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통폐합 이전기관 이전지역 조정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밝힘에 따라 지역간 통폐합이전기관 유치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26일 열린 시·도부지사회의에서 “통폐합 이전기관의 이전지역 조정방안을 조만간 마련하겠다”며 관계 지자체에 의견을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국토해양부는 “이전기관과 비이전기관간 통합의 경우 원칙적으로 이전기관이 당초 이전하기로 계획했던 지역으로 통합기관의 핵심기능을 이전할 계획”이라며 “이전기관과 이전기관간 통합의 경우 혁신도시의 기능제고와 지역간 형평성을 고려하되, 관계부처와 지자체간 협의를 통해 이전지역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정부의 혁신도시 이전 통폐합기관의 이전지역 조정방안 마련에 따라서 충북도의 중부신도시 통폐합 이전기관 유치가 바빠졌다.

진천·음성혁신도시인 중부신도시로 이전하는 12개 이전공공기관 가운데 한국노동교육원은 폐지되고, 한국인터텟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이 각각 한국정보보호진흥원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 통합됐다. 이에 따라 충북은 이들 통합기관을 대상으로 이전기관이 통합대상이 된 경남, 광주·전남과의 유치전을 벌여왔다.

도는 그동안 통합대상기관을 상대로 진천·음성에 건설 중인 중부신도시의 우수한 정주여건과 수도권에서의 용이한 접근성을 내세우며 유치노력을 기울였다.

도 관계자는 “중부신도시로 이전하는 기관의 통폐합 결정 이후 현재까지 해당기관에 대한 유치노력을 기울여왔다”며 “국토해양부가 통폐합 이전기관 이전지역 조정방안을 조속히 마련한다고 한 만큼 적극 대처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당초 중부신도시에는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노동교육원, 법무연수원, 중앙공무원교육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비자원, 기술표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 12개 기관이 이전할 예정이다.

이 중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기술표준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비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 7개 기관의 이전이 확정됐다.

반면에 법무연수원, 중앙공무원교육원 등의 이전은 확정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국토해양부는 지방이전계획이 승인되지 않은 40개 기관에 대해 공공기관 통폐합 등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올해말까지 이전계획 승인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국내 최초로 인삼 12년근 대량재배에 성공한 충남대 인삼 특화작목 산학협력사업단이 26일 12년근(왼쪽)과 6년근을 비교해 보이고 있다.

전우용 기자 yongdsc@cctoday.co.kr
 
 
국내에서 최초로 인삼 12년근 대량재배에 성공했다.

충남대 인삼 특화작목 산학협력사업단은 26일 인삼 재배 농업인인 심일섭(73) 씨가 보령시 천북면 장은리 소재 인삼밭(2479㎡)에서 지난 1997년부터 현재까지 12년간 인삼을 대량재배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3면

인삼 12년근은 홍삼원료로 사용되는 6년근과 비교해 재배기간이 2배에 달하는 것으로 국내에서 대량재배에 성공한 사례는 심 씨가 유일하다.

충남인삼 특화작목 산학협력단은 심 씨가 재배한 인삼을 채취해 나이테 검사에 의한 연근판별법과 인삼의 뇌두형태 등에 대한 검증을 거쳐 12년근임을 공식 인정했다.

심 씨의 12년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식품위생검사기관인 중부대 생명과학연구센터에서 실시한 잔류농약 검사결과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판명됐다. 심 씨의 인삼은 평균 무게가 304.4g으로 6년근 평균(105.2g)에 비해 3배가량 무겁고 조직도 치밀하다.

충남인삼 특화작목 산학협력단장을 맡고 있는 충남대 농생명과학대 최재을 교수는 “12년근 인삼의 대량재배는 국내뿐만 전 세계적으로도 관련학계에서 보고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