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동산 시장은 참담할 만큼 불황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부동산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로 청주지역의 새롭게 형성된 주거지구 신축 건물들이 분양보다는 일정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임대형으로 전환하고 있다.

17일 지역 부동업계에 따르면 새로운 상권 형성에 따라 분양을 목적으로 상가를 건축하다가 임대형 방식으로 전환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경기가 불황기일 때 건물주들에게 인기를 끄는 것은 일반적으로 임대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임대형 방식이기 때문에 최근 신축되는 건물들은 1차 분양을 시도하다 임대형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매매 및 임차인조차 찾기가 어려워 건물주들은 발만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강서지구의 경우 신축상가 매매 및 임대를 위해 부동산 중개업소에 의뢰하는 것도 모자라 여기저기 현수막을 내걸어 보지만 매수자 및 임대자를 ㅤㅊㅏㅊ기가 하늘의 별따기 수준이다.

이곳의 경우 7층 이상의 메디컬 전문 및 다양한 상가 빌딩들이 신축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해 전문적으로 임대형 방식으로만 신축하는 빌딩도 있는가 하면 1차 목적을 분양으로 두었다가 임대형으로 전환하는 빌딩도 늘어나고 있다.

산남지구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분양이 되지 않아 임대로 전환했지만 임차인조차 구하지 못해 임대료마저 대폭 낮추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인근의 한 부동산 중개인은 "강서지구에 매물로 나온 상가들은 많다. 하지만 찾는 사람이 없고 건물을 그냥 놀리기는 아까워 임대로 전환하고 있는 곳들이 많다"며 "부동산 경기가 힘들 때는 임대로 전환해 일정 수익을 올리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지만 이마저도 임차인을 다 채우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영덕 기자 ydcho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파격 인하 이후 변동형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지속적으로 내리고 있어 이자 부담에 허덕이던 기존 대출자들의 부담이 완화될 전망이다.

17일 증권협회 고시 CD금리(91일물)는 전날보다 0.15%포인트 떨어진 4.34%를 기록하며 지난 2006년 4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이에 따라 CD금리는 지난주 기준금리 인하 이후 1주일 만에 무려 1.07%포인트 내린 셈이다.

CD금리 인하에 따라 시중은행의 변동금리부 대출금리도 속속 인하 바람을 타며 6%대로 내려앉는 중이다.

이날 우리은행은 18일부터 적용되는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주 초보다 0.46%포인트 내린 5.42~6.72%로 고시했고, 하나은행도 5.44~6.74%로 하향 조정했다. 이 밖에 신한은행도 최저 대출 금리를 5.46%까지 내리는 등 다른 시중은행들의 금리 인하도 잇따를 전망이다.

당초 금융권은 기준금리의 대폭 인하에도 높은 은행채 금리 등의 영향으로 실제 대출금리 인하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한은이 지난 16일 환매조건부 채권 매입을 통해 금융권에 2조 원을 공급하는 등 유동성 완화에 나서며 CD금리 인하를 유도했다.

여기에 미국 등 세계 주요국가의 중앙은행들이 제로금리에 이르는 저금리 정책을 전개하면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추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16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은 사상 최초로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제로금리 수준인 0~0.25%로 낮췄다.

일본은 이미 지난 10월에 기존 0.5%의 기준금리를 0.3%로 내리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한은도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지만, 물가상승 우려와 환율급등 부담에 따라 인하 폭에는 제한이 따를 전망이다.

게다가 일각에서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있어도 극심한 유동성 부족에 시달리는 은행들의 사정과 금융권 전반의 자금경색 등으로 실제 대출금리 인하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다.

한편 이날 원·달러 환율은 미 제로금리의 영향으로 전날보다 24.60원 급락한 1325.0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고, 코스피지수도 각종 지표 악화에도 미 기준금리 인하 조치에 탄력을 받아 전날보다 8.19포인트(0.71%) 오른 1169.75로 장을 마쳤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대전시교육감 선거 투표일인 17일 김신호 후보가 당선이 확정되자 부인 김태남 여사를 비롯 지지자들과 함께 손을 들어 답례하고 있다.

전우용 기자 yongdsc@cctoday.co.kr ☞동영상 cctoday.co.kr 허만진 영상기자
 
 
첫 주민직선제로 치러진 제7대 대전시교육감 선거에서 김신호(56) 현 교육감이 당선되면서 재선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3면

김 교육감은 17일 대전 331개 투표소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밤 10시 15분 현재 투표자 총수 15만 3025표 중 6만 9722표(45.74%)를 획득하며 2위 오원균 후보(득표율 26.84%)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당선됐다.

이날 110만 8959명의 유권자 중 15만 3025명이 참여해 15.3%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김 당선자는 대전교육에 대한 안정 속 변화를 바라는 시민 열망과 교육계의 안정적 지지를 바탕으로 재선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15.3%에 불과한 낮은 투표율도 현직인 김 당선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날 투표율은 교육감 직선제 전환 이후 지난해 2월 14일 처음 치러진 부산교육감 선거 투표율 15.35%, 올 6·25 충남교육감 선거 투표율 17.2%, 7·23 전북교육감 선거 투표율 21.0%, 7·30 서울교육감 선거 15.5% 등보다 낮은 역대 최저치로, 대표성 시비 등 교육자치에 대한 논란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김 당선자는 충남 논산 출신으로 공주교대 교수와 제4대 대전시교육위원 등을 거쳐 지난 6대 교육감에 등극한 뒤 교육감 재선에 성공하며 입지를 굳혔다.

김 당선자는 이날 당선 확정 후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당선의 영광을 안겨준 대전시민과 선거기간 내내 도와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첫 주민직선 교육감으로서 선거기간 동안 제시한 공약은 반드시 실천할 것이며 민선교육자치 시대의 꽃을 활짝 피우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당선자는 또 “끝까지 선전해준 여타 후보들에게도 경의와 심심한 위로를 표한다”며 “행여 선거과정 빚어진 갈등과 반목이 있다면 모두 포용하고 대전교육 발전을 위해 함께 가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는 18일 오전 9시 30분 시선거관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당선증을 전달한다. 김 교육감은 내년 1월 16일 공식 취임식을 갖는다. 임기는 전국 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되는 2010년 6월 30일까지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대전교육감 선거결과 득표순위 <오후 10시 30분 현재 개표율 90.23%>
순위 이름 득표수 득표율 구별 득표현황(득표수/득표율)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1 김신호 69722 45.74 9727(44.19) 14704(46.16) 23650(46.14) 13388(47.11) 8253(43.67)
2 오원균 40917 26.84 6286(28.55) 8892(27.91) 13806(26.93) 6377 (22.44) 5556(29.40)
3 이명주 29848 19.58 4515(20.51) 5918(18.58)  9887(19.29) 5904 (20.77) 3624 (19.17)
4 김명세 11932 7.82 1482(6.73) 2336(7.33) 3906(7.62)  2745 (9.66)  1463 (7.74)
Posted by 충투 기자단 :
     2009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원서접수가 18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충북지역 대학들의 우수 신입생 유치경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대학들이 우선적으로 내세우는 ‘카드’는 우수학생에게 제공되는 각종 장학금이다. 등록금 1000만 원 시대 장학금이야말로 신입생들에게 가장 구미가 당기는 ‘당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경제위기 여파로 잇따라 등록금을 동결하는 상황에서도 장학금은 오히려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장학금 증액 추세가 뚜렷하다.

18일부터 22일까지 정시모집(정원 2541명) 원서를 접수하는 충북대는 입학생의 30% 정도를 성적장학생으로 선발, 최고 328만 원의 장학금을 주고 있다. 수능 종합 1등급으로 단과대 이상 수석자에게는 재학기간 등록금 면제는 물론 수학보조금으로 연간 80만~360만 원을 지급하고 있다. 고교시절 국제규모대회 입상자 등에게도 등록금 면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19일부터 24일까지 총 1694명을 정시전형으로 모집하는 청주대의 신입생 관련 장학제도는 파격적이다. 언어영역과 수리, 외국어 영역, 탐구영역(직업탐구 제외) 중 3개 영역이상 수능성적 1등급인 신입생에게 등록금 전액을 면제하고 재학 4년간 매월 60만 원의 수학보조금을 지급한다. 또 기숙사 비용도 전액 대학에서 지원한다. 4년을 통틀어 학생 1인당 7200만 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2009학년도 전체수석은 입학학기 등록금 전액을, 7개 단과대학 수석에게는 입학학기 수업료가 면제된다. 또 수능성적이 4개 영역 중 1등급이 2개 영역 이상인 경우 4년간 등록금 전액, 1개 영역 이상인 학생에게는 2년간 등록금이 면제된다.

서원대는 19일부터 24일까지 정시모집(1020명) 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이 학교 역시 우수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각종 특별장학금제도를 마련해 놓고 있다. 특별장학금 A(급)는 수능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2과목) 영역 중 3개 영역이 1등급인 경우로 이들에게는 4년간 등록금 전액면제는 물론 월 50만 원 지급과 함께 재학 중 1회 해외연수도 보내준다. 특별장학금 B는 수능 3개 영역 이상 2등급인 경우로 2년간 등록금 전액이 면제된다. 특별장학금 C는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 중 1개 영역이 1급인 경우로 1년간 등록금이 면제된다. 또 등록금 전액을 면제하는 음악, 미술, 디자인학과의 실기 우수장학금도 다양하다.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는 신입생 전원에게 수업료 50%를 장학금으로 내걸고 우수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최우수 신입생에게는 4년간 등록금 전액 면제와 함께 유학기회도 제공하는 등 우수생에 대한 각종 혜택을 마련해 놓고 있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지역균형발전, 여기서 멈출 수 없다!’ 란 주제로 지역발전정책토론회가 17일 청주시 상당구청 민방위교육장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열띤 토론을 펼치고 있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이 기업 U턴과 산업단지 미분양 등 충북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승환 중소기업중앙회 충북본부장은 17일 홍재형 국회의원이 청주 상당구청에서 개최한 지역발전정책 토론회에서 “충청권으로 투자유치를 약속했던 일부 기업이 수도권으로 되돌아가는 ‘수도권 U턴’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기업유치, 지속될 수 있나’란 주제발표를 통해 “수도권에 부지를 소유하고 있거나 과밀화 기회비용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지방 이전을 기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로 인해 도내 산업단지에 미분양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충북이 수도권에 근접해 수도권 규제로 지방이전을 검토하는 기업들의 대체 입지 등을 부각시켜야 한다”며 “전략산업의 입지환경을 수도권보다 더 좋게해 기업들의 자발적인 이전을 유도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김경용 도 균형발전국장은 ‘충북발전 청사진, 안심해도 되나’란 발제에서 “수도권 규제완화로 산업단지 미분양 사태, 대기업 또는 첨단기업의 지방이전 기피, 투자유치 기업의 수도권 U턴 현상 등이 우려된다”며 “지역균형발전 협의체를 중심으로 총력 대응하고, 충북의 미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미래기획단’을 구성해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두영 수도권과밀반대전국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수도권은 비수도권의 모든 자원을 빨아들이는 거대한 블랙홀로 이미 세계에서 가장 과밀 집중화된 상태”라며 “지방 황폐화를 가속하는 반헌법적 정책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경기 충북개발연구원 지역개발연구실장은 “국토개발정책이 공급 위주의 정책이며 각종 토지규제완화에 따른 전 국토의 난개발이 우려된다”며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의 철폐와 전 국토에 대한 난개발 방지 시스템 등이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성경륭 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은 기조발제를 통해 “현 정부는 수도권 규제완화로 투자증가,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경제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하지만 기업들의 연구개발 및 혁신노력이 미흡한 상태에서 이번 정책은 자칫 투자 증가는 미미한 상태에서 부동산 투기를 조장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