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손으로 왔으니 흔적도 남기지 말고 빈손으로 가야지, 묘비나 분묘가 다 무슨 소용이냐….”

고 이보식 전 산림청장이 평생을 나무와 살다가 다시 숲으로 돌아간다. 지난 22일 숙환으로 별세한 고 이 전 산림청장의 장례가 25일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선산에서 수목장으로 치러진다.

이 전 산림청장은 생전에 “산림청장을 지낸 사람이 죽은 뒤 산을 파헤치게 해야 되겠느냐”며 “내가 심은 나무 밑에 안치해 달라”는 유지를 남겼다.

서울대 임학과를 졸업한 이 전 산림청장은 1965년 산림청에서 공직을 시작해 35년간 재직하며 조림국장, 영림국장, 임목육종연구소장 등을 거쳐 제19대 및 20대 산림청장을 지냈다.

이 전 청장은 제1차 치산녹화 계획 때부터 제3차 산지자원화계획이 마무리될 때까지 국토 완전녹화를 위해 노력했고, 대단위 경제림 조성과 산림토양조사에 의한 적지적수 조림, 우량임분 천연림보육 등의 정책을 도입했다.

또 IMF로 인해 실업자가 늘자 ‘숲가꾸기 공공근로사업’을 창안해 본격 육림사업을 시작해 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을 했고, 산지소득증대 종합대책과 산림농업 육성방안 등을 수립해 임업생산기반을 확충했다.

산림청 퇴직 후에도 ‘평화의 숲’ 및 ‘생명의 숲’ 고문과 한국녹색문화재단 이사장을 역임했고, 지난해부터는 천리포수목원장을 맡아왔다. 정광수 산림청장은 “평생을 산림과 함께 살며 산림보존과 임업발전에 몸바친 고인이 자신의 장례마저 수목장으로 치르는 것은 임업인다운 아름다운 모습”이라고 추모했다. 수목장은 분묘로 인한 산림훼손을 막는 친 자연적 장묘법으로, 지난 2004년 김장수 고려대 교수의 수목장이 고려대 연습림에서 치러지면서 우리나라에 처음 알려졌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치솟던 채소가격에 이어 과일과 돼지고기 등의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며 전반적인 생활물가가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특히 채소류가 산지 기상양호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출하작업이 원활해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기록했다.

과일류 중 포도는 상품성 하락 및 소비부진으로 소폭 하락, 육란류 중 돼지고기는 산지 출하물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를 보였다.

24일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 배추 가격은 공급량 증가로 일주일 만에 포기당 5000~6000원 대에서 3000원 대로 약 30~40% 하락했다.

감자는 20% 하락해 1㎏당 24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상추는 100g당 1380원에, 시금치는 기온이 내려가면서 출하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한 단에 1780원에 판매됐다.

반면 무와 대파는 수요가 일정량을 유지하고 있어 그 전주와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해 각각 3980원과 3950원에 거래됐다. 이 밖에 양파와 오이의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마늘과 고춧가루는 가격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 배, 포도 등의 과일은 품질에 따라 가격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대전지역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배는 장기저장으로 일부 상품성이 떨어져 개당 3.8% 내린 2500원에, 사과는 1500원, 포도는 100g당 6.7%내린 448원에 판매됐다.

돼지고기는 산지 출하물량이 증가하면서 10% 이상 하락해 삼겹살 500g당 9000원에 거래됐으며 고등어는 수요 감소로 마리당 3% 내린 3200원에 판매됐다. 이와 같은 농산물을 비롯한 축산물, 수산물의 가격 안정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유통 관계자는 “최근 가을배추 작황이 좋아 김장철 배추는 포기당 1000원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