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대선출마를 선언한 뒤 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10일 대권 도전을 선언하면서 여야의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됐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국민 여러분의 아픔을 같이 나누고, 함께 해결하면서 국민 모두가 각자의 꿈을 이룰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길에 저의 모든 것을 바치겠다”며 18대 대선 출사표를 던졌다.

12월 19일 대선을 5개월여 남긴 상황에서 여론조사상 유력후보인 박 전 비대위원장이 대권 도전을 선언함으로써 사실상 대선 열전이 시작됐다.

박 전 위원장은 대선 첫 행보로 11일 대전과 청주를 잇달아 방문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박 전 위원장은 11일 오전 대전 유성구의 정부통합전산센터를 찾아 ‘정부 2.0 정책’을 발표한다.

박 전 위원장의 대권 도전은 이번이 두 번째로 지난 2007년 한나라당 후보 경선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패배해 후보 지명을 받지 못했다.

‘대권 재수’에 나선 박 전 위원장은 출마선언에서 “우리 정치는 국민들에게 절박한 삶의 문제가 아니라 민생과 상관없는 정쟁과 비방에만 몰두해 있고, 정치가 국민을 안심시키기는커녕 안보까지 걱정하게 만들고 있다”며 민생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이어 “이제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을 국가에서 국민으로, 개인의 삶과 행복 중심으로 확 바꿔야 한다”면서 ‘국민행복’ 우선을 천명했다.

그는 ‘국민행복’을 위한 3대 핵심과제로 △경제민주화 실현 △일자리 창출 △한국형 복지의 확립을 꼽았다.

박 전 위원장은 “경제민주화를 통해 중소기업인을 비롯한 경제적 약자들의 꿈이 다시 샘솟게 하겠다”면서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경제 질서를 확립해 경제민주화를 실현하는 일은 시대적 과제”라고 경제 민주화를 강조했다.

박 전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재벌의 소유구조 개선에 대해 “자기가 투자한 것 이상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불합리한 면이 있다”면서 “기존에 순환출자된 부분은 현실성을 감안할 때 기업 판단에 맡기더라도 신규로 하는 부분은 규제가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신헌 롯데쇼핑 대표는 10일 “엑스포과학공원에 조성되는 롯데의 복합테마파크는 테마파크와 워터파크가 주요 시설로 쇼핑시설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신 대표는 또 서울의 잠실 롯데월드와 제2의 롯데월드인 대전의 복합테마파크 외에 향후 국내에서 추가적인 롯데월드 조성은 없을 것이란 입장도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 엔터테인먼트몰에 들어서는 쇼핑시설에 대해 설명해 달라.

“문화수익시설에 일부 쇼핑시설이 조성된다. 이 쇼핑시설은 일반적인 개념이 아니라 판매와 문화, 예술이 어우러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해 개발할 계획이다.

전체적인 단지와 조화롭게 융화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 단순하게 대전시민이나 국내 관광객뿐만 아니라 중국 등 외국의 관광수요까지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판매시설로 조성할 것이다."

- 대전에서 별도 법인이 설립돼 사업이 추진되나.

“사업의 성공과 지속가능 측면에서 지역마다 별도의 법인을 만들어 추진하면 일부 장점도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사업의 연계성 면에서는 오히려 제약이 더 많다. 지역민을 우선 고용하고 지역 상품 판로 확대 등은 개별적으로 추진할 경우 유기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현재로선 별도 법인 설립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 롯데쇼핑은 최근 하이마트를 인수해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고 그룹 차원에서 비상경영도 선포했다. 복합테마파크 사업 추진에 영향은 없는가.

“하이마트 인수는 전체적인 자금 사정을 고려해 결정한 것이다. 복합테마파크 조성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거나 차질은 없다. 비상경영 선포는 유럽발 금융위기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사업 축소가 아니라 꼭 필요한 사업을 착실하게 진행하겠다는 의미다. 롯데의 자랑은 롯데월드다. 중국 등 롯데월드 조성을 희망하는 곳은 많다. 국내에서는 서울에 이어 대전에서 두 번째로 롯데월드가 만들어지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조성은 쉽지 않을 것이다."

- 쇼핑시설 규모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달라.

“새로운 개념의 복합문화공간으로 기존 쇼핑시설과는 차별화를 꾀할 것이다. 최근 유통판매시설은 복합단지 중심으로 개발되는 것이 추세다. 또 쇼핑시설은 보조적인 차원으로 테마파크와 워터파크가 주된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전통시장과 중소상인과의 동반성장을 기본정신으로 판매시설 규모는 최소화해 운영할 계획이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는 올 상반기 건축허가 면적이 전년대비 23%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주차장 완화를 골자로 하는 조례개정에 따른 단독(다가구)주택 건립이 늘어나고, 노은지구 아파트 건설사업에 대한 승인이 있었지만, 올해는 경기침체와 주택가격 하락 등으로 주거용, 상업용, 기타 용도의 건축허가가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건축허가 건수는 총 1762건, 면적으로는 113만 6000㎡로 지난해 1862건, 147만㎡에 비해 건수로는 5%, 면적으로는 23% 감소했다.

이를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지난해 882건, 55만 6556㎡에서 올해는 835건, 32만 7532㎡로 건수로는 5%, 면적으로는 무려 41% 줄었다.

또 상업용은 지난해 704건, 53만 3939㎡에서 올해는 662건, 38만 7796㎡로 건수로는 6%, 면적으로는 27%가 감소했다.

반면 공업용은 지난해 53건, 5만 4865㎡에서 올해는 66건, 6만 62㎡로 건수로는 25%, 면적으로는 9%가 증가했다.

이 같은 건축허가 감소는 착공에도 곧바로 영향을 미쳐 올 상반기 착공면적이 전년대비 44%나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올 상반기 건축착공 건수는 총 1266건, 85만 8000㎡로 지난해 1424건, 152만㎡에 비해 건수로는 11%, 면적으로는 44%가 줄어들었다.

시 관계자는 “주거용 건축물 중 다가구 주택은 꾸준히 착공되고 있지만, 아파트 착공이 급감한 것이 전체적인 건축경기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