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남 경매시장에 폐교와 유흥업소 등 이색 물건이 잇따라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경매시장은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상가가 주류를 이루지만 경기 침체로 개인과 기업이 소비를 줄이면서 유흥업소들의 매출이 줄자 경매에 부쳐지고 있다.

9일 부동산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충남 경매시장에서 폐교와 나이트클럽 등이 법원 경매 물건으로 나왔다.

오는 21일 대전지법 천안지원 4계에서는 나이트클럽 입찰이 이뤄진다.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스카이타워 9~10층에 위치한 물건으로 대지 370.89㎡, 건물 전용면적 1796.52㎡ 규모다.

감정가는 67억 9400만 원으로, 첫 경매가 실시됐던 지난달 16일 유찰돼 오는 21일 2회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최저입찰가는 47억 5580만 원이다.

앞서 지난 7월 대전시 서구 둔산동 뉴케이케이 성인나이트클럽 건물(감정가 80억 5562만 650원)이 경매에 나와 같은달 14일 첫 입찰에 부쳐진 바 있다.

이밖에 충남 서천군 장항흡 화천리에 위치한 폐교(옛 정의여자중고등학교)도 경매물건으로 나왔다.

이 물건은 토지 1만 8549㎡에 건물 4437.35㎡(지상 1층~3층) 규모로 감정가는 53억 5800여만 원이다.

지난달 23일 1차 경매에서 유찰돼 오는 28일 2차 경매 입찰이 이뤄질 예정이며, 최저입찰가는 37억 5100여만 원이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최근 주거용 건물 외에 특이한 물건들이 경매시장에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며 “상업용 빌딩이나 상가건물로 분류되는 유흥업소는 감정가가 수십억 원에 달하지만 감정가 이하로 낙찰된다”고 말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교육청이 3년 연속 가장 청렴한 교육청으로 선정되는 영광을 차지했다.

대전시교육청(교육감 김신호)은 국민권익위원회가 전국 478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년도 청렴도 측정 평가'에서 10점 만점에 8.69점을 기록, 지난 2007년과 2008년에 이어 또다시 전국 7개 광역시교육청 중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대전시교육청은 지난해 1위 당시 기록했던 8.13점 보다 0.56점 향상된 점수를 받으며 전국평균 8.05점을 무려 0.64점이나 상회했다.

이 같은 수치는 측정 대상인 전국 478개 공공기관 평균 8.51점 보다도 0.18점 높은 수치이다.

세부적으로는 민원인들이 평가한 외부청렴도에서 2008년 대비 0.69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난해 취약 분야로 꼽혔던 학교운동부 운영 부문에서는 무려 1.49점이 오른 8.92점을 기록하며 전체 청렴도 상승을 견인했다.

하지만 현장학습과 수학여행, 수련회관리 등은 8.34점을 받아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신호 교육감은 “시민감사관제와 민관협의체, 예산집행 모니터단 등을 운영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 자부심을 갖고 일 해준 1만 5000여 교직원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 대덕구에 내년부터 2015년까지 7000여억 원이 집중 투입된다.

대전시와 대덕구는 신탄진·오정동 재정비촉진사업을 비롯, 연축동 도시개발사업, 대전 1·2산업단지 재정비사업 등 5개 분야의 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며,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대덕구는 대전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라는 오명을 벗고, 도심재생의 리더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박성효 대전시장과 정용기 대덕구청장은 이날 대전시청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내년부터 6년 간 5개 분야, 19개 공공사업에 총 7067억 원을 투입하는 'NEW 대덕 플랜'을 발표했다.

분야별로는 △신탄진 문화의 거리조성 등 건설·교통 분야 8개 사업에 2312억 원 △상서·평촌 재정비 촉진사업 등 도시개발 분야 6개 사업에 5024억 원 △송촌 생활체육공원 조성 등 공원·녹지 분야 2개 사업 183억 원 △송촌도서관 건립 등 문화·체육 분야 108억 원 △친환경 하천정비 등 환경 분야 776억 원 등이다.

또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30대 선도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대전~오송 간 신교통수단(BRT) 구축사업도 내년부터 본격 추진, 2011년 설계기간을 거쳐 2012년부터 총 연장 46㎞의 도로가 신설돼 세종시와 오송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 3각 경제벨트의 중심 역할이 기대된다.

특히 신탄진 지역민들의 이설촉구 민원이 빗발쳤던 신탄진 철도차량관리단 인입선로는 현재의 신탄진동~상서동에서 대덕구 와동~상서동 구간으로 이설되며,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우선대상으로 선정된 대전1·2산업단지도 오는 2012년 1월부터 보상 및 사업 착수에 들어가 2015년까지 완료키로 했다.

259만㎡ 규모의 상서·평촌지구는 내년부터 160억 원을 투입, 복합산업단지 형태로 조성돼 지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복안이다.

이날 박 시장은 "더 이상 대덕구 소외론은 없다”고 강조한 뒤 “시와 구가 연계성을 갖고,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며 사업 추진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 구청장도 "이번 NEW 대덕 플랜은 시에서 도와주지 않았다면 추진할 수 없었다"고 화답했다. 박진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사교육이 수능성적을 그다지 향상 시키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언어, 외국어 영역은 사교육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수리영역은 중상위권만 조금 성적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정의 경제력보다 아버지의 학력이 수능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을 끌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9일 평가원 회의실에서 개최한 수능 및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심포지엄에서 강상진 연세대 교수는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강 교수는 이날 “평준화 정책이 수월성 교육에 부적합하거나 학력을 하향화 시켰다는 근거는 없다”면서 “사교육은 언어·외국어 영역에선 효과가 없고 수리영역의 경우 중상위권 이상 학생에서만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또 “아버지의 학력은 언어, 수리, 외국어 등 모든 교과영역에서 높은 등급에 포함될 확률 상승에 기여했다”면서도 “가구의 총소득은 학생의 높은 성취에 기여한다는 증거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보면 부유층 학생들이 대학입학 기회가 높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면서 “부모 학력이 높은 가정의 학생들이 높은 수능점수를 성취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와 5개 자치구가 버스정류장 등 공공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사업을 활발히 벌이지만 관련 특허 출원에는 인색하다는 지적이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관련 특허출원에 경쟁을 벌이고 있는 반면 대전시와 각 자치구들은 다소 느긋한 입장으로 보이고 있어 디자인 모방에 따른 분쟁에 사실상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셈이다.

특히 대전시는 지난해 7월 공공디자인계까지 신설해 대전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위생시설이나 통행시설물, 휴게시설물 등의 공공디자인 아이디어를 각 실과에 제공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특허 출원 건수는 0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앞으로 새로운 지식재산권 창출에 따른 법적 보호와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 해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관련 특허 출원에 대한 보다 깊은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9일 특허청과 대전시에 따르면 공공시설물 디자인 출원 건수는 2005년 3409건에서 2008년 5525건으로 3년전에 비해 62% 증가했다.

올 상반기에도 2852건이 출원돼 전년 동기 대비 5% 이상 늘었다.

공공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출원이 대부분 중소기업이나 개인에 의해 주로 이뤄지고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경기 도내 각 시·군을 비롯해 광주시, 인천시, 충북도가 특허출원을 꾸준히 하고 있다.

2005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지자체들의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경기 도내 각 시·군들이 58건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시 및 자치구들이 11건, 충북 도내 시·군들도 11건, 인천시 계양구 9건, 제주도 7건, 충남 도내 각 시·군 6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허청 관계자는 “최근 각 지자체에서 공공시설물 출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지자체들이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디자인 모방에 따른 분쟁을 예방하고 창작적 가치를 법적으로 보호받기 위해서는 디자인을 등록받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시는 개별 시설물보다 도시 디자인이라는 큰 틀 속의 공공디자인을 생각하다 보니 관련 특허출원까지 생각하지 못했다”며 “앞으로는 개발됐거나 개발할 디자인의 특허 출원에 신경쓰겠다”고 말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