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나라당 대전시당에서 27일 열린 ‘공천제도개혁 공청회’에서 나경원 공천개혁특위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한나라당 대전시당 제공 | ||
나경원 공천개혁특위 위원장과 박준선 위원 등 위원들은 지난 25일 공천개혁안을 공개한 후, 이날 개혁안을 그대로 들고 한나라당 대전시당에서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세부적으로 공개한 개혁안의 핵심은 상향식 공천이다. 경선은 당원과 국민이 50대 50(대의원 20%, 일반당원 30%, 일반국민 30%, 여론조사 20%)이 참여해 치러진다.
또 2012년 총선에 출마할 후보의 공천을 선거일 3개월 전에 완료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공천심사위원회는 선거 6개월 전부터 운영된다.
또 과거 당 실세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점수화된 객관적인 심사 기준을 만들어 현역을 포함한 모든 후보들에게 적용한다. 일정 점수를 받지 못한 후보는 공심위 심의에서 제외된다. 이 밖에 경선에 참여하는 후보는 3명 이내로 제한하고 공정성을 위해 경선은 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해 진행한다.
나경원 위원장은 “당이 변화하지 않으면 총선에서 승리 못하고, 이어지는 대선 승리도 없다”면서 “정당 민주주의의 취지에 맞게 밀실공천이 아닌, 국민과 당원에게 공천권을 돌려주자는 것이 개혁안의 가장 큰 틀”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선 “의도는 좋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패널로 참석한 나경수 대전서을 당협위원장은 “예비 후보자 등록은 선거 120일 전부터 할 수 있다”며 “개혁안대로 경선 3개월 전에 후보를 확정한다면, 신인 정치인은 선거 운동을 할 시간이 없다는 계산이 나온다”고 말했다.
정연정 배재대 교수는 “경선이 민주적이고 바람직하지만, 과연 우리나라 정당 환경에서 볼 때 경선이 얼마나 민주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또 “경선을 하려면 여론조사를 해야 하는데, 여론조사 비용은 후보자가 모두 부담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결국 돈 없는 후보는 경선에 참여하지 못하는 등 금권선거가 개입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당의 한 관계자는 “우리 정치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교과서적인 개혁안”이라며 “실제 도입까지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나 위원장은 이 같은 걱정에 대해 “부작용이 나올 수도 있지만, 이것이 무섭다고 큰 틀에서 어긋날 수는 없다”며 관철의지를 내비치면서도 “현재의 개혁안은 확정안이 아니며, 많은 의견수렴을 거치겠다”고 답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