구 등 입지여건이 좋은 지역에 물량이 많아 한번 분양을 받아 볼만하다.

지난해 대전지역 주택분양 시장을 한번 되돌아보고 올 분양되는 곳을 알아본다.


[2009년 주택분양시장]

2009년 대전지역 주택분양시장은 택지개발지구에 들어설 신규 아파트가 잇따라 분양돼 분양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았다.

대체적으로 평가해보면 지난 한 해 아파트 분양시장은 그다지 나쁘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분양시장이 좋은 결과를 낸 이유는 양도소득세 면제혜택과 택지지구 분양물량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총 1만 1886가구의 신규물량이 쏟아졌다.

또 도안지구 1블록(1668가구)과 도안지구 4블록(1216가구), 도안지구 10블록(1647가구) 등 대단지 국민임대아파트도 공급돼 공급물량이 늘었다.

지난해 분양시장의 특징중인 하나로 입지별·평형별 청약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경기의 불확실성으로 인해서 택지지구 위주로 청약자들이 3순위 신청접수 때 대거 몰렸다.

미분양수치만 하더라도 지난해 초만 하더라도 3676가구였만 같은해 11월 현재 미분양 가구수는 2837가구로 올 초에 비해 가구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전세시장은 입주물량이 대폭 줄어들면서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전세난이 가중됐다.

더욱이 전세금마저 상승폭을 확대해 지난해 11월 전세금은 2008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108.5%까지 올랐다.

[2010년 주택분양시장]

경인년(庚寅年) 새해 아파트 공급 물량은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나기 때문에 청약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서구, 유성구 등 입지여건이 좋은 지역에 물량이 많은 게 특징이다.

따라서 새해에도 도심에서 비교적 거리가 가깝고 자족기능을 제대로 갖춘 택지개발지구가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거 물량을 쏟아냈던 도안신도시 분양은 2010년에도 이어진다.

대전시가 2010년 주택(아파트, 임대, 도시형생활주택) 공급물량을 조사한 결과 총 1만 8338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만 1886가구보다 무려 54.2% 급증한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동구 3579가구, 중구 1034가구, 서구 4977가구, 유성구 7796가구, 대덕구 952가구 등으로, 택지개발이 한창이 서구와 유성구의 공급물량이 다른 구보다 많다.

주요 공급물량을 보면 △낭월동 e-편한세상 713가구 △관저4지구 2071가구 △도안지구 15블록 1053가구 △도안지구 18블록 1227가구 △도안지구 7블록 1102가구 △학하지구 3블록 600가구 △학하지구 5블록 360가구 △학하지구 6블록 587가구 △대덕구 석봉동 금강엑슬루타워 754가구 등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아파트 공급도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는 오는 3월 동구 성남 1동 189번지 구성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 1115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며, 10월에중구 선화1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 임대 64가구, 분양 601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전환 고시된 노은3지구에도 신규물량이 공급된다.

LH 대전충남지역본부는 노은 3지구 10개 단지 가운데 국민임대 단지 중 하나인 A-4에 국민임대아파트 624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새해 아파트 입주물량는 지난해 2373가구보다 크게 증가한 1만 910가구로, 동구 1673가구, 중구 693가구, 서구 1593가구, 유성구 6753가구, 대덕구 198가구 등이다.

올해 7개 단지 2373가구에 그친 입주 아파트가 새해 크게 늘어 전세난에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보인다. 박길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ICL)가 올 2학기부터 시행된다.

둘째 자녀 이상 가구에 무상보육 및 교육이 확대되며 저소득·저신용자를 위한 미소금융(무담보 무보증 소액대출)이 활성화 된다.

기획재정부는 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에 달라지는 국민생활'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 1학기부터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를 시행하려고 했으나 법안 처리가 불발됨에 따라 올 상반기에 관련법을 국회에 통과시켜 2학기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그러나 고소득 계층인 8~10분위 가정의 학생은 현행대로 학자금 대출을 받는 경우, 학기 중에도 이자를 갚아야 한다.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는 7분위 이하 가정의 C학점 이상 대학생에게 등록금 전액을 대출하고 취업 후 일정 소득 발생 시점부터 원금 및 이자를 상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둘째아 무상보육도 확대된다. 둘째아에 대한 보육.교육비 전액 지원 대상이 영유아 가구의 소득 하위 60% 이하에서 70% 이하 가구까지 확대된다.

이를 적용하면 1인당 최대 월 27만 원의 추가 혜택이 주어진다.

보육료 지원 대상 선정시 맞벌이 가구의 소득기준을 부부합산소득 498만 원으로 낮추고 저소득 맞벌이·한부모 가구에 대해 영아 전담 가정 돌봄 서비스가 지원된다.

미소금융은 오는 5월까지 전국에 20~30개 지역법인을 설립해 사업을 개시하고 6월부터 단계적으로 200~300개까지 확대된다. 서울=김종원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폭설과 한파로 연일 출퇴근길이 몸살을 앓는 가운데 급기야 철도 기관에 협박 전화를 하는 일까지 발행했다.

코레일과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따르면 6일 오전 8시10분께 수도권에 거주하는 직장인 A(35) 씨가 “지하철 1호선 전체를 폭파시켜 버리겠다”며 대전에 위치한 코레일 콜센터로 협박 전화를 걸었다가 경찰에 붙잡혔다.

A 씨는 이날 오전 기다리던 지하철이 폭설과 한파 등으로 지연되자 화를 참지 못하고 코레일 콜센터에 전화했다가 A 씨의 휴대전화를 추적한 경찰에 검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이날 오전 5시께 천안행 청량리발 전철이 추위로 출입문이 얼어붙어 열차가 10~20분간 지연되는 등 큰 불편을 겪었다.

코레일 관계자는 “서울 등 중부권에 몰아닥친 한파로 열차가 지연되면서 대전에 위치한 코레일 콜센터로 민원성 전화가 이어지고 있다”며 “시민불편을 감안할 때 하루 빨리 열차 운행이 정상화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신지체 장애인 최모(49·대전 거주) 씨는 지난해 초 20대 남자 유모 씨 등로부터 취직시켜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솔깃한 제안을 받았다.

하늘이 준 기회로 여기며 유 씨의 제안을 선뜻 받아들인 최 씨는 이후 모 회사에 직원으로 등록됐고, 직장의료보험증도 받아 겉으론 어엿한 직장인이 됐다.

그러나 유 씨 일당이 본색을 드러낸 건 바로 이때부터다.

유 씨 등은 정신지체 장애인인 최 씨를 이리저리 데리고 다니며 이미 확보한 재직증명서와 직장의료보험증을 이용해 수천만 원대인 고급 중형차량을 할부 구입하게 한 후 차량만 챙기고 할부금은 그대로 떠넘겼다.

최 씨는 자신이 취업한 회사가 유령회사로 유 씨 일당의 덫에 빠졌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이미 수천만 원 대 할부금만 두 손에 남았다.

취업과 대출을 미끼로 장애인과 노숙자들로부터 고급 차량 및 휴대전화를 구입하게 한 뒤 속칭 ‘대포’로 되팔아 거액을 편취한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다.

충남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장애인과 노숙자 명의로 속칭 대포폰과 대포차를 판매한 혐의(사기)로 유모(28) 씨 등 3명을 구속하고 정모(35) 씨 등 1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유 씨 일당은 지난 2008년 9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장애인 최모(49) 씨 등에게 취직을 시켜주겠다고 접근해 최 씨 명의로 고급차량을 할부로 구입하도록 한 뒤 이를 대포차로 되파는 수법으로 피해자 2명으로부터 7000여만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또 노숙자 주모(34) 씨의 명의로 개통시킨 핸드폰을 20만 원을 주고 대포폰으로 판매하는 등 53명의 이름을 빌려 핸드폰 960여 대를 개통한 뒤 대포폰으로 되팔아 10억여 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