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회사에 다니는 임 모(34) 씨는 지난 3년간 끊었던 담배를 다시 피우기 시작했다. 임 씨는 "지난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듣고, 답답한 마음에 다시 물게 됐다"며 씁쓸한 웃음을 지었다.

오는 3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제22회 세계 금연의 날’이다.

국내에선 지난 90년대 말부터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금연 캠페인과 웰빙 열풍에 힘입어 성인 남성의 흡연율을 크게 낮추는 등 '성공=금연'이라는 공식을 만들었다.

그러나 최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생전 봉하마을에서 칩거하는 동안 담배를 즐겼다는 소식과 함께 장기간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금연자들의 재흡연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여성과 청소년들의 흡연율도 꾸준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판매량 급감으로 고민하고 있던 KT&G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215억 개비를 기록했던 담배판매량은 올 1분기 216억 개비로 전년 동기 대비 1억 개비가 늘은데 이어 최근 판매량도 증가 추세에 있다.

KT&G 관계자는 “2분기 들어 담배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 전대통령 서거 이후에는 당신이 생전에 봉하마을에서 즐겨 피시던 ‘C’담배가 많이 팔리고 있다”고 말했다.

여성들의 흡연도 크게 늘고 있다. 직장인 박 모(42) 씨는 "회사 업무나 육아 등으로 받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피기 시작한 것이 벌써 7년째다. 끊고 싶지만 금연 후 살이 찌지는 않을까 두렵고, 당장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역의 한 흉부외과 전문의는 "흡연 여성의 관상동맥질환(심장병) 사망률은 비흡연 여성의 3.5배에 달하고, 흡연 남성의 관상동맥질환 사망률에 비해서도 1.5배가량 높다"며 "흡연은 폐암·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에 의한 사망, 조기폐경 등 돈을 주고 살수 없는 건강을 위협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대전소방본부 관계자는 "최근 3년간 대전지역의 담뱃불 화재 발생 건수가 2006년 107건에서 지난해 253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담뱃불로 인한 화재로 4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2억 4000여만 원의 재산피해를 냈다"며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전국지방신문협의회는 28일 대전 아드리아호텔에서 사장단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신문의 광고·수익사업 공조방안’ 에 대한세미나를 개최했다.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지역 신문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별 신문기업의 노력뿐 아니라 신문기업 간 또는 지역사회와의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지방신문협의회는 28일 대전 아드리아호텔 3층 그랜드홀에서 '2009 전국지방신문협의회 사장단 제1차 세미나를 열고, 지역신문 광고 및 수익사업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발제자로 나선 이은주 한국언론재단 객원연구위원은 "지역신문이 처한 어려움은 개별 신문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사업의 다각화, 신문기업 및 지역사회와의 공조, 뉴스미디어 기업으로서의 재정의와 혁신 포토 폴리오 계획 마련 등 공조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정남진 충청투데이 회장을 비롯한 20여 개의 지방언론사 대표가 참석했다.

지정 토론자로 나선 정남진 충청투데이 회장은 "신문시장이 포화상태에 직면하며 매출이 감소하는 신문기업도 많았지만 그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해온 기업도 있다"며 "혁신과 노력을 통해 위기를 타개할 수 있다. 비용절감 노력도 중요하지만 인재 육성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영진 광주매일 사장은 "외국 언론시장과 한국 언론시장은 분명한 차이가 있다"며 "이 같은 점을 염두에 두고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한국언론재단의 운영방안이 적절한 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지방신문협의회 사장단은 29일까지 대전에 머물며 신문산업이 처한 위기를 타계하는 방안 등을 논의한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노무현 전(前) 대통령의 서거를 추모하는 추모제가 대전 중구 서대전시민광장에서 조문객 1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열렸다.

이날 추모제에 참가한 조문객들은 모두 한 손에 촛불을 든 채로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했다.

이날 추모제는 갑자스레 서거한 노 전 대통령의 명복을 바라는 지역민들의 마음을 담아 지난 26일 결성된 노 전 대통령 대전추모위원회가 마련한 것이다.

추모제는 원불교 대전교구의 천도제를 시작으로 열음굿, 추모영상 상영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노 전 대통령의 생전 영상이 상영되자, 영상을 지켜보던 많은 조문객들은 눈가에 눈시울을 붉혔고 일부 조문객은 눈물을 하염없이 흘리기도 했다.

김 모(48) 씨는 “노 전 대통령의 생전 모습을 영상으로 지켜보니까 흐르는 눈물을 감출 수가 없다”며 “하지만 우리 가슴 속에는 항상 노 전 대통령이 살아 계실 것”이라고 흐느꼈다. 또 노 전 대통령을 그리워하는 추모시 낭송과 추모노래 공연 등이 이어지면서 조문객들의 마음은 더욱 무거워졌다.

이 모(63·여) 씨는 “서대전시민광장에 분향소가 세워진 지난 24일부터 하루에 한 번 씩 이곳을 찾아 조문을 하고 있다”며 “올 때마다 갑자기 서거하신 노 전 대통령의 생각이 떠올라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이처럼 많은 조문객들이 노 전 대통령을 그리워하며, 서거를 애도하고 있다. 분향을 하기 위해 줄을 선 조문객들의 행렬이 서대전시민광장을 에워싼 것도 모자라 중구 대사동 농협 충남본부까지 이어진 것.

또 분향하려는 조문객들 중에는 환자복을 입은 환자까지 섞여 있어 남녀노소 누구를 불문하고 모두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슬퍼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대전추모위원회 관계자는 “대전 시민들의 추모 물결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며 “한국사회의 고질적인 권위주의와 지역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노력한 노 전 대통령의 명복을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말했다.

박진환·이성우 기자
동영상=허만진 영상기자 hmj1985@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