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의 기쁨은 단 3일 뿐이었다.

대전시티즌이 지난 11일 상주전에서 6연패 뒤 꿀맛 같은 승리의 기쁨을 뒤로한 채, 또다시 패배의 고배를 마셨다.

대전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2' 8라운드 성남일화와의 경기에서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0-1로 패했다.

1승 7패(승점 3). 여전히 최하위다. 이날 대전은 경기 시작과 함께 김형범과 남궁도를 앞세워 골문을 위협하는 등 성남을 몰아붙였다.

유상철 감독의 지략대로 김형범의 세트피스와 빠른 역습으로 기회를 만들었다.

그러나 소용없었다.

오히려 성남의 공세를 막지 못하며 곧바로 궁지에 몰렸다.

급기야 전반 종료를 앞둔 44분 정경호의 실책성 수비로 성남에게 선제골을 내줬다. 다행히 추가시간 성남 김성환이 경고누적으로 퇴장 당한 게 후반을 기대케 했다.

동점골을 바랐던 후반, 대전은 수적 우세를 앞세워 바바 대신 지경득을 투입해 동점골을 노렸지만 별다른 위력을 발휘하진 못했다. 결국 대전은 0-1로 패했다.

대전의 유효슈팅 수는 슈팅수 11개 중 겨우 1개. 득점권 찬스에서 번번이 기회를 날리며 골경정력 부재의 심각한 문제점을 또다시 드러냈다.

특히 기대를 모았던 케빈 등 용병의 지속적인 부진은 구단 및 지역 팬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줬다.

케빈은 결정적 기회에서 상대에게 ‘커트’ 당하기 일쑤였고, 레오 역시 볼을 오래 끄는 탓에 경기의 맥이 끊기는 부작용을 낳았다. 또 바바는 조용했다. 더욱이 최근 상승세를 보였던 남궁도가 부상을 당하면서 대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어느덧 주전에서 대체 활용 선수로 강등된 케빈이 이미 상당 부분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유 감독이 풀어내야 할 과제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젠 유 감독의 진정한 지도력이 필요할 때라는 게 지역 축구관계자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결국 작은 승리에 ‘웃고’, 완패에 ‘우는’ 소심한 지도자의 모습은 ‘볼썽’ 사나운 단계까지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제 패배 후 ‘핑계’가 질린다는 지역 팬들의 목소리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유 감독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첫 승을 따내며 분위기가 올라왔는데 쉽게 골이 안 나서 참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 동구 신안동 쪽방에서 홀로 지내고 있는 A(71) 씨는 최근 공동모금회에서 긴급지원 생계비를 지원받았다. A 씨는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 기초노령연금을 포함해 25만 원을 지원받고 있지만, 쪽방 월세로 15만 원을 내면 10만 원으로 한 달을 살아야 한다. A 씨는 “자식이 있지만, 경제가 어려워 본인 살기도 바쁜 자식한테 도움을 청하는 것 자체가 미안하다”고 말했다.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실직, 폐업 등 생활유지가 어려운 위기가정이 급증하고 있다.

위기가정에 대한 대전공동모금회 등의 생계비와 의료비 지원이 잇따르고 있고 올 한 해가 아직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지만, 모금회의 한 해 생계비 지원 예산은 이미 기준점을 넘어섰다.

대전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실직 등에 따른 생계곤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저소득 가정이 모금회에 생계비와 의료비 등을 신청한 건수는 717건으로 지원금액만 9억 1000여만 원에 이른다.

의료비가 552건에 8억 2000여만 원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고 생계비가 162건에 7900여만 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 긴급재해복구비로 3건에 300만 원이 지원됐다. 위기가정에 대한 생계비 등의 지원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특히 모금회의 올 한 해 생계비 지원 예산은 이미 기준점을 넘어 위기가정 급증세가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모금회의 생계비 등 위기가정 긴급지원 예산은 한 해 10억 원.

지난해의 경우 한 해 동안 10억 원 가운데 9억 1000여만 원을 소진했지만, 올해는 최근까지 이미 6억 7000여만 원을 소진했다.

올해가 아직 4개월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는 지난해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가정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로라면 올해가 다 가기도 전에 예산이 소진될 수 있다는 게 모금회 관계자의 설명이다.

올해의 경우 지난해와 비교해 한창 일을 해야 할 20~30대 젊은 층의 생계비 신청과 지원이 늘어나 전반적인 실업률 상승 속에서 젊은 층의 취업과 고용불안 등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모금회 관계자는 “생계비와 의료비 지원 신청이 잇따르고 있고 특히 올해 들어 실직으로 갑자기 소득원이 없어졌다거나 돈이 없어 아픈데도 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저소득 가정의 자금지원 신청이 눈에 띄게 늘었다”며 “특히 한창 활동해야 할 20~30대 젊은 층의 생계비 신청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