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완구 충남지사와 김문수 경기지사 간에 지난 2006년 7월 13일 작성한 ‘충남도-경기도 간 상생 합의문’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가 잇단 행정중심복합도시 취소 발언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 이 지사가 합의문을 카드로 꺼내고 김 지사를 압박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 지사의 합의문 발언의 첫 시작은 지난해 8월 충남도청 홈페이지 '열린 도지사실'의 '말과 글'에서 '김문수 지사께 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시작됐다.
이 지사는 이 글에서 "2006년 7월 13일 서명한 합의문 내용에 '행정도시 건설을 위한 500만 충청도민의 열망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하고 상호 인식을 증진시켰다'는 상생발전 정신은 실종된 것이냐"고 처음으로 합의문을 언급했다.
이후 이 지사는 각종 언론 인터뷰 시 “합의문 정신이 실종됐다”며 김 지사를 몰아 세웠고, 김 지사도 이에 질세라 “그런 합의한 적 없다”고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김 지사는 지난 27일 한 라디오방송 인터뷰를 통해 "지방자치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세종시를 직할하려는 것은 마땅하지 못한 발상이며 포퓰리즘"이라며 세종시 건설에 협력하기로 한 자신(김 지사)과 이 지사 합의문 작성에 대해 "(세종시 건설이) 지사들이 합의할 문제냐"며 "그런 합의한 적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렇다면 실제 이날 양 지사가 서명한 합의문 문구는 어떻게 쓰여져 있을까.
이 지사와 김 지사는 지난 2005년 1월 27일 당시 심대평 전 충남지사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간 협약한 상생발전의 정신을 국민과 기업인 입장에서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로 인식을 같이하고 이날 4가지 사항을 합의했다. 4가지 사항은 크게 ‘(첫번째) 황해경제자유구역 적극 노력’과 ‘(두번째) 접도지역 첨단산업단지 개발 등의 상생발전사업’, ‘(네번째) 일일 명예 도지사 수행’ 등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세 번째 문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500만 충청도민의 열망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하고 향후 인식을 증진시켰다’ 표현에 있다.
문장에 따라 다소 해석 차이가 있겠지만 어찌됐든 합의문 내용 안에 행정도시 건설이 포함된 것 자체 만으로도 지금처럼 반대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이다.
반면 김 지사는 ‘인식을 증진시킨 것’이라는 해석에 ‘행정도시 건설 찬성’ 또는 ‘적극 협력’이라는 차원보다는 ‘충남도 의견을 존중’하는 정도로 해석했다는 입장이다.결국 김 지사의 속내는 본인의 양심에 맡겨야 할 문제지만 ‘행정도시에 대한 충청도민의 열망’에 서명하고 합의한 김 지사가 ‘그런 합의한 적 없다’고 잘라 말한 것은 이 지사의 피라미 발언과 일맥상통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김문수 경기지사가 잇단 행정중심복합도시 취소 발언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 이 지사가 합의문을 카드로 꺼내고 김 지사를 압박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 지사의 합의문 발언의 첫 시작은 지난해 8월 충남도청 홈페이지 '열린 도지사실'의 '말과 글'에서 '김문수 지사께 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시작됐다.
이 지사는 이 글에서 "2006년 7월 13일 서명한 합의문 내용에 '행정도시 건설을 위한 500만 충청도민의 열망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하고 상호 인식을 증진시켰다'는 상생발전 정신은 실종된 것이냐"고 처음으로 합의문을 언급했다.
이후 이 지사는 각종 언론 인터뷰 시 “합의문 정신이 실종됐다”며 김 지사를 몰아 세웠고, 김 지사도 이에 질세라 “그런 합의한 적 없다”고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김 지사는 지난 27일 한 라디오방송 인터뷰를 통해 "지방자치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세종시를 직할하려는 것은 마땅하지 못한 발상이며 포퓰리즘"이라며 세종시 건설에 협력하기로 한 자신(김 지사)과 이 지사 합의문 작성에 대해 "(세종시 건설이) 지사들이 합의할 문제냐"며 "그런 합의한 적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렇다면 실제 이날 양 지사가 서명한 합의문 문구는 어떻게 쓰여져 있을까.
이 지사와 김 지사는 지난 2005년 1월 27일 당시 심대평 전 충남지사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간 협약한 상생발전의 정신을 국민과 기업인 입장에서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로 인식을 같이하고 이날 4가지 사항을 합의했다. 4가지 사항은 크게 ‘(첫번째) 황해경제자유구역 적극 노력’과 ‘(두번째) 접도지역 첨단산업단지 개발 등의 상생발전사업’, ‘(네번째) 일일 명예 도지사 수행’ 등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세 번째 문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500만 충청도민의 열망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하고 향후 인식을 증진시켰다’ 표현에 있다.
문장에 따라 다소 해석 차이가 있겠지만 어찌됐든 합의문 내용 안에 행정도시 건설이 포함된 것 자체 만으로도 지금처럼 반대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이다.
반면 김 지사는 ‘인식을 증진시킨 것’이라는 해석에 ‘행정도시 건설 찬성’ 또는 ‘적극 협력’이라는 차원보다는 ‘충남도 의견을 존중’하는 정도로 해석했다는 입장이다.결국 김 지사의 속내는 본인의 양심에 맡겨야 할 문제지만 ‘행정도시에 대한 충청도민의 열망’에 서명하고 합의한 김 지사가 ‘그런 합의한 적 없다’고 잘라 말한 것은 이 지사의 피라미 발언과 일맥상통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