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얄개들

2008. 10. 31. 10:55 from 사는이야기

빨리 크기를 소망했다. 어른이 되고 싶었다. 소년이 싫었다. 하루에도 여러 번 처마 밑 대들보에 금까지 그어가며 키를 쟀다. 콩나물시루처럼 아침이면 부쩍 커있는 나를 보고 싶었다. 그러나 자라지 않았다. 사춘기는 아프기만 할뿐이었다. 목소리는 변성기를 앓고 가슴은 부질없는 속앓이를 했다. 무서웠다. 꿈조차도 갈기갈기 찢어버리는 처절한 몸부림이었다. 공부를 멀리 하고 친구들과 몰려다니다 보니 자연스럽게 한눈을 팔게 되었다. 다름 아닌 딴따라. 친구들과 <좋은 친구들>이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나는 기타 치는 재주가 없어 부득불 드럼을 맡았다. rock~&~roll.

여름방학이 시작되자 우린 벽촌으로 숨어들어 연습을 시작했다. 제천 두학면 자작리라는 곳인데 퍼스트 기타 겸 보컬을 맡은 친구가 그곳에 살았다. 비포장도로를 한없이 달려 종점에 다다르면 버스 돌릴 공터도 없는 깡촌(강촌)이었다. 그곳에 모인 네 명의 친구는 기타 두 명, 베이시스트, 드럼으로 나뉘어 밤낮으로 연습했다. 버스 종점은 사람을 그리움에 사무치게 하는 습성이 있다. 출발점을 종점으로 하고 종점을 출발점 삼는 버스를 보며 인생이 뭔가하는 감상에 젖는다.

드럼은 용돈을 모아 중고로 구입했다. 주로 연습한 곡은 ‘건아들'의 ’젊은 미소‘였다. 당시 젊은 미소를 완주(完奏)하면 다른 곡들도 쉽게 연주할 수 있다는 소리를 들었었다. 샌드페블즈의 ‘나 어떡해’, 들국화(전인권), 부활(이승철) 등의 곡도 주된 연습곡이었다. 우린 네오나치 패거리들이 선호하는 스킨헤드를 하고는 날마다 쿵쿵따다~쿵쿵따다 했다. 물론 악보 보는 법을 잘 몰라 드럼의 경우 카세트 음악을 들으면서 음계를 카피했다. 들으면서 카피하면 청음능력도 좋아지고 각 파트의 소리의 차이를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나는 악보를 볼 줄도 쓸 줄도 모른다"고 말한 mr.Big의 빌리시안의 말처럼).

림숏, 하이햇 오픈-클로스 같은 기본적인 주법은 대강 교본을 보고 기본적인 레퍼토리를 구성하고 나머지는 대강대강 때렸다. 스네어 드럼(snare Drum)과 하이-헷 심벌(Hi-Hat-cymbal)을 기본으로 치고 크래쉬 심벌(Crash Cymbal), 스몰 탐탐(Small Tom Tom), 라지탐탐(Large Tom Tom), 라이드 심벌(Ride cymbal)등을 기각기 한다. 기각기는 스네어-스몰탐탐-라지 탐탐을 2연음이든지 3연음, 혹은 4연음 등을 리듬, 박자에 맞추어 차례로 돌려치는 것을 말한다. 하이햇이 8비트라면 각기는 16비트로 돌리면 된다. 쿵 딱 쿵 딱 두구두구 두구두구 두구두구 두구두구 챙~, 쿵딱은 킥과 스네어이고 두구두구는 스네어-스몰탐-라지탐-플로어탐을 말한다. 각기를 부드럽게 돌리려면 드럼의 고무판을 제대로 맞춰야 한다. 베이스 드럼(Base Drum)은 큰 북처럼 생긴 것으로 발로 꾹꾹 밟는다. 그런데 손과 발이 따로 놀아야 한다는 게 제일 고역이었다. 스네어드럼은 왼손, 하이-헷 심벌은 오른손, 오른 발로는 베이스드럼을 밟는데 박자에 따라 손발이 낑낑댔다. 엇박자였다.

친구의 집은 가난했다. 때문에 삼시(三時) 세끼가 문제였다. 밥은 있는데 반찬이 없었다. 그렇다고 젊은것들이 모여 공부는 안하고 미친 년 꽹과리 치듯이 놀고 있으니 반찬이 좋을 리 없었다. 1식1찬, 밥과 고추가 전부였다. 청양고추를 된장에 찍어 먹는 게 유일했다. 청춘의 매콤한 반찬, 그래도 젊어서인지 눈물 콧물 다 빼며 맛나게 먹었다.

연습한지 두 달이 넘었을 즈음 초등학교 분교 운동장에서 첫 공연을 했다. 교단에 악기를 설치하고 동네방네 돌아다니면서 홍보를 했다. 심지어는 이장께서 마이크 방송까지 해주었다. 오후6시에 시작한 공연은 단 40분 만에 막을 내렸다. 관객이 30여명에 불과한 것도 맥 빠지는 일이었지만 문제는 공연 자체가 엉망진창이었다. 화음은 둘째 치고 저마다 잘났다고 따로 놀았다. 곡이 맞을 리 없었다. ‘젊은 미소’ 한 곡이 끝나자 관객이 자리를 뜨기 시작했다. 드럼을 치다가 스틱이 날라 가는 사고도 있었다. 악사가 연장을 놓치다니. 완전한 실패였다. 연습이 짧았다는 자위(自慰)는 하나마나였다.

40분 만에 막을 내린 얄개들의 첫 공연은 결국 마지막 공연이 되었다.(그후 드럼을 택시에 싣고 운반하는 도중 사람만 내리고 드럼은 놔두고 내렸다. 멍청한 드럼주인)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세기의 우정展

2008. 10. 31. 10:53 from 문화 & in


http://art.cctoday.co.kr/bbs/view.html?boardCode=culture&category=&no=1581&page=1&search=

반세기의 우정展 <루불동인전>

유희영 | 이종상 | 김인중 | 이철주

미술에 대한 열정과 꿈으로 50년이 넘는 세월동안 동거동락한 충남 출신 화가 4인이 한 자리에서 전시회를 연다.

오는 5일부터 내달 말까지 대전 아트센터 알트에서 열리는 '반세기의 우정전'은 각자의 영역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며 확고한 입지를 다져온 유희영, 이종상, 김인중, 이철주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들은 고교 시절 서양화가 김철호가 이끄는 미술반에서 함께 활동하며 화가로서의 꿈을 키워가기 시작, 주목받는 화가로 성장했다.

부여에서 태어난 유희영은 지난 1991년 서울 갤러리현대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파리, 뉴욕 등을 오가며 개인전을 여는 등 국내·외에서 작품 활동을 했왔고 현재 서울시립미술관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이화여대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원형상' '독도' 등이 대표작인 이종상은 예산 출신으로 서울대 교수 및 박물관장, 미술관 초대관장, 서울대 명예교수, 상명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예술원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천주교 신부인 김인중은 부여가 고향으로 파리와 도쿄, 벨기에 등에서 작품전시화를 연 바 있고, 지난 2006년 옥조근정 훈장을 수훈한 바 있는 이철주는 청양 출신으로 현재 중앙대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시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는 네 작가가 각자의 영역에서 이룬 확고한 작품세계와 성과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042-221-0520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대전미술 1970

2008. 10. 31. 10:52 from 문화 & in


*본 대전미술 1950은 대전 시립미술관 전시인 대전미술 하나전을 자료로 만들었으며
당시 활동이 활발했던 작가를 중심으로 했으나 작가의 사정 상 그 당시의 것이 아닌 작품을 출품한 작가도 있음을 밝힘니다*

대전미술 하나전

1970년은 대전미술이 급격히 넓어진 시기라고할 수 있다.
1971년 충청남도 미술대전이 개최되어 국전에서 소외되었던
충남 작가들이 화단에 많이 등장하게되었고
1973년 목원대, 한남대에 순수미술학과가 생기면서
충남에서 나고자란 작가들을 키워낼 수 있게되었다.
또한 화랑이 많이 생겨나 많아진 미술인들을 수용하게되었고
미술대학을 나오지 않았지만 미술을 사랑했던 사람들이
동호회를 만들어 활동하면서 미술인구를 늘리는데 기여하였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사다리 기자

2008. 10. 31. 10:50 from 기자's 기자

쌀 직불금 관련 농민 집회가 열린 충남도청에서 사진기자들이 집회시간이 길어지자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다. 이때 사다리는 의자 역할을 톡톡히 한다.
왼쪽부터 중도일보 지영철 선배, 충청투데이 전우용 기자, 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대전일보 빈운용 기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모처럼 웃은 객장

2008. 10. 30. 22:17 from 포토스토리
   
 
  ▲ 300억 달러의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로 금융시장이 안정되며 코스피지수가 사상 최대 폭등을 기록한 30일 증권사의 투자상담사가 분석표를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115.75포인트 폭등한 1084.72에 마감됐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와의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으로 30일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115.75포인트가 폭등, 1084.72로 마감됐다. 이날 지수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졌으나 여전히 불안한 모습으로 푸념섞인 말들이 나오고 있다.

충북지역의 한 증권사에서는 증시의 급상승을 가져온 호재에도 투자자들의 문의로 북새통을 이뤘다. A증권사의 경우 손실을 입은 펀드 투자자들의 문의방문이 하루 150여건 이상이어서 금융위기 분위기를 반영했다.

주식시장 자체가 불안하고 변동이 심하다 보니 일부 투자자들은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금리가 높은 금융권의 정기예금과 연금보험으로 눈을 돌리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안전성 보장 정기예금 증가

우선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권사의 펀드자금이 금융권으로 유입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투자자들은 시중 금융권에서 연 금리를 최고 7~8%대로 올리면서 정기예금 등 안전한 자산관리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 기준, 국내펀드에서 총 1조 7496억 원의 자금이 순 유출됐다. 이와 함께 국민·우리·신한·하나·외환은행·농협 등 6개 주요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달 15일 319조 4190억 원에서 10월 들어서면서 330조 원을 넘어섰다. 신한은행의 경우 정기예금 총 수신액이 지난달 말 44조 9567억 원에서 지난 23일 기준, 48조 3561억 원으로 늘어났다. 농협의 경우도 지난달 말 정기예금 잔액은 63조 7542억 원에서 29일 기준 65조 3767억 원으로 늘어났으며, 충북지역 또한 9월 말 2조 4428억 원에서 2조 4484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펀드자금에서 빠져 정기예금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긴 어렵지만 꾸준히 정기예금이 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펀드 투자로 몰리던 고객들이 안전성을 추구하면서 예금으로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금보험 가입 증가


불안한 투자자의 심리를 반영하듯 상대적으로 안전한 연금 보험으로도 돈이 몰리고 있다. A보험 청주지점의 9월 일반연금보험 월납 초회 보험료 수입은 54억 1669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 일반연금 보험 월납 초회 보험료 42억 2884만 원에 비해 크게 오른 수치다. 10월 월말 마감이 끝나지 않은 29일 현재, 일반연금이 62억 114만 8000원으로 집계돼 이달 들어 크게 증가됐다.

이에 대해 지역의 한 생명보험 관계자는 "고객들이 10월 초부터 지속적인 주가 폭락으로 인해 안전한 자산관리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10월 월말 마감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9월보다 훨씬 더 많은 가입이 늘어나는 등 투자자의 일반 연금보험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영덕 기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호서대 447억-우송대 351억 교비 불법 사용
순천향대 재단부담 건보료 61억 부당수령도

우송대와 호서대, 순천향대 등이 각종 편법·비위행위로 수십억에서 수백억 원의 예산을 부당 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1999~2007년 전국 81개 사립대 종합감사 결과 적발된 손실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9년간 이들 대학의 공금 횡령·유용·전용 등으로 인한 손실액은 총 4894억 원(4년제 대학 2824억 원, 전문대 207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100억 원 이상의 자금을 부당 운용한 대학은 14곳(17.5%)으로, 동해대가 458억 원으로 가장 규모가 크고, 다음으로 호서대 447억 원, 서일대 395억 원, 우송대 351억 원 등의 순이었다.

호서대는 교비를 불법 인출해 건물을 매입하고, 교육용 재산을 임의로 유상 임대한 후 이에 따른 사용료를 교비회계 대신 법인회계에 세입 처리하는가 하면 명예총장 보수를 부당 지급하고 교육시설 신축 및 개·보수 공사비를 부적정하게 집행한 사실이 적발됐다.

우송대는 법인자금 및 부속기관 운영비 일부를 회계에 편입시키지 않았고, 교수들에게 초과 강사료를 과다 지급했으며 두 건의 신축공사비 계상을 부적정하게 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순천향대는 같은 재단 산하의 의료법인 동은의료재단이 개설·운영하는 천안 및 구미병원 소속 전공의 864명을 사립학교교직원연금 및 건강보험료 납부 대상자(교직원 신분)로 불법 가입시켜 재단이 부담해야 할 연금 및 건강보험료 61억 원을 부당 수령했다.

안 의원은 “일각에서 사립학교법 폐지를 주장하고 있으나 사학 경영자들의 부정·비리로 막대한 재정 손실을 야기, 오히려 사립대에 대한 감사 강화와 그에 따른 사립학교법 개정이 요구된다”며 “법인의 역할 축소와 대학 구성원들의 의사결정기구 참여를 보장해 부당한 예산 운용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일 기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정부가 30일 수도권 규제완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토이용의 효율화 방안을 내놓자 비수도권 자치단체 및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야권에서도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일시에 무너뜨리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 박병석 정책위의장(대전 서갑)은 “경제가 어려우면 서민과 지방이 더욱 힘들게 되는 데 정부의 이번 수도권 규제완화는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며 “수도권 규제를 푸는 것은 어려운 지방을 더욱 어렵게 하고 국가균형 발전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정면으로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대전시당도 이날 ‘이명박 대통령은 진정 수도권대통령이 되려는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이명박 정부가 국가균형 발전을 외면하고 스스로 양치기 소년임을 자임하는 정책을 확정했다”며 “'선(先) 지방발전, 후(後) 수도권 규제완화’라는 이명박 정부의 국가발전 비전 제시가 결국 비수도권 국민을 속이고 시간을 벌려는 사탕발림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 현실로 드러난 셈”이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대전시당은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의 눈에는 진정 수도권 경제밖에 보이지 않는 모양”이라며 “이러다가 정말 경제대통령이 아니라 '수도권대통령’으로 불리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꼬집었다.

자유선진당 류근찬 정책위의장(보령·서천)도 이날 “수도권을 살리기 위해 지방경제는 죽어도 좋다는 식의 차별적 정책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수도권 규제가 풀리면 지방에 대한 투자가 위축돼 비수도권, 특히 충청권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방을 죽이는 수도권 규제완화는 정권을 위해서도, 국민과 지역을 위해서도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균형발전협의체 충청권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이상민 의원(자유선진당·대전 유성)은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방침은 수도권 규제완화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고, 지방을 포기하려는 거대한 음모다. 지방을 황폐화시키고 지방을 죽이려는 이명박 정부는 엄청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수도권 공장 신·증설 전면 허용방침을 전면 취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진당 이명수 대변인(아산)은 “국가균형 발전정책을 제대로 추진하기도 전에 본격적인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을 단행하겠다는 것은 정부가 수도권 일부 자치단체들만 대변하고 있음을 명백하게 입증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비수도권의 강력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역사와 후손들에게 죄를 짓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나인문기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와의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으로 30일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115.75포인트가 폭등, 1084.72로 마감됐다. 이날 지수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졌으나 여전히 불안한 모습으로 푸념섞인 말들이 나오고 있다.

충북지역의 한 증권사에서는 증시의 급상승을 가져온 호재에도 투자자들의 문의로 북새통을 이뤘다. A증권사의 경우 손실을 입은 펀드 투자자들의 문의방문이 하루 150여건 이상이어서 금융위기 분위기를 반영했다.

주식시장 자체가 불안하고 변동이 심하다 보니 일부 투자자들은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금리가 높은 금융권의 정기예금과 연금보험으로 눈을 돌리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안전성 보장 정기예금 증가

우선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권사의 펀드자금이 금융권으로 유입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투자자들은 시중 금융권에서 연 금리를 최고 7~8%대로 올리면서 정기예금 등 안전한 자산관리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 기준, 국내펀드에서 총 1조 7496억 원의 자금이 순 유출됐다. 이와 함께 국민·우리·신한·하나·외환은행·농협 등 6개 주요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달 15일 319조 4190억 원에서 10월 들어서면서 330조 원을 넘어섰다. 신한은행의 경우 정기예금 총 수신액이 지난달 말 44조 9567억 원에서 지난 23일 기준, 48조 3561억 원으로 늘어났다. 농협의 경우도 지난달 말 정기예금 잔액은 63조 7542억 원에서 29일 기준 65조 3767억 원으로 늘어났으며, 충북지역 또한 9월 말 2조 4428억 원에서 2조 4484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펀드자금에서 빠져 정기예금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긴 어렵지만 꾸준히 정기예금이 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펀드 투자로 몰리던 고객들이 안전성을 추구하면서 예금으로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금보험 가입 증가


불안한 투자자의 심리를 반영하듯 상대적으로 안전한 연금 보험으로도 돈이 몰리고 있다. A보험 청주지점의 9월 일반연금보험 월납 초회 보험료 수입은 54억 1669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 일반연금 보험 월납 초회 보험료 42억 2884만 원에 비해 크게 오른 수치다. 10월 월말 마감이 끝나지 않은 29일 현재, 일반연금이 62억 114만 8000원으로 집계돼 이달 들어 크게 증가됐다.

이에 대해 지역의 한 생명보험 관계자는 "고객들이 10월 초부터 지속적인 주가 폭락으로 인해 안전한 자산관리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10월 월말 마감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9월보다 훨씬 더 많은 가입이 늘어나는 등 투자자의 일반 연금보험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이명박 정부가 ‘선(先) 지방 육성, 후(後)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을 완전 포기하고, 수도권 규제를 사실상 전면 해제하자 충북 등 비수도권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이에 비수도권은 정부의 지방 고사 정책이 현실화됐다고 비난하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저지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30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제8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국토 이용 효율화 방안’을 확정한 뒤 “수도권 산업단지에 규모와 업종 제한 없이 공장의 신·증설을 허용하는 등 수도권 규제 합리화 조치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정부가 내놓은 방안 중 핵심은 수도권 산업단지에 모든 공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것을 비롯해 비산업단지에도 공장 신설은 막되 증설과 이전을 허용한 것으로 수도권 규제를 완전히 푸는 것을 의미한다.

규 제가 엄격했던 과밀억제권역에도 공장 증설을 허용했고, 경제자유구역과 주한미군반환 공여구역, 지원도시 사업구역 산업단지는 수도권 총량규제에서 배제했다.또 자연보전권역에 대한 개발사업도 크게 확대해 오염총량제 실시 지자체에 한해 규제를 완화했고, 관광지조성사업의 상한은 없애기로 결정했다. 특히 컴퓨터, 전자집적회로, 유·무선 통신기기, 자동차 부품, 항공기·우주선 등 25개 첨단 업종은 지금까지 수도권에는 공장을 지을 수 없었으나 이번 조치로 풀리게 됐다.

정부는 이 같은 수도권 규제완화 명분으로 △최근 경제위기 극복 △세계 국가 간 수도권 경쟁력 강화 △국내 기업의 해외 이전과 외국인 투자기업의 중국행 방지 등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지역균형발전협의체와 수도권과밀반대전국연대, 민주당 국회의원 등은 잇따라 성명을 내고 정부를 규탄하고 나서는 한편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비수도권 13개 시·도지사와 국회의원 등으로 구성된 지역균형발전협의체는 “이번 발표는 수도권 규제 철폐이며 수도권 일부 자치단체장의 지역 이기주의와 눈앞의 이익에 급급한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이라며 “지방을 초토화시키는 수도권 규제 철폐 시도를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수도권과밀반대전국연대 충북본부는 “수도권 규제완화 방안을 내 놓으면서도 적절한 지방의 균형발전 방안을 전혀 제시하지 않은 것은 비수도권을 고사시키는 정책”이라며 “국가 경쟁력을 무너뜨리는 이명박 정부는 국토 ‘비효율화 방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두영 수도권과밀반대전국연대 충북집행위원장은 “‘지방 홀대론’을 조장한 정부는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고, 대규모 집회 등 국민적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며 “그 동안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한 충북지역 시·도지사는 정부와 정치권에 강력히 항의하고 전면에 나서 이를 해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충북지역 국회의원들도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대책을 전면 거부하며 균형발전이라는 헌법적 의무를 내팽개치고, 지방 국민을 사지로 내 몰은 정부의 이 같은 작태를 반 헌법적 폭거로 규정한다”며 “이후 망국적인 수도권 규제완화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과 연대해 기필코 저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