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내년부터 입학하는 석·박사 과정 학생들의 재학연도를 대폭 축소하고, 이를 초과해 졸업을 미룰 경우 강제퇴학 등 강경조치에 나선다. 일부 재학생들이 졸업을 미루면서 국가의 세금으로 지원되는 교육비가 낭비되는 사례를 개선하고 적극적으로 사회에 진출해 기여하라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KAIST는 2009학년도 석·박사 과정 신입생부터 석사과정의 졸업연한을 5년에서 3년으로, 박사과정은 7년에서 5년으로 각각 단축키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석·박사 통합과정도 8년에서 6년으로 줄이기로 했으며, 각 과정에서 부득이한 사정으로 재학 연장이 필요할 경우는 ‘학사연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회에 한해 1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도 박사 과정의 경우 5년차부터 일종의 패널티인 수업료를 받고 있지만 앞으로는 재학연한을 초과해 학교를 다니는 대학원생들에게는 장학금 중단은 물론 강제퇴학도 이뤄지게 된다.

김경환 기자 kmusic7@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KAIST가 내년에 35명의 교원을 신규 채용키로 하고, 교육과학기술부와 기획예산처에 10억여 원의 관련 예산 배정을 요청했으지만 전액 삭감됐다.이 같은 상황은 새정부 출범 이후 '공공 부문 10% 예산절감' 등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기획예산처가 교수 정원을 대폭 확대하는데 난색을 표하고 타 국립대학과의 형평성 문제가 부상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KAIST 관계자는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공공 부문 전체가 조직, 예산을 줄이고 있는 데 KAIST만 교수 수를 늘릴 수 없다는 게 예산편성 관계자들의 입장"이라며 "KAIST가 먼저 자구노력을 통해 조직을 슬림화한 뒤 교수 증원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KAIST 발전 5개년 계획(2007∼2011)'에 따라 현재 450명 내외의 교수정원을 정부 예산 지원을 통해 100명, 자체 예산확보를 통해 150명씩 늘려 2011년에 700명 안팎으로 증원하겠다는 KAIST의 계획은 사실상 물건너가는 분위기다.

KAIST는 서남표 총장 부임 이후인 2006년 9월부터 올 8월 말까지 2년간 72명의 교수를 새로 뽑았으며 내년에 35명, 2010년에 30명, 2011년에 30명을 정부 지원으로 충원할 계획이었다.

2006년 말 현재 KAIST의 교수 1인당 학생수는 17.4명(7336/421명)으로 주요 경쟁대학으로 꼽고 있는 미국 MIT의 10.3명(1만 206/992명), 하버드대의 7.8명(1만 9844/2531명)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KAIST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 중인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인 WCU(World Class University) 프로그램'을 통해 신임 교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김경환 기자 kmusic7@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 [MB, 휴보와 대화]이명박 대통령이 22일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신성장동력 보고대회를 마친 뒤 전시장을 방문해 한국 최초의 두발 보행 로봇인 '휴보'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전우용 기자 yongdsc@cctoday.co.kr
   
 
신성장동력기획단(단장 서남표 KAIST 총장)과 콘텐츠코리아추진위원회(위원장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는 신성장동력 6대 분야 22개 분야를 선정하고 5년 동안 99조 4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번 신성장동력 발굴작업은 민간주도로 추진, 산학연 전문가 360여 명이 참석하는 신성장동력기획단을 출범시킨 뒤 수요조사 및 아이디어 공모 등을 통해 시장의 요구를 반영했다. 또한 공개토론회 등 간담회와 보완을 거친 후 6대 분야 22개 신성장동력 과제를 최종 도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보고대회에서 "어려운 시기에 위기를 극복하는 길은 신성장동력을 찾아서 민과 관, 기업과 정부가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이루는 길 밖에 없다"며 "이런 일에는 여야가 있을 수 없고, 기업과 행정부, 의회 모두가 힘을 합해서 신성장동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녹색성장 시대를 맞이하고 있고, 이는 피할 수 없는 길"이라며 "녹색기술과 신성장동력을 위해서는 원천기술을 가져야 한다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관련기사
· [사설]수도권 규제완화 이번 주가 고비다 · 대덕특구 '과학수도' 위상 재정립
· 고교생 "배고픈 과학자" 열변 웃음바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