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선 후보 가상 대결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보다 크게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전 위원장은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의 가상 대결에서도 큰 차이로 앞서는 등 대권에 대한 입지를 넓히고 있는 모양새다. 이 같은 결과는 ‘박 전 위원장-문 고문’, ‘박 전 위원장-안 교수’ 구도로 교차 여론조사를 벌인 것이다.
먼저 ‘박 전 위원장-문 고문’ 구도일 때는 박 전 위원장(62.9%)이 27.5%의 지지를 얻은 문 고문을 35.4%포인트 차이로 따돌렸다. ‘박 전 위원장-안 교수’ 구도에서는 박 전 위원장이 60.1%, 안 교수가 33.3%로 26.8%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눈여겨볼 만한 대목은 박 위원장의 지지율이 수직적으로 상승했다는 점이다.
이는 이번 총선에서 여당의 입지를 굳히는 데 박 전 위원장이 크게 이바지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충청투데이가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더라도 박 전 위원장의 지지율은 매우 상승했다.
1차·2차 여론조사 때 박 전 위원장은 문 고문을 각각 11.1%포인트, 14.2%포인트로 따돌렸다. 박 전 위원장과 안 교수 간의 대결 결과는 더욱 묘하다. 지난 1차 여론조사 때 박 위원장은 안 교수를 불과 0.2%포인트 앞섰고, 2차 때는 1.4%포인트 뒤지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불과 두 달 사이에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요동친 셈이다.
이번 조사에서 박 전 위원장은 60대 이상 응답자로부터 90.4%라는 매우 높은 지지를 받았고, 문 고문과 안 교수는 젊은 층인 20~30대에게 40%대에 육박한 지지를 받았다.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
'2012/06/10'에 해당되는 글 23건
- 2012.06.10 대전, 앞선 박근혜… 安·文 20~30%p차로 벌려
- 2012.06.10 ‘불륜폭로’ 보이스피싱에 낚일라
- 2012.06.10 56% “잘한다”… 국책사업 유치 등 성과
대전 서구에 사는 김 모(42) 씨는 최근 한 남성으로부터 황당한 전화를 받았다.
전화를 걸어온 이 남성은 김 씨에게 이름과 직장 내 직위 등을 확인한 후 대뜸 자신의 형수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사실을 폭로하겠다며 욕설을 퍼붓기 시작했다.
황당한 내용에 김 씨는 애써 화를 가라앉히며 전화를 끊었고, 이후에도 이 남성은 수차례 전화를 걸어와 김 씨를 괴롭혔다.
김 씨는 보이스피싱의 일종이라는 생각으로 대수롭지 않게 넘기려 했지만, 이 남성이 자신의 이름과 직장, 직위는 물론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모두 알고 있다는 점에서 찜찜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공무원이나 전문직 직장인에게 전화를 걸어 불륜사실이나 사생활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하는 보이스피싱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이들은 발신 전화번호를 그대로 노출하면서 피해자들에게 사기가 아니라는 점을 부각하는 등 치밀한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전화번호는 착신이 금지됐거나 중국 등 외국에서 발신번호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문제는 이런 황당한 보이스피싱 사기행각에 걸려드는 직장인이 의외로 많다는 점이다.
실제 2010년 불륜사실을 폭로하겠다는 전화 협박을 받은 공무원들이 줄줄이 수백만 원을 입금한 사실이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범인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알게 된 이름과 직책, 전화번호를 골라 무작위로 불륜폭로 협박전화를 걸었고 ‘제 발 저린’ 공무원 등이 지레 겁을 먹고 범인의 요구대로 돈을 송금한 것이다.
하지만 경찰은 이 같은 사기를 당해도 주변에 떳떳이 알릴 수 없는 처지 등을 감안할 때 공무원 뿐만아니라 일반 직장인 피해자도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또 피해자들이 전화 한 통화에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을 잃고도 혼자 속앓이를 할 수 밖에 없는 점을 교묘히 악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경찰 관계자는 “다른 보이스피싱 보다 남들에게 알리기 어려운 내용이다 보니 관련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알면서도 혹시나 하는 생각에 당할 수 있는 전형적인 사기행위”라며 “비슷한 협박전화나 문자를 받았을 경우 남의 일이라 덮어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
![]() |
||
창간 22주년을 맞아 충청투데이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오는 7월 취임 2년째로 접어드는 이 지사의 도정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3.5%가 '잘하는 편이다'라고 답했다.
‘매우 잘하고 있다’라고 답한 13.4%의 응답자를 포함하면 절반 이상인 56.9%가 이 지사의 도정을 긍정적으로 보는 셈이다. 반면 ‘잘 못하는 편이다’는 20.9%, ‘매우 못하고 있다’로 평가한 응답은 6.5%로 조사됐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15.7%였다.
응답자 특성을 살펴보면 ‘잘하는 편이다’라는 대답은 20~30대 36.4%, 40~50대 42.9%, 60대 이상 55.7%로 연령이 높을수록 많았다. ‘매우 못하고 있다’라고 한 응답자의 비율은 20~30대가 11.8%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민선 5기 충북을 이끌고 있는 이시종 충북지사는 ‘생명과 태양의 땅’을 슬로건으로 바이오산업과 태양광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오송바이오밸리 구축을 통해 세계적 바이오메카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 핵심사업 외에 이 지사는 국비 확보와 대형 국책사업의 유치 등 내실을 다져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병욱 기자 shod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