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에 휴업하는 대전시내 초·중·고교 수가 큰 폭으로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오는 15일 스승의 날을 재량휴업일로 정해 수업을 하지 않는 초·중·고는 전체 285개교 중 16.1%인 46개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08년 대전시내 전체 학교의 37.8%인 108개 학교가 스승의 날 쉬었던 것보다 21.7%포인트 가량 줄어든 수치다.

초등학교는 전체 138개교 중 지난해 64개교(46.3%)가 스승의 날 휴업했던 것에서 올해 26개교(18.8%)로 급감했고, 중학교(전체 86개교)는 지난해 28개교(32.5%)에서 올해 12개교(13.9%), 고교(61개교)는 지난해 16개교(26.2%)에서 올해 8개교(13.1%)로 각각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스승의 날이 ‘촌지수수의 날’로 폄훼되면서 이런 의심을 피하기 위해 아예 재량휴업을 선택하는 학교가 해마다 늘었으나 스승의 날 휴업이 교원 자존심과 교권을 훼손한다는 지적과 자성론이 나오며 정상수업을 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교육청은 스승의날 재량휴업을 실시하는 학교에 대해 등교를 희망하는 맞벌이 부부 자녀등에 대한 학교별 교육지원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경기침체와 높아진 은행 대출문턱에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민들이 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자칫 신용등급 하락이나 사용수수료 증가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

신용카드를 통한 현금서비스는 물품 구매와 달리 대출로 간주되기 때문에 잦은 이용과 함께 단기 연체 등이 발생할 경우 개인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금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 가운데 적지않은 수가 이를 대출이라고 인식하지 못한 채 사용하다가 뒤늦게 신용등급 하락으로 불이익을 보고 있다.

최근 대출 문제로 은행을 방문했던 A(28) 씨는 자신의 신용등급이 7등급에 해당된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해 대학 졸업 후 대출 한 번 받지 않았고 안정된 직장에 취업까지 했지만 직장 초년시절 멋모르고 발급받은 여러 장의 신용카드와 이를 이용한 잦은 현금서비스가 문제였다.

A 씨는 “취업을 하자마자 지인과 직장상사 등 여기저기서 신용카드 가입 요청이 밀려들었다”며 “게다가 첫 직장인 탓에 초반에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지출이 많아 현금서비스도 자주 이용했던 것이 이런 결과를 초래했다”고 자책했다.

그러나 A 씨의 경우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요건을 두루 갖췄다는 것이 금융권의 평가다.

신용카드를 단기간에 다량 발급받는 경우와 발급 후 단기간 내에 현금서비스를 받은 경우 등은 사용자의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것.

또 현금서비스는 한 번에 받는 금액에 상관없이 이용 건수에 따라 평가된다.

예를들어 400만 원을 한 번에 받는 것보다, 여러장의 카드로 100만 원씩 4번 이용하는 것이 더욱 안 좋다는 것이 관계자의 전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반인들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잘 갚기만 하면 문제 없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이도 역시 신용대출 가운데 하나로써 잠재적 신용불량 우려가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며 “부득이 현금서비스라를 받더라도 결제일 전에 미리 납입하는 선결제 등 스스로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 한밭수목원이 53만 그루의 꽃과 나무로 완성됐다.

대전시는 한밭수목원이 평송청소년수련원 북측지구 수목원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오는 9일 시민에게 전면 개방된다고 4일 밝혔다.

한밭수목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심 속 인공수목원으로 38만 7000㎡의 부지에 지난 2001년부터 8년여 동안 297억 원을 투입, 1954종 53만 1000본의 꽃과 나무가 식재돼 있다.

이번에 추가로 개방하는 수목원 평송청소년수련원 북측지구에는 2005년 8월부터 16만㎡ 부지에 장미원, 유실수원, 소나무원, 약용식물원, 목단원, 전통정원, 암석원, 생태연못, 팔각정자, 잔디광장 등을 조성했다.

가재남 대전시 푸른도시과장은 “대전 중심부 둔산 신도시 나대지 공간에 수목원를 조성함으로써 우성이산~정부대전청사~보라매공원과 연결되는 거대한 녹지축이 완성됐다”며 “자연환경 학습공간이자 시민들의 휴식처는 물론 관련분야 학생 및 전문가등의 연구·실습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는 4일 전국 최초로 도내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일을 도와주는 보충교사를 지원하는 신규 일자리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93억 59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1323명의 보충교사를 보육시설에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보육시설 지원사업과는 별개로 공공 부문 일자리 창출사업의 일환으로 보충교사 지원사업을 특수시책으로 추진키로 했다.

보충교사 지원자격은 육아경험이 있거나 보육자격이 있는 도내 60세 미만의 여성이다. 기타 구직신청 등 자세한 사항은 충남도 보육정보센터(www.cnicare.or.kr)를 참조하면 된다. 보충교사는 이달부터 12월까지 해당 보육시설에서 교재·교구 정리, 배식보조, 청소 등 보육교사의 일을 직·간접적으로 도와주는 일을 하게 되며, 월 80만 원 정도의 보수를 받게 된다.

정효영 충남도 여성정책관은 “영·유아들의 보육환경과 보육교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여성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호범 기자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해 국제결혼에 따른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보다 낮아졌으나 사교육비는 조금 늘었다. 청소년 3명 중 2명이 블로그를 이용하고 있으며 10대 10명 중 7명은 이동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통계청은 4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09년 청소년 통계'를 발표했다.

◆청소년(9~24세) 인구 지속적 감소

올해 총인구는 4874만 7000명으로 전년에 비해 0.3% 증가한 반면 청소년 인구는 1038만 5000명으로 1.0% 감소했다. 이는 1980년 이후 급감한 출생아수 영향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초등에서 대학까지 학령인구(6~21세) 역시 1006만 2000명으로 1.6%(15만 9000명) 감소했다. 1980년(1440만 1000명)에 비해 30.1%(433만 9000명)가 준 것이다.

지난해 소년소녀가장은 1337세대로 전년에 비해 18%, 1997년(9544세대)보다는 86%가 줄었다. 국제결혼가정의 학생수는 1만 8778명으로 전년에 비해 39.7% 증가했다. 이 중 어머니가 외국인인 학생은 1만 6937명으로 43.2% 늘었으며 국제결혼가정 학생의 90.2%를 차지했다.

만혼 추세로 총 혼인건수에서 청소년(24세 이하)이 차지하는 비율(혼인 구성비)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혼인 구성비가 남자의 경우 15~19세 0.3%, 20~24세 3.4%였으며 여자는 15~19세 2%, 20~24세 11.4%였다.

◆사교육 참여율 75.1%

지난해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율은 75.1%로 전년에 비해 1.9%포인트 감소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생이 87.9%로 가장 높고 중학생 72.5%, 일반계 고교생 60.5%, 전문계 고교생 30.3%로 나타났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3만 3000원으로 전년에 비해 1만 1000원 증가했으며 일반계 고교생이 24만 9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읍·면지역 고교생은 일반계 8만 3000원, 전문계 8만 7000원으로 나타나 이 지역 초·중학생 사교육비 13만 원대보다 낮았다.

◆사망원인 20~29세 자살 최다


2007년 사망원인 1순위는 19세이하 교통사고, 20~29세 자살로 드러났다. 0~24세 사망률은 10만 명당 37.2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4명 증가했다. 지난해 남자 중·고교생 흡연율은 각각 5.7%, 18.1%로 전년에 비해 각각 0.9%, 1.9%포인트 늘었으나 여학생은 소폭 줄었다. 청소년 음주 경험자의 첫 음주시기는 초등학교 이하 41.1%, 중학교 44.1%, 고교 6.7%로 나타나 85.2%가 중학교 이전에 술을 경험했다. 평균나이는 남자 13.2세, 여자 13.4세때였다. 지난해 발생한 18세 미만 요보호아동은 9284명이다. 발생 유형은 부모 이혼 등에 따라 2943명, 미혼모 아동 2349명, 빈곤·실직 1036명 순었다.

◆청소년 1주 평균 10.4시간 인터넷 이용

10대는 85.5%가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고 1주 평균 이용시간은 10.4시간였다. 청소년(12~19세)의 61%가 인터넷 쇼핑을 이용하고 있고 20대 이용률은 87.3%였다. 월평균 인터넷 구매비용은 12~19세 2만 7400원, 20대 4만 2800원 이었다. 이동전화는 10대 청소년 71.3%가 이용하고 있고 초등생 26.3%, 중학생 81.8%, 고교생은 93.3%가 이용했다. 6~19세의 블로그 이용률은 67%, 20대는 82%였으며 특히 고교생 90.8%가 블로그를 이용했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