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무현 전 대통령 시민추모위원회(이하 추모위원회)가 상당공원에 추진 중인 추모표지석과 관련 청주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추모위원회는 지난달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청주 상당공원에 설치된 노 전 대통령의 분향소에서 모인 시민들의 성금 중 분향소 운영 경비를 제외한 금액으로 오는 10일 노 전 대통령의 49제에 맞춰 추모표지석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모위원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700명의 청주시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찬성 58.2%, 반대 25.6%, 잘모름 16.3%’라고 발표하며 청주시민의 과반수가 노 전 대통령의 추모표지석 설치에 찬성한다는 근거를 내세웠다.

시는 일단 추모위원회 측에 표지석 설치와 관련 “시민 의견 수렴과 청주시 도시공원심의위원회의 자문을 받는 등 절차를 거쳐 회신할 계획이니 설치를 중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다음 주 중 700~1000여 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추모표지석 설치여부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온 후 도시공원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최종결정을 내린다는 입장이지만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나더라도 비난을 면치 못할 상황이라 고심하고 있다.

추모위원회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대해 시는 “믿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질문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자체 여론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하지만 추모위원회의 여론조사가 ARS 방식으로 진행됐고 찬성이 반대보다 2배 이상 많은 상황에서 시가 자체 여론조사를 실시하더라도 반대가 찬성보다 많이 나오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시의 여론조사 결과도 찬성이 과반수가 된다면 시는 추모표지석 설치와 관련 선택의 여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보수단체의 반대 여론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추모위원회의 추모표지석 건립 계획이 표면화된 이후 청주시 공원녹지과에는 이에 반대하는 보수단체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일부 강경보수단체는 공공연히 상당공원에 추모표지석이 설치될 경우 파손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충북지역 보수단체연합인 ‘충북미래연합’도 청주시에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며 공식적인 반대입장을 전달했다.

시 관계자는 “적법한 절차이행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면서도 “추모위원회 측과 보수단체 간의 입장차이가 너무 커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양 측의 입장을 고려해 노 전 대통령과 충북의 인연이 깊은 청남대에 추모표지석을 건립하는 방안을 추천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2006년 7월 충남도 민선 4기 ‘이완구 호’가 지역경제 활력화와 균형있는 지역발전, 충남도민 복지 향상이라는 기치를 들고 출항한지 3년이 흘렀다.

지난 3년간 충남도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시련을 희망으로’, ‘주변역사에서 중심역사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 같은 성과는 실사구시의 현장행정 중심과 소통·통합의 행정, 신중한 정책결정과 강한 추진력, 소외계층 우선 행정, 미래지향적인 행정, 도지사 권한 위임 등 이완구 식 도정운영 스타일이 충남도 조직문화 전반에 변화를 몰고 왔기 때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충남이 세계 속의 강한 충남으로 다시 태어날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 및 도청 신청사 기공식이 지난달 16일 홍성·예산 도청사 이전부지(행정타운 중심부)에서 첫 삽을 떳다.

특히 충남도와 경북도가 협력해 국회의원 공동발의로 ‘도청이전 신도시 건설 특별법’을 마련, 지난해 2월 국회를 통과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로 평가된다.

정부예산 지원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 국비 5000억 원 이상을 지원받을 수 있는 쾌거를 이뤘기 때문이다.

아울러 2007년 12월 국방대 논산이전이 결정됐음에도 국방대 측의 분리이전 주장 등으로 지지부진했던 이전사업이 원안 추진될 수 있었던 것도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충남도는 지난달 17일 국방대를 논산으로 완전 이전키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합의서를 이끌어 냈다.

지난해 4월 중앙부처의 협의와 검토를 거쳐 당진 송악, 아산 인주, 서산 지곡, 평택 포승, 화성 향남지구 등 5개 지역에 5505만㎡ 규모의 '황해경제자유구역'이 정식으로 지정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같은 해 7월에는 충남도와 경기도의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개발 및 체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경제특구를 조성하기 위한 추진기관으로서 '황해경제자유구역청'도 출범했다.

지난해 10월 충남도와 부여군, ㈜호텔롯데는 역사테마파크 투자유치 양해각서(MOU)를 체결, 모두 3100억 원을 들여 백제역사재현단지를 백제문화권의 핵심으로 만들어 가는 데도 적극 협력키로 했다.

◆시련을 희망으로

국회의 파행과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행정중심복합도시가 당초 취지대로 건설될지 여전히 의구심을 떨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기관 9부·2처·2청이 세종시로 이전한다는 정부고시가 지연되고 있어 행정도시 위상마저 크게 흔들리는 형국이다.

‘도지사직을 걸겠다’던 이완구 충남지사는 지난 1일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를 만나 안 원내대표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세종시법 국회 통과를 권고토록 하는 성과를 거둔 것은 그나마 다행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이번 6월 임시국회에서 세종시법이 통과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007년 12월에는 서해안 기름유출로 충남도가 일시적으로 패닉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나 ‘2009 안면도 국제꽃박람회(4월 24~5월 20일)’ 기간 198만 2538명의 관람객들이 태안을 찾아 123만 자원봉사자의 저력에 힘입어 청정지역으로 다시 태어난 서해안 지역에 희망을 불어 넣었다.

여기에 지난 5월 개통한 대전~당진, 공주~서천 고속도로 개통으로 충남 서해안 지역은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게 됐다.

◆주변 역사에서 중심 역사로

민선 4기 3년 동안 백제역사가 새롭게 재조명됐다.

2007년 공주·부여에서 격년제로 개최되던 백제문화제가 53년 만에 통합됨에 따라 2006년 60만 명에서 2007년엔 두 배 이상 늘어난 126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353억 원의 경제효과를 누렸다.

아울러 올해 ‘프레(Pre) 대백제전’과 내년 ‘2010 대백제전’이 각각 개최될 예정이다.

특히 이 행사는 백제역사가 패망의 역사가 아닌, 어느 세계 문명과 견줘도 결코 뒤지지 않았다는 것을 전 세계에 공식적으로 알리는 행사로 준비되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