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군 매포읍 매포환경발전위원회가 지난 11일 한일시멘트는 공주시와 체결내용을 공개하라고 해명을 촉구했다.

홍준의 사무국장은 지난 수십 년간 지역에 산림을 훼손하고 시멘트 자원으로 회사를 키워온 한일시멘트가 이제와서 공주에 친환경 연구단지를 만들겠다는 것은 지역주민을 무시한 행태라며 비난했다.

지난 1961년 단양공장을 설립한 한일시멘트가 지난 8월 충남 공주시청서 공주 의당면에 연구생산복합단지 개발을 위한 550억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과 관련해 지역사회의 의혹과 논란이 이뤄지고 있는 것.

이에 한일시멘트는 16일 충남 연기군 금남면에 있는 한일시멘트 조치원 공장은 지난 78년 레미콘 공장을 설립한 이래 30여 년간 건설자재인 레미콘과 레미탈(특수·일반)을 생산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정복합도시 개발에 따른 토지수용 공고로 불가피하게 정부의 시책에 따라 새로운 공장부지가 필요하게 돼 조치원공장의 중부권 공급망을 대체할 수 있는 부지를 조사하던 중 공주시 의당면 가산리 일대가 최적의 부지라는 판단에 따라 관련 인·허가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토대로 지난 8월 26일 공주시와 투자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2012년 까지 공주시 의당면 가산리 일원(148.760㎡/약 4만 5000평)에 현 조치원공장(202.291㎡/약 6만 1192평) 부지 규모의 유사한 면적의 레미탈, 레미콘 생산설비와 이와 관련한 연구시설을 이전할 계획을 진행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 테크니컬센터 이전에 대해 한일시멘트는 “기존 대전광역시 레미콘 공장 부지의 일부(8750㎡/약 2647평)를 사용해 장소가 협소하고 열악해 옮기게 됐다”고 밝히고 “레미콘, 레미탈의 경우는 생산공장 별로 10개의 레미콘 공장과 5개의 레미탈 공장에서 실험실을 별도로 운영해 오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레미콘과 레미탈 제품의 특성상 생산과 연구개발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며 공주공장에 제반시설 입주는 불가피하다고 회사에 입장을 밝혔다.

회사 측 관계자는 “친환경적이고 단양지역 발전을 우선적으로 생산하는 한일시멘트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단양=이상복 기자 cho222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은 신임 이사장에 이재환 전 국회의원이 선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신임 이사장은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제11, 14대 국회의원과 국회 사무총장, 체육부 차관 등을 역임했다.16일 취임하며 임기는 3년이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기초생활수급자 자녀에게만 지원되던 중학교 학교운영지원비(육성회비)가 오는 2012년에는 전체 중학생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또 현재 기초생활수급자와 일부 차상위 계층에 대해서만 이뤄진 무료 급식지원을 오는 2011년까지 모든 차상위계층, 2012년까지 모든 농산어촌 학생으로 대상을 늘린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교육복지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교과부는 모두 54개의 교육복지 과제에 향후 5년 동안 총 17조 2239억 원을 투자한다.

학교운영지원비는 그동안 기초생활수급자의 중고생 자녀에게만 지원되고 올해 차상위계층 자녀에게까지 확대됐으나 앞으로 단계적으로 확대돼 오는 2012년에는 중학생 전원에게 지원된다.

현재 중학생은 연간 10만 2000~23만 7000원, 고등학생은 16만 9000~32만 1000원의 학교운영지원비를 각각 부담하고 있다.

또 내년 3월 본격 운영을 목표로 농어촌 지역에 365일 쉬지 않고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연중돌봄학교’를 만든다.

교과부는 전국 86개 군의 면지역 소재 2~3개 학교를 ‘돌봄학교’로 지정해 학기 중에는 방과 후 학습·문화·복지프로그램이, 주말·방학 중에는 다양한 학습 및 보육프로그램을 제공해 농어촌 지역과 도시 지역 간 학생들의 학력 격차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장애학생에 대한 무상·의무교육 대상을 현재 초·중·고에서 만 3세 미만 영아와 유·초·중·고교로 늘리고 오는 2010년까지 전국 모든 유치원에 종일반 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오는 2012년 말 홍성·예산 일대에 들어설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사업이 내년 4월부터 잇따라 공사발주돼 지역 건설업체들의 일감 확보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6일 충남개발공사에 따르면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 부지조성 및 기반시설설치공사를 내년 4월부터 발주, 5월 말 착공할 예정이다. 충남개발공사는 연내 기본설계가 마무리되는대로 실시설계에 착수해 부지조성공사부터 들어갈 계획이다.

도청 이전 부지조성 및 기반시설(특수시설물) 설치공사에는 총 1조 2780억 원이 투입되며, 이 중 부지조성공사비만 4000억 원에 이른다.

부지조성공사에 대한 기본설계는 충남개발공사에서 맡았으며, 연말까지 기본설계가 완료되면 사업시행자별로 실시설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사업시행자별로는 충남개발공사가 330만 5800㎡(100여만 평), 토지공사가 363만 6380㎡(110여만 평), 주공이 264만 4640㎡(80여만 평)을 각각 시행한다.

부지조성공사는 991만 7400㎡(300여만 평)을 6~9개 공구로 나눠 발주하며, 충남개발공사분 330만 5800㎡이 우선 발주돼 내년 5월 착공될 예정이다.

사업시행자들은 또 부지조성공사에 이어 하수처리장 등 기반시설(특수시설물) 설치공사도 내년 3월부터 설계에 들어갈 계획이다.

기반시설공사에는 하수처리장과 폐기물 처리시설, 테마공원, 공동구설치사업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한편 충남개발공사는 도청 신청사 신축공사도 내년 4월 실시설계적격자 선정에 이어 같은해 7월 착공할 계획이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여성, 장애인 단체로 구성된 ‘장애아동 친족성폭력 집행유예 판결 바로잡기 대책위’ 회원들이 16일 청주지법 앞에서 친족성폭력 사건의 올바른 판결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전국 188개 여성·장애인 단체로 구성된 ‘장애아동 친족 성폭력 집행유예 판결 바로잡기 대책위’는 16일 오전 10시 청주시 산남동 청주지법 앞에서 지적 장애 10대 소녀 성폭행 가족에 대한 청주지법의 집행유예 선고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고등 재판부는 1심 판결의 부당함을 재고하고 친족 장애아동을 성폭력 한 일가족을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1심 재판부가 피해자의 피해 정도에 대한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집행유예 판결을 내림으로써 스스로 인정한 범죄사실에 대한 엄중한 처벌의 책무를 저버렸다”며 “이렇게 명백히 드러난 사건조차 온정적인 판단으로 그 형이 가벼워진다면 이 나라는 성폭력 천국의 오명을 벗기 힘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1심 재판부는 피해자의 부모를 대신해 피해자를 양육해 왔다는 점을 선고의 감경요인으로 보고 있다”며 “성폭력 가해자를 선처하고 성폭력 피해자를 성폭력의 온상인 가족에게 복귀시킨다는 것 자체가 인권유린적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또 “항소 재판부에서는 가해자의 반성 여부나 피해자의 복지 및 진로에 대한 모호한 판단을 근거로 판결할 것이 아니라 법과 정의의 공평성에 근거를 두고 판결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청주지법 감사과를 방문해 이번 판결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법원장 면담을 요구했으나 법원은 항소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법원장 면담은 불가하다는 답변을 했다.

고형석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