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실업률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데다 이렇다할 회복기미를 보이지 않는 등 심각하다.

국내 실업급여 대상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충북지역 실업급여 수급자 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지난 1월부터 이달 24일 현재 실업급여 수급자 수가 모두 100만 2800명, 지급액은 2조 7736억 원에 달한다고 26일 밝혔다.

26일 대전지방노동청 청주지청 청주종합고용지원센터에 따르면 청주지청 관할(청주, 청원, 옥천, 보은, 괴산, 증평 등)에서의 지난달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5502명보다 2517명(45.74%) 늘어난 8019명을 기록했다.

실업급여 지급액도 지난달 74억 200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8억 8900만 원에 비해 16억 9100만 원(34.58%)이 증가했다.

충주, 음성, 제천지역을 관할하는 충주종합고용지원센터도 26일 지난달 실업급여 수급자 수가 373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6명(26.62%)이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실업급여 지급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17억 5577만 9260원보다 8억 7904만 9370원(50.06%)이 증가한 26억 3482만 8630원으로 집계됐다.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퇴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근무하다가 경영난으로 해고, 권고사직, 계약만료, 정년퇴직 등 불가피한 사유로 직장을 그만 둔 경우 해당된다.

게다가 사업주가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지난 1998년 10월 1일부터 전 사업장에 적용된 '자격확인 청구제도'를 통해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이처럼 실업급여 수급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것은 경기침체로 해고되거나 구조조정 되고 있는 근로자 수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청주종합고용지원센터 관계자는 "자발적 사유로 발생한 경우는 실업급여 수급이 불가능하다"며 "고용지원센터를 통해 1차적으로 상담을 통해 수급자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90~240일간 실업급여를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실업급여 수급자가 취업이 안 되고 실업급여 만료가 되더라도 취업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담자가 관리를 하고 있다"며 "최근 경기불황으로 기업들의 도산과 구조조정 등 고용환경 악화가 실업급여 수급자 증가의 주된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내달 대전 도안지구에 분양되는 신규물량들의 분양가가 속속 결정되면서 수요자들의 시선이 가을 분양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신안종합건설이 도안지구 8블록에 분양할 ‘신안인스빌 리베라’ 아파트 분양가가 3.3㎡당 평균 861만 8000원으로 조건부 가결된데 이어 26일 대한주택공사가 도안지구 12블록에 공급하는 ‘휴먼시아’ 분양가도 3.3㎡당 평균 761만 원으로 결정됐다.

도안지구 12블록 휴먼시아 분양가는 지난해 10월 분양한 도안지구 6블록 휴먼시아 아파트 평균 분양가(3.3㎡당 평균 729만 원)보다 32만 원 높다.

도안지구 12블록 ‘휴먼시아’ 아파트는 12개동, 74㎡형(전용면적) 242가구, 84㎡형(〃) 814가구 규모로, 총 분양가는 74㎡형의 경우 2억 3000만 원, 84㎡형은 2억 6000만 원 선이다.

발코니 확장 비용은 800만~1100만 원 수준으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내달 도안지구에 민간아파트와 공공아파트가 동시에 선보여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분양시장도 ‘청약율 선전’을 기록할 지 주목된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청권의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에 대한 국비 확보에 적신호가 들어온 가운데 충남도의회가 지역건설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도의회는 내달 1일 개회하는 제227회 임시회에서 ‘충남도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지원조례’ 개정을 추진해 지역건설업체의 수주 물량 확대 등 건설업계에 드리워진 먹구름을 걷어내기 위해 힘쓰기로 했다.

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 차성남 의원(서산2·자유선진당)과 송선규 의원(서천1·한나라당) 외 11명이 공동발의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지원조례 개정(안)은 대규모 공사의 분할발주로 지역업체 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한 규정을 신설하고, 그동안 문제가 많이 발생했던 하도급 계약내용 및 하도급 금액의 적정성 심사를 통해 공정한 거래가 정착될 수 있도록 새로운 규정을 마련했다.

아울러 지역 내 생산자재 및 장비의 사용확대를 권장사항으로 신설하고, 지역 건설업체의 수주확대를 위해 공동도급 비율을 49%, 하도급 비율을 50% 이상으로 확대하는 조항도 신설했다.

한편 이번 조례 개정안은 내달 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되는 제227회 임시회에 상정돼 건소위의 심의를 거친 후 본회의에서 의결될 예정이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속보>=대전지역 무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틀째 청약접수를 받은 대전 도안지구 1블록 국민임대아파트 주택형 가운데 33㎡형을 제외하곤 모든 주택형이 마감됐다.

<본보 8월 26일자 7면 보도>대한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는 26일 도안지구 1블록 휴먼시아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청약마감 결과, 총 공급호수 1668가구 가운데 2610명이 접수를 마쳐 평균접수율 156%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최종 청약접수 현황을 보면 전용면적 51㎡형이 229가구 모집에 826명이 몰려 360%의 가장 높은 접수율을 보였다.

46㎡형은 260가구 모집에 503명이, 39㎡형은 640가구 모집에 846명이, 33㎡형은 539가구 모집에 435명이 각각 청약 접수해 33㎡형을 제외하곤 모든 주택형이 청약 100%를 무난히 돌파했다.

도안지구 1블록 국민임대주택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 것은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분양받거나 매입하기 부담되는 상황에서 임대료가 싼데다 충분한 기반시설을 갖췄고 도시철도 역세권이라는 점이 실수요자들의 구미를 당긴 것으로 분석된다.

당첨자 발표는 내달 10일, 계약은 같은달 22~24일에 체결된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6일 한 시민이 대전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앞의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 수요자들이 전셋집 구하기에 나서고 있지만 찾기가 만만찮다.

올해 대전지역에 중소 평형대의 신규 입주 아파트가 없는 데다 기존 아파트의 전세물건마저 품귀현상을 보이면서 전세금만 치솟고 있다.

전셋집을 구해야 하는 수요자나 올 가을 전세계약 만기가 되는 세입자라면 하루빨리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입주가 시작되는 아파트나 입주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아파트’를 찾아보라고 조언한다.

대전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 8~12월 입주 예정 아파트는 5개 단지 2222가구(임대 140가구 포함)이다.

8~12월 입주 예정 아파트는 △서구 변동 나성임대아파트 140가구(임대) △서구 괴정동 아이누리주상복합아파트 171가구 △유성구 도룡동 로덴하우스 68가구△유성구 봉산동 휴먼시아 990가구 △유성구 봉산동 주공국민임대 853가구 등이다.

이 가운데 10월 봉산지구 휴먼시아 공공분양 아파트 990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대단지 아파트의 입주시기에는 전세 물량이 대거 쏟아져 나오면서 싼 값에 전세 거래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봉산 휴먼시아는 95㎡형 12가구, 105A1㎡ 208가구, 105D㎡ 34가구, 109A2㎡ 104가구, 109B1㎡ 89가구, 109B2㎡ 74가구, 109C㎡ 35가구, 109E㎡ 34가구, 138A1㎡ 7가구, 138A2㎡ 7가구, 138B㎡ 6가구로 분양가는 1억 6044만 원, 1억 8048만 원, 2억 4600만 원 등이다.

또 지난해 11월 입주가 시작된 대전 천동 휴먼시아는 분양 763가구, 임대 946가구로 구성됐는데, 주공 대전충남지역본부가 미분양 아파트를 전세로 내놨다. 전세금은 99㎡형과 109㎡형의 경우 9000만 원, 142㎡형은 1억 1000만 원이다.

전세계약이 통상 2년 단위로 이뤄지는 특성에 따라 입주 2년차 아파트는 전세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이들 단지를 중심으로 발품을 판다면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대전에서는 유성구 관평동 대덕테크노밸리 7, 8단지 ‘예미지’와 11단지 '우림필유 2차’가 입주를 시작한 지 만 2년을 맞는다. 예미지는 119㎡형(36평형) 299가구, 132㎡형(40평형) 390가구, 165㎡형(50평형) 230가구로, 우림필유 2차는 152㎡형(46평형) 116가구, 181㎡형(55평형) 162가구, 221㎡형(67평형) 46가구로 각각 구성됐다.

입주 4년차를 맞은 아파트 단지도 입주 2년차에 전세계약을 했던 세입자가 다른 곳으로 이사하면서 전셋집이 다시 매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4년차 아파트 단지 전세금은 입주 당시와 달리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단지와 비슷한 시세를 형성한다.

따라서 입주 당시보다는 전세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염두해야 한다.

대전에서는 서구 복수동 ‘초록마을’과 유성구 노은동 ‘송림마을’ 등이 입주 4년차를 맞는다. 복수동 초록마을 1단지 ‘예미지’ 118㎡형 전세금은 1억 1000만~1억 2000만 원, 2단지 ‘현진에버빌’ 115㎡형은 1억 1000만~1억 1500만 원, 3단지 ‘계룡 리슈빌’ 117㎡형은 1억 1100만~1억 1200만 원, 5단지 중흥 S-클래스 115㎡형은 9000만~1억 원 선이다.

하기동 송림마을 3단지 104㎡형은 1억 1000만~1억 2000만 원 , 송림마을 5단지 115㎡형은 1억 2000만~1억 1300만 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