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일제히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이 진행된 10일 훈련시간 동안 정부대전청사 보안에 ‘구멍’이 뚫렸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훈련은 오전 10시부터 10시20분까지 예비 전력 200만㎾ 미만을 가정해 진행됐으며 정부대전청사 등 공공기관들은 20분간 단전 조치하고 대응 요령 등을 매뉴얼에 맞춰 진행했다.
문제는 훈련시간과 훈련시간 이후 15분 등 약 35분에 걸쳐 출입구에 마련된 보안용 X레이 검색대가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하1층 주차장쪽 출입구 검색대의 경우 단전과 함께 전원이 차단되면서 작동이 멈췄고 1층 각 입구에 설치된 4대의 엑스레이 검색대는 훈련이 종료된 후 전원복구가 지연되면서 15분간 꺼졌다 켜지기를 반복하며 사실상 작동불능 상태였다.
보안요원들은 출입자 신분증을 확인하고 핸드스캐너로 검색을 대신했지만 가방 등 출입자 소지품은 별다른 검사없이 검색대를 통과했다. 지난해 정부 세종로청사 방화사건 이후 강화됐던 정부청사 보안체계가 정전대응 훈련 때문에 일순간 무너진 셈이다.
30분 남짓 짧은 시간이었지만 출입자가 가방에 출입통제 물품을 갖고 있었다 하더라도 제재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만약의 상황이지만 테러집단 등 불순분자들이 청사 진입을 위해 일부러 정전을 시킬 경우 위험물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X레이 검색대 작동불능 상황에 대해 청사 보안을 책임지고 있는 청사관리소 측이 제대로 보고를 받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나 보안 체계에 허점을 보였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대전청사관리소 관계자는 “X레이 검색대의 경우 비상전원이 아닌 일반전원에 연결돼 있어 단전과 함께 작동이 되지 않았고 훈련 종료 후에는 전열부하 등으로 일부 차단기가 떨어지면서 전원복구가 늦어졌다”면서 “2월까지 개선된 출입통제 시스템이 구축되면 X레이 검색대에 비상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이미 계획이 세워져 있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5261건
- 2013.01.10 대전청사 보안 ‘구멍’
- 2013.01.10 '논술·면접 9문제에 2000만원' 장학사 추가 구속 … 혐의 부인
- 2013.01.10 설 선물 ‘저가형 웃는다’
- 2013.01.10 민주당 대전시당 朴에 이유있는 쓴소리
- 2013.01.10 아포피스 2036년 충돌안할 확률 99.99957%
<속보>= 충남도교육청 소속 장학사가 교육전문직(장학사) 선발 시험지를 유출한 혐의로 지난 5일 경찰에 구속된 가운데 이 장학사에게 금품을 건네고 시험문제를 입수해 합격한 현직 장학사가 경찰에 추가로 구속됐다. <1월 10일 자 3면 보도>
충남지방경찰청은 돈을 주고 장학사 선발 시험문제를 제공받은 현직 장학사 B(47)씨를 뇌물공여 등의 혐의로 구속했다고 10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B씨는 지난해 7월 장학사 선발 시험을 앞두고 장학사 A(48·구속)씨에게 2000만원을 건넨 뒤 시험에 출제되는 논술문제 6문항과 면접문제 3문항을 미리 전달받은 혐의다.
당시 문제를 미리 건네받아 시험에 합격한 B씨는 다음달까지 장학사 현장실습을 진행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B씨는 그러나 수사 초기 A씨에게 금품을 건넨 사실을 시인했지만, 현재는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은 B씨에 대한 영장 실질심사에서 “증거 인멸과 도주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이에 앞서 경찰은 장학사 선발 시험 문항을 유출하고 응시자들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충남지역 모 교육지원청 소속 장학사 A씨를 뇌물 등의 혐의로 구속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경기불황 장기화로 올 설 명절도 실속 선물세트 중심의 알뜰 소비 성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태풍 피해나 물량 부족으로 값이 오른 과일 등은 대체로 가격이 저렴한 상품을 함께 담은 혼합세트가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10일 지역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설 명절을 앞두고 혼합형 과일세트를 비롯한 식용유나 가공식품 등 저가위주 선물세트 물량을 큰 폭으로 늘렸다.
홈플러스는 4만 원대 사과·배 혼합세트 준비물량을 지난해 설보다 25% 늘린 10만 세트를 준비했다.
이같은 이유는 지난해 8~9월 태풍피해 여파로 낙과 피해가 많았던 배의 경우 지난해 설 보다 20~30% 가격이 올랐지만 사과는 피해가 적어 10%정도 가격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마트도 저가형 선물세트를 선호하는 고객을 위해 이른바 ‘가격 혁명 세트’를 지난해보다 물량을 18%가량 늘리고 품목도 90여가지로 다양화했다. 2000원대 양말세트에서부터 8000원대 식용유 선물세트까지 1만원 이하 선물세트 비중을 지난해 8%에서 올해 10~20%까지 늘렸다.
한우세트의 경우 지난해보다 시세가 10%정도 올랐지만 지난해 가격을 유지하고 물량도 10%이상 추가 확보했다.
롯데마트도 냉장 정육세트 물량을 30% 늘리고 10만원대 맞춤세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굴비 선물세트 물량도 지난해 설보다 30% 늘린 4만 세트를 준비한 상태다.
지역백화점들도 앞 다퉈 저가형 설 선물세트를 내놓는다.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점은 경기불황으로 세트가격을 지난해보다 10~20% 낮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품목별로 5만~7만원대의 수삼, 더덕, 버섯류 선물세트와 6만~7만원대의 사과·배혼합세트, 10만~15만원대의 꼬리반골과 사골세트 등을 준비했다.
롯데백화점 대전점은 비누세트, 올리브유 등 생활용품과 가공식품을 1만~5만원대의 실속형 선물세트와 명절 인기부위를 묶은 10만원대 정육과 굴비세트, 사과·배혼합세트 등도 각각 10만원대 실속 세트부터 100만원대 프리미엄 패키지까지 다양하게 마련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장기화된 불황으로 저가와 실용성을 강조한 생필품 위주의 세트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저렴한 상품 물량을 더욱 늘려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원승일 기자 won@cctoday.co.kr
민주통합당 대전시당이 연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과 관련 논평과 성명을 쏟아내고 있다.
과학벨트 부지매입을 위한 국비가 올해 예산에서 빠진 것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새누리당의 사업 추진의지 피력을 촉구하는 것이 골자이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10일에도 성명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게 과학벨트 무산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 제시를 촉구했다.
대전시당은 “박 당선인이 과학벨트 전액 국비지원 등에 애매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향후 박근혜 정부가 과학벨트 정상추진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을 경우 '충청홀대론'에 기름을 붓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과 9일에도 각각 시당 청년위원회와 여성위원회의 이름으로 과학벨트 약속이행 촉구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연일 계속되는 대전시당의 논평과 성명에 대해 정치권에선 “정당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는 평가와 함께 향후 정치적 행보를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대전시당을 포함한 민주당 전체는 대선 패배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데다, 중앙당의 원내대표·비상대책위원장 선출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 등으로 운신의 폭이 좁아진 것은 사실이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런 상황에서 ‘지역정당’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는 모습을 보이는 한편, 과학벨트라는 지역 이슈를 선점해 정치적 공간을 확보하겠다는 배경도 없지 않다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이다.
이에 대해 대전시당의 한 관계자는 “당이 어수선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과학벨트 사업의 정상적인 추진을 위해 노력을 다 해야겠다는 공감대가 지역 정당 내에 이미 형성됐다”고 말했다.
또 “과학벨트 관련 상황이 급박한 만큼 당이 정비된 후에는 적극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준 기자 kyj85@cctoday.co.kr
![]() |
||
아마겟돈, 딥 임팩트. 몇해 전 큰 인기를 끌었던 영화들로 이들 영화는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을 주제로 하고 있다. 영화 속, 아니면 상상 속에서나 가능할 것으로 보이던 지구의 소행성 충돌.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지만 현 세대가 살고 있는 시점에서 현대 과학의 발전 정도를 생각할 때 그 확률은 너무나도 미미한 수준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하다.
아는 것이 병이라고 했던가. NA SA를 비롯한 한국천문연구원 등 우주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 기관들의 능력치가 상승할수록 지구인들의 ‘하늘이 무너지는’ 수준의 걱정거리는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9일 근지구 소행성 ‘아포피스’의 지구 근접 소식이 알려지면서 많은 지구인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을 터. 이 근지구소행성 아포피스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과 또 다른 근지구소행성은 없는지를 알아본다.
◆아포피스, 9일 지구에 근접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필호)은 근지구소행성(NEA·Near Earth A stroid) ‘아포피스’(Apophis)가 한국시간으로 지난 9일 저녁 8시43분 지구로부터 약 1450만㎞(지구-태양 거리의 9.67%)까지 접근했다고 발표했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의 평균거리(약 38만㎞)의 약 38배에 해당하며, 앞으로 약 16년 후인 2029년 4월 전까지 이 천체가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하는 사건이다.
아포피스는 이번 접근 이후 오는 2029년 4월 14일 오전 6시46분에 지구를 살짝 스치듯이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며, 이때 지표면과의 거리는 약 3만1600㎞가 될 전망이다. 이 고도는 천리안과 같은 정지위성 고도(3만5786㎞)보다 약 4000㎞ 낮은 수치로, 이 정도 규모의 소행성이 이처럼 지구에 가까이 접근하는 확률은 약 1000년에 한 번 꼴이라는 게 천문연의 설명이다.
![]() |
||
◆‘아포피스’는 어떤 천체인가?
근지구 소행성 아포피스는 지난 2004년 6월 19일, 로이 A. 터커(Roy A. Tucker), 데이비드 J. 톨렌(David J. Tholen), 파브리지오 베르나르디(Fabrizio Bernardi) 등이 미국 국립광학천문대 산하 킷픽(Kitt Peak)천문대에서 처음 발견했다. 발견 직후 국제천문연맹(IAU·Int'l Astronomical Union) 산하 소행성센터(MPC·Minor Planet Center)는 곧 ‘2004 MN4’라는 임시이름을 붙였으며, 지난 20 05년 6월 24일 ‘99942’라는 고유번호를 부여했고 7월 19일에는 '아포피스'라는 고유이름이 정해졌다. 아포피스는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라(Ra)’를 삼킨 거대한 뱀이며, 그 뱀으로 묘사된 파괴의 신 '아펩(Apep)’을 그리스어로 표기한 이름이다.
아포피스는 328.58일(0.9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궤도의 대부분이 지구궤도 안쪽에 포함된 아텐족(Atens) 소행성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아텐족은 지구에서 볼 때 항상 태양 근처에 머무르기 때문에 관측이 어렵다.
궤도는 이심률 0.19인 찌그러진 타원궤도이며, 타원 장축에 해당하는 궤도장반경은 0.922 천문단위, 지구공전궤도와 아포피스의 공전궤도가 이루는 사이각인 궤도경사각은 3.33도다. 크기는 270±60m, 자전주기는 30시간 24분(30.4시간)으로 알려졌으며, 그 표면은 LL 콘드라이트라고 불리는 규산염 광물로 덮여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광물은 지표에서 흔히 발견되는 석질운석의 성분 가운데 하나다.
아포피스는 자전하면서 밝기가 변한다는 점을 볼 때 타원체 모양일 것으로 추측된다. 장축을 270m라 가정하면 서울 63빌딩보다는 20m 가량 길고, 인천 동북아트레이드타워보다 40m 정도 짧다. 이 소행성은 지구에 비해 질량이 약 1024배만큼 가볍기 때문에 우리는 아포피스 표면에서 거의 중력을 느끼지 못할 것으로 분석된다.
◆소행성 아포피스, 2036년 지구와 충돌?
아포피스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앞으로 지구와 여러 차례 만나게 될 전망이다. 태양과 지구 간 평균거리를 1AU라고 할 때 이 안쪽으로 아포피스가 근접하는 날은 오는 2029년까지 총 10회에 달할 것으로 계산됐다. 이 중 2029년 4월 14일 오전 6시46분에는 아포피스가 지구 정지위성 고도보다 낮은 지표로부터 3만1600㎞ 상공을 지나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아포피스는 지구 중력에 의해 궤도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결과 2036년 지구에 접근하는 경로가 바뀔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최근의 분석 결과 소행성 아포피스는 오는 2029년 4월 14일 접근할 때 지구 중력에 의해 궤도가 변경되고, 그 결과 2036년 4월 13일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천문학계의 설명이다.
천문학자들 뿐 아니라, UN 산하 ‘평화적 우주 이용을 위한 위원회’(COPUOS·Committee on the P eaceful Uses of Outer Space)에서도 아포피스의 향후 궤도변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아포피스가 2036년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미항공우주국(NASA) 산하 제트추진연구소(JPL) 측의 계산이다. JPL이 발표한 2036년 아포피스의 지구충돌 확률은 23만 3000분의 1 수준이고, 아포피스가 지구에 충돌하지 않을 확률은 99.99957%다. 이에 따라 지구인들은 아포피스와 지구 충돌 가능성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근지구소행성 9455개 달해
아포피스와 같이 지구에 근접하는 근지구소행성은 얼마나 될까? 근지구소행성(Near Earth Asteroi ds·NEAs)이란 궤도상에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의 거리, 즉 근일점거리가 1.3AU보다 가까운 소행성을 말한다. 1AU는 지구-태양 간 평균거리로 약 1억5000만㎞에 해당한다. 근지구소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지구궤도와 만나거나 지구 가까이 접근하며 지구와 충돌위협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서 안정된 궤도를 돌다가 목성, 토성과 같은 행성들의 중력에 의해 궤도를 이탈해 근 지구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달 7일 현재 국제천문연맹 산하 소행성센터에 등록된 근지구소행성은 9455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지름이 1㎞보다 큰 것은 858개이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급 NEA는 모두 981±19개로 추산된다. 근지구소행성은 궤도의 특성에 따라 아텐(Atens)과 아폴로(Apollo), 아모르(Amors), 아티라(Atiras)와 같이 네 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 중 아텐과 아폴로는 지구와 궤도가 만나는데 이 가운데 아텐은 궤도의 대부분이 지구궤도 안쪽에 포함돼 있으며 아폴로는 궤도 대부분이 지구궤도 바깥쪽에 있다. 아모르는 그 궤도가 지구궤도와 만나지는 않지만 지구 근방까지 접근하는 소행성족이며, 아티라는 궤도 전체가 지구궤도 안쪽에 있는 소행성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