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볼라벤'의 영향에 따른 농수산물 전반에 걸친 대규모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폭염과 폭우로 이미 오를대로 오른 채솟값은 또 다시 폭등 조짐을 보이고 있어 추석물가도 비상이 걸렸다.

2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충북도내 유통업계에 따르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채소값은 태풍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산지에서 물량 관리에 들어가 벌써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애호박(1㎏)의 도매가는 6725원으로, 일주일전 2350원과 비교해 3배 가까이 값이 폭등했다. 호박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지난해 같은 기간의 값인 3969원과 비교해도 이미 두 배 가까운 수준이다.

주키니 호박도 ㎏당 가격이 5280원으로, 일주일전 1460원보다 5배 가까이 올랐다. 또 27일 거래 가격인 3840원보다는 37.5%나 상승했다. 적상추 값도 1만 4600원, 청상추는 1만 2350원으로 일주일전보다 값이 두배로 급등했다.

이는 직전 거래일보다도 20% 넘게 오른 것이다. 시금치 값도 1만 500원으로, 불과 한 달전 5500원에서 값이 두 배로 오른 후 꾸준히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과일 값도 들썩일 전망이다.

아직 사과와 배는 ㎏당 각각 7400원, 3840원으로 일주일째 같은 가격을 이어가고 있지만 태풍 피해가 반영되면 얼마나 치솟을지 짐작하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대체적 분위기다.

과일과 야채류는 태풍의 가장 직격탄을 맞은 품목이다. 올 가을 풍작이 점쳐졌던 만큼 낙과에 따른 피해가 어느 때보다 클 전망이다. 실제 나주와 전주가 주산지인 배의 경우 시설물 피해가 이미 잇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채소류 역시 하우스 피해가 잇따라 보고되고 있지만, 정확한 피해 규모는 현재로선 확인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수산물값도 들썩이고 있다. 이날 고등어(10㎏) 한 상자 도매가는 3만 5000원으로, 직전 거래일인 16일보다 30%가량 올랐다. 갈치(5㎏)는 중급 한 상자에 전 거래일보다 97%나 오른 11만 1000원, 참조기(10㎏들이) 한 상자에 49% 상승한 9만 6667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농협청주하나로마트 관계자는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일부 품목을 제외하곤 당장 농수산물 시세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이번 태풍에 따른 농가들의 실피해 정도에 따라 다음달 추석을 전으로 시세가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 6월부터 확대 운영 중인 대전시민 공용자전거인 ‘타슈’의 이용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시민의 발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8일 대전시 시설관리공단에 따르면 종전 200대에서 1127대로 늘어난 타슈의 8월 현재 대여건수는 일평균 2628건으로 대당 2.3회의 회전율을 보이며 확대운영 전인 지난 5월말(304건)에 비해 무려 8배 이상 증가했다.

확대운영 이후 신규 회원 가입자 수는 5673명으로 20대(39.5%)가 가장 많고, 40대(20.8%), 30대(20%), 50대(9%), 10대(8%), 60~70대(2.6%) 등으로 나타나 남녀노소 모든 연령 층에서 타슈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회원가입은 1일 권(73%)이 가장 많았고, 1년 권(18.9%), 30일 권(7.3%), 7일 권(0.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타슈 이용 시 이동거리는 평균 1.6㎞로 평균 33분 동안 이용하며, 시간대별 이용은 오전보다는 오후, 특히 오후 8~11시 사이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둔산·유성, 송촌, 도안, 태평, 판암·가오 등 대전 5개 권역으로 확대된 타슈는 체계적인 관리와 서비스 제공으로 대전의 대표적인 녹색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용이 증가하면서 이용자들의 부주의로 인한 고장 및 파손도 잦아지고 있다.

실제 1인용 자전거를 두 사람이 타고 다니거나, 인도 턱 등을 마구잡이로 올라타는 등 부주의한 운행으로 일평균 50여 대를 수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속보>=새로운 대전과학고로 전환될 학교로 신탄중앙중이 최종 결정됐다.

대전시교육청은 현 대전과학고가 대전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됨에 따라 대전지역 학생의 과학교육 수혜 확대를 위해 대전1과학고(가칭) 설립 예정지를 대덕구 신탄중앙중학교로 정했다고 28일 발표했다.

발표에 앞서 이날 오전 10시 시교육청 중회의실에서 '대전1과학고' 설립과 관련해 '대전1과학고 설립·지정 추진위원회'를 개최했으며 심의 결과 대전1과학고 설립 예정 최적지를 신탄중앙중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 14일 김신호 교육감 기자브리핑에서 “대전1과학고는 대덕구내의 초·중등학교 중에서 1개교를 전환해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후속 조치다. 신탄중앙중이 설립 예정지로 결정된 것은 동·서부 지역교육 균형 발전과 교육격차 해소뿐만 아니라 대덕구 내의 다른 학교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우수자원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용이하고 현 대전과학고보다 실제 가용면적이 더 크며, 대전의 과학영재를 기르는데 최적지라는 시교육청의 판단이 작용했다.

이번에 설립될 대전1과학고는 오는 2014년 3월 개교 예정으로 1학급당 학생 수 18명, 학년당 5학급으로 총 15학급, 총정원 270명이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충북지역이 15호 태풍 ‘볼라벤’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었던 28일 천연기념물 290호로 지정된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의 ‘왕소나무’(王松·일명 용송(龍松))가 뿌리째 뽑혀 쓰러지자 괴산군 관계자들과 마을 주민들이 사고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제15호 태풍 ‘볼라벤’이 서해안을 통과하면서 대전과 충남지역 곳곳에서는 가로수가 쓰러지고 정전사태가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다. 볼라벤이 관통한 28일 충남지역에서는 3명이 숨졌고, 대전·충남지역에서 5만 6180가구가 정전피해를 입기도 했다.

대전지방기상청에 따르면 27일부터 28일 오후까지 지역에 내린 비의 양은 보령 38㎜, 태안 29.5㎜(근흥 57㎜), 서산 25㎜, 대전 7.8㎜, 세종 2.0㎜를 기록했다. 태풍의 세력이 예상보다 약화되면서 비의 양은 적었지만, 바람은 태안 격렬비열도가 초속 39.4m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초속 20m~26m의 강풍이 부는 등 관련 피해도 속출했다.

◆대전·세종 비교적 피해 적어

대전과 세종은 가로수와 간판 등이 쓰러지는 강풍 피해가 일부 발생했으나, 피해가 크지 않았다. 대전은 가로수 63그루와 간판 48개가 쓰러지고, 13곳의 주택과 2곳의 유리가 파손됐다. 또 대덕구 송촌동 한 병원 간판이 뜯겼고, 서구 월평동 한 버스정류장 지붕이 무너지기도 했다. 서구 장안동과 대덕구 삼정동 일대 1500가구가 나무 전도로 잠시 정전을 겪었다.

◆인명피해에 대규모 정전까지

태풍의 중심과 인접했던 충남 서해안 지역에서는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심각했다. 볼라벤이 관통한 28일 낮 12시 10분경 서천군 한산면 한 주택 옥상에서 비닐하우스 정리를 하던 정 모(73·여) 씨가 작업 도중 추락해 사망했다.

또 천안시 동면 화덕리에서는 김 모(90·여) 할머니가 현관문을 열다 강풍에 머리를 부딪쳐 숨졌고, 부여군 은산면 거전리에서는 김 모(74·여) 씨가 헛간 지붕에 포장을 덮다 담장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태안군 고남면 고남6리에서는 김 모(68)씨가 선박 고정작업을 나갔다 넘어져 두개골 골절로 입원 치료중이나 의식불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쓰러진 가로수와 간판이 전선을 덮치면서 대규모 정전 사고도 속출했다. 이날 오전 9시 30분경 충남 청양군 정산면 일대 1800가구가 불안에 떨었고 보령시, 부여군, 홍성군, 태안군 등에서도 비슷한 정전 사고가 발생해 모두 5만 4000여 가구가 큰 불편을 겪었다.

서해안 7개 항로의 여객선 운항이 전면 통제되면서 섬으로 들어가는 바닷길도 모두 꽁꽁 묶였다. 또 보령시 효자도리 소도섬 선착장에서는 계류 중이던 3.5t급 어선 1척이 계류색이 끊어져 선박이 유실됐다.

충남은 가로수 93그루, 간판 185곳, 신호등 5곳이 쓰러졌고, 지붕 99곳, 창문 56곳이 파손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이 북상하면서 힘을 잃고 빗줄기는 약해졌지만, 강풍이 이어지면서 서해안을 중심으로 피해가 컸다”면서도 “제14호 태풍 덴빈도 한반도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15호 태풍 ‘볼라벤’이 동반한 강풍으로 수확을 앞둔 사과가 90% 이상 떨어진 충북 괴산군 연풍면 유하리 과수원에서 한 농부가 망연자실한 표정을 짓고 있다. 연합뉴스  
 

태풍 볼라벤이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도심지역에도 피해를 안겼지만 특히 수확을 앞둔 충북도내 과수농가는 낙과 및 나무손상 등의 피해가 집중됐다.

이번 태풍의 피해가 과수농가에 집중된 이유는 볼라벤이 지나며 충북지역에 폭우 없이 강풍만 휩쓸고 갔기 때문이다. 이 로인해 상대적으로 논 농사는 피해가 적었지만 과수농가는 직격탄을 맞았다.

28일 충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6개 시·군 198.9㏊의 농지에 피해가 발생했다. 충주에서는 사과 0.4㏊, 비닐하우스 0.1㏊ 한 동 등 0.5㏊가 피해를 입었다.

청원에서는 배 6㏊·벼 3.1㏊·방조망 0.8㏊·인삼시설 2.6㏊·창고 1동·비닐하우스 0.4㏊ 등 12.9㏊가, 옥천에서는 인삼 6.3㏊, 비닐하우스 2동 0.1㏊ 등 6.4㏊에 피해가 발생했다. 영동이 가장 큰 피해를 봤다. 영동군은 사과 60㏊, 배 80㏊, 복숭아 30㏊, 벼 5㏊ 등 175㏊가 손실을 입었다. 또 괴산은 사과 2.1㏊, 단양은 수수 2㏊가 피해를 봤다.

하지만 현장에서의 피해 집계가 늦어지고 있어 향후 피해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이날 청원군 미원면의 과수농가는 지형에 따라 약 50%에서 80%의 사과가 낙과했다. 산등성이에 위치한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지만 평지에 위치한 과수원의 낙과율이 높았다.

특히 미원면의 특색사업으로 추진중인 계원리 사과나무 가로수는 90% 이상의 사과가 떨어져 처참한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수확을 앞둔 가을옥수수가 대부분 넘어져 상품성이 떨어졌고, 인삼농가도 큰 피해를 봤다.

하지만 청원군의 사과농가 피해는 충북도의 피해상황보고에 포함돼 있지 않았다. 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된 제천에서도 한수면 송계리의 배과수원 2곳에서 약 60%의 낙과 피해가 발생했다. 음성에서도 일부 과수원에서 낙과 피해가 일어났다. 충주에서는 살미면 공이리의 한 복숭아 농장이 막대한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번 태풍으로 특히 전국 최대 포도산지인 영동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열릴 예정인 ‘영동포도축제’에 차질이 빚어질 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밖에 강풍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깨, 고추 등의 농작물도 피해가 컸다.

태풍 볼라벤으로 인한 피해가 과수농가에 집중되면서 추석을 앞두고 수확을 기대했던 농민들의 상실감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 추석을 한 달 여 앞둔 시점에 농산물에 피해가 집중됨으로써 추석 물가도 들썩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피해보상을 놓고 풍수해보험에 대한 실효성 논란도 다시 재현될 조짐이다. 이날 사과농장에 피해를 입은 청원군 미원면 계원리 박동선(47) 씨는 “태풍에 대비해 27일 모든 나무에 지지대를 설치했지만 버티지 못했다”며 “보상이 제대로 이뤄질 것 같지 않아 풍수해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는데 큰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에서 배과수원에 피해를 입은 김현수(55) 씨도 “재해보험에 들지 않아 보상받을 길이 막막하다”고 전했다.

한편 충북도는 다음달 7일까지 농림수산식품부에 피해상황을 최종 보고하고 다음달 27일까지 피해정밀조사 및 피해복구액을 보고 할 계획이다. 또 규정에 따른 재난지원금 지급하고 경미한 피해는 자체복구를 유도할 예정이다. 본사종합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