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젖줄인 갑천이 수상레저스포츠의 명소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특히 대전시는 내년으로 예정된 '2012 대전세계조리사대회' 및 '푸드&와인 페스티벌' 등 국제 행사를 통해 갑천을 전 세계에 알리고, 수상전용 레저스포츠 시설을 조성, 이 일대를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1일 오전 시청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성공한 도시의 공통점 중 하나가 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도시”라며 “문화·예술과 스포츠를 포함, 갑천에 새로 만들어지는 수상 레저시설 등의 인프라를 통해 시민들이 대전에서 사는 게 정말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에 따라 갑천 호수공원 일대에 수상레저스포츠 시설을 확충, 시민들에게 새로운 즐길거리를 제공키로 하고, 둔산대교 아래 둔치 및 수상에 레저스포츠 계류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시설물로는 바지선과 클럽하우스, 전압시설, 이동통로, 야외대기소, 관리동 등으로 이를 위해 우선 14억 원의 예산을 편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덕대교~엑스포교~둔산대교~라바보까지 총연장 1690m 길이의 갑천 호수공원은 폭 160m, 수심 2.3m로 일산호수공원의 2.6배에 달하며, 시는 이곳에 시민들을 위한 수상레저스포츠 시설을 설치, 전지 훈련장소 및 국제적 규모의 대회장소로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실제 용선과 레저카약, 페달보트, 래프팅 등의 레저 분야와 함께 조정, 카누, 요트 등 전문체육 분야까지 이용을 확대하고, 운영은 시 체육회가 위탁 관리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과 하천점용 협의를 진행 중이며, 계약심사 등 행정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한 뒤 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내년에 열릴 2012 대전세계조리사대회 및 푸드&와인축제를 위해 대전을 방문하게 될 내·외국인들에게 갑천의 아름다움을 보여줘 이 일대를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발전시키겠다”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공주 수촌리 유적에서 백제시대 고분 4기가 추가로 확인됐다. 수촌리 유적은 지난 2003~2004년 발굴조사 결과 4~5세기 때 백제유물이 다량 발견되면서 무령왕릉 이후 최대 백제고분 발굴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2004년 이후 7년 만에 수촌리 유적을 조사한 결과 백제시대 고분 4기를 비롯해 청동기시대 구덩이 5기, 초기 삼국시대 구덩이 9기, 기타 시대 미상 석곽묘 1기를 포함한 총 23기에 이르는 유구를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또한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울 만큼 부식이 많이 진행된 금동신발 한쌍과 자루 혹은 칼집을 옻칠한 도자(刀子·작은 쇠칼), 그리고 각종 토기류가 수습됐다. 백제시대 토기로는 대호(큰항아리), 광구호(입벌린 항아리), 광구장경호(아가리가 넓고 목이 긴 항아리), 단경호(목짧은 항아리), 단경소호(작은 목짧은 항아리), 고배(굽다리접시) 등이 확인됐고, 말 재갈, 등자(안장 발걸이), 관정(관못), 꺾쇠, 허리띠 버클, 곡옥, 토제 방추차, 돌화살촉 등도 발견됐다.

또 인근 공주 장선리 유적에서는 토실(토담집)과 유사한 구덩이 유적 9군데도 확인됐다.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이달 대전·충남지역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어두울 것으로 전망됐다.

1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충남지역 자금사정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달 기업들의 자금사정전망BSI는 제조업이 95, 비제조업은 80으로 지난 10월보다 각각 2p, 3p 하락했다.

외부자금수요전망BSI는 제조업(10월 116→11월 117)과 비제조업(118→119)이 매출감소와 차입금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등의 이유로 각각 1p 상승했다.

자금조달사정전망BSI는 제조업(10월 94→11월 95)이 내부자금조달 증가 및 대출한도 증가 등으로 전월보다 1p 상승했지만 비제조업(89→89)은 전월과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BSI가 기준치인 100 이상인 경우에는 긍정응답 업체수가 부정응답 업체수보다 많음을, 100 이하인 경우에는 그 반대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대전·충남 중소제조업체들도 이달 경기를 어둡게 전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지역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지역 138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11월 업황전망 건강도지수(SBHI)는 95.8로 전월(98.8)보다 3.0포인트 하락했다.

SBHI가 100 이상이면 내달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대전 업체(50개)는 전월(102.0)보다 8.2포인트 하락한 93.8을, 충남 업체(88개)는 전월(96.9)보다는 0.1포인트 상승한 97.0을 각각 기록했다.

한편 지난달 중 지역 중소제조업체들의 최대 경영애로(복수응답)사항은 ‘원자재 가격상승(51.6%)’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고 이어 ‘내수 부진(46.8%)’과 ‘인력 확보난(38.1%)’, ‘인건비 상승(35.7%)’, ‘업체간 과당경쟁(31.7%)’, ‘환율 불안정(23.0%)’, ‘제품단가 하락(18.3%)’, ‘물류비 상승 및 운송난(1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 소비자물가가 10월 기준 전년 동기대비 4.5% 상승한 가운데 최근 3년 동안 동결됐던 도내 상·하수도 요금 인상도 검토되고 있어 서민 가계의 그림자가 짙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 충남도에 따르면 최근 물가와 유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반면 도내 상·하수도 요금이 3년간 동결되며 생산원가 대비 평균단가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각 시·군의 부담이 가중돼 왔다.

실제로 지난 2008~2010년간 도내 상수도 요금의 생산원가는 지속적으로 올랐으나 주민들이 내야하는 평균단가는 제자리걸음을 보였다.

2008년의 경우 수돗물 1㎥(1000ℓ)를 만들기 위해 소요되는 생산원가는 967원인 반면 평균단가는 719원만 반영됐다.

2009년에는 생산원가가 1028원으로 6.3% 증가했으나 평균단가는 714원으로 0.6% 감소했고 2010년에는 생산원가가 1031원인 반면 평균단가는 722원에 머물렀다.

최근 3년간을 종합해 보면 생산원가 대비 가격 반영률은 평균 71%에 그치며 지속적인 적자를 면치 못했다.

하수도 요금 반영률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 하수도 1㎥를 정화하기 위한 처리 원가가 1065원인 반면 평균단가는 원가대비 26.3%인 280원에 그쳤다.

2009년은 처리 원가가 1166원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했지만 평균단가는 270원으로 오히려 3.5% 감소했다.

2010년에는 처리원가가 1245원 이었으나 평균단가는 265원에 머물며 지속적인 하향세를 보였다.

이처럼 지속적인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물가 상승 압박과 맞물려 내년에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요금 인상 분위기가 확산됨에 따라 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상·하수도 사업을 수익목적이 아닌 공공재 성격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지속적인 적자를 감내하기는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이미 일부 시·군에서는 상·하수도 요금과 관련 인상 검토안을 보내왔다”며 “상·하수도 요금을 올리면 도민들의 부담이 높아지는 게 사실이지만, 인상 압박 요인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경찰이 조폭과의 전쟁을 선언한 지 일주일 만에 전국에서 200여 명을 검거한 반면, 대전과 충남의 경우 4명에 그치는 등 다소 초라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야심차게 출발한 특별단속이 민생치안 안정이란 본래 취지는 퇴색한 채 과도한 실적주의식 경쟁으로 매몰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경찰청은 지난달 21일 인천 장례식장에서 난동을 부린 조폭에게 미온적인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은 뒤 올 연말까지 2개월 간을 조직폭력 특별단속 기간으로 설정, 대대적인 소탕 작전을 진행 중이다.

그 결과 경찰은 지난달 말까지 전국에서 220명의 조폭을 검거해 51명을 구속하는 ‘전과(戰果)’를 거뒀다고 발표했다.

이 기간 중 경남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지난달 31일 창원시 상남동 일대를 장악한 지역 3개 연합폭력조직원 93명을 검거하면서 조현오 경찰청장이 유공자 특진과 표창을 수여하기도 했다.

반면 대전경찰은 특별단속 기간 중 폭력 등의 혐의로 벌금형 처분이 내려진 수배자 3명을 검거하는 데 그쳤다. 충남 역시 아산에서 유흥업소 불법영업 등으로 수배 중이던 1명을 붙잡는 등 대전과 충남경찰을 통틀어 수배자 4명을 검거한 것이 전부다.

이 같은 이유에 대해 경찰은 대전과 충남지역은 타 지방에 비해 이권에 얽혀 조직 간 대립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거의 없고, 최근 특별단속 시행에 따라 이렇다 할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게다가 조폭수사의 특성상 조직 간 움직임 등 동향파악부터 불법행위 입증까지 상당기간 시일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단 기간 내 검거가 어렵다는 게 경찰 측의 설명이다.

때문에 조폭과의 전쟁을 선포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 성과가 대대적으로 발표되면서 지나친 실적 경쟁을 부추기거나, 보여주기식 실적 포장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일선서 형사들은 “지역적 특성상 조폭활동도 거의 없는데 특진까지 내걸며 무조건 잡으라는 식의 경쟁은 문제가 있다”면서 “실적을 내세워 지방청 간 줄을 세우게 되면 대부분 형사들이 조폭수사에만 매달리고, 결국 실질적인 민생치안이나 범인 검거에는 소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