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비 부족과 참여인력 노인층 집중 등 우여곡절을 겪고 있는 희망근로 프로젝트 사업이 빈곤층 생활주변 돌보기와 복지사각지대 점검 등 희망살리기 사업발굴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희망근로 프로젝트 사업은 지난 1일 실적과 시한에 대한 부담을 안고 출범했으나 17일 현재 목표인원 7188명을 상회하는 1만 23명이 신청, 이 중 7580명을 선발해 목표대비 105%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사업발굴도 꾸준한 재점검과 수정작업을 거쳐 현재 814개 사업을 추진하거나 준비 중이다.

이들 사업에는 그린웨이사업과 맨발의 산책로, 희망쉼터, 희망플라워랜드 조성 등 저탄소 녹색성장과 호흡을 같이하는 대표사업이 포함돼 있다.

특히 시와 자치구가 발굴한 사업 중 중구의 ‘공중보건 유충확산방지사업’의 경우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소외지역 정화조 등 모기유충 서식지에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확산을 원천봉쇄할 수 있는 방충 팬(fan)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희망근로사업이 위생관리과 조화된 특화된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사업의 경우 모기유충 서식지로부터 모기확산을 원천 차단하는 친환경 특허기술을 활용, 특허산업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사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다.

서구 ‘찾아가는 케어데이 서비스(care day service)’는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과 장애인을 찾아가 복지서비스활동을 구현하는 사업으로, 희망근로 사업을 통한 근로능력 있는 노인층 인력활용과 복지사각지대 돌보기 효과를 동시에 거두고 있다.

대덕구 ‘해피 투게더(Happy Together)! 희망동네 만들기’ 사업은 저소득가정 노후 방충망을 교체하고 있는 사업으로, 상대적으로 재료비가 적게 소요되면서 한정된 사업비로 빈곤층 생활주변 지원 효과를 거두고 있다.

유성구 ‘민·군 협력 희망쉼터 조성사업’도 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자운대 일대 하천부지를 무궁화 및 이팝꽃 동산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제한된 재료비 부담을 군(軍) 장비와 인력 지원을 통해 절감하면서 민·관·군이 합작한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또 저소득 장애인 가정을 방문해 세탁봉사하는 ‘재가장애인 홈클린 방문서비스 사업’을 비롯, 근린공원 43개소 화장실에 대한 시설개선사업 등도 추진된다.

동구가 대청호 주변에 국화전시와 식재를 위해 추진하는 ‘희망플라워랜드 조성사업’도 단순한 취로사업을 지양하고 지역별 특색을 살린 랜드사업에 역점, 사업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희망’ 사업으로 벌이고 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불법게임장 영업을 하다 단속돼 벌금형을 선고받자 벌금 낼 돈을 마련하기 위해 구속된 친구의 차를 훔친 20대 3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청주상당경찰서는 17일 자신들이 낼 벌금을 마련하기 위해 구속된 친구의 차를 훔친 박 모(24) 씨에 대해 특수절도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친구 김 모(24) 씨 등 2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8일 오전 1시 경 청주시 영운동 모 중학교 앞 노상에서 친구 우 모(24) 씨의 시가 700만 원 상당의 승용차를 훔친 혐의다.

경찰조사 결과 친구 사이인 이들은 우 씨와 함께 불법게임장 영업을 하다 업주 우 씨가 구속되고 자신들은 불구속 입건돼 벌금형을 선고 받은 뒤 유치장에 들어간 우 씨를 면회하는 과정에서 우 씨가 “어머니에게 전해달라”며 건넨 차 열쇠를 이용해 이같은 짓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고형석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대전청사 내 코레일이 오는 10월경 ‘철도 쌍둥이빌딩’으로 이전예정인 가운데 행정안전부의 공실에 따른 입주 계획이 늦어져 청사입주 예정기관이 안절부절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청사관리소는 청사 관리지침 규정상 입주기관 이전 1년 전 공실방안을 마련해야 하지만 이달 현재까지도 구체적인 입주계획안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레일 이전으로 입주 예정인 대전지방공정거래사무소, 충남지방노동위원회, 병무민원상담소 등은 이전 예산 및 규모에 대한 입주계획에 오리무중이다.

공정거래사무소는 지난해 사무공간, 민원상담소, 조사실, 회의실 등을 중심으로 대전청사에 입주키로 결정했지만 행정안전부 청사관리소의 입주계획이 늦어지면서 올해 이전할 수 있을지, 내년에 이전해야 할지 고민이다.

청사관리소의 이렇다 할 계획이 최종 통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전을 위한 예산 배정과 입주 규모를 구체적으로 확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병무청 병무민원상담소의 사정도 마찬가지여서 청사 입주계획을 수립키 위해 행정안전부 청사관리소에 수 차례 입주문의를 했지만 공허한 메아리만 울렸다.

병무청 관계자는 “행정안전부에서 코레일이 언제 이전할지 또 이전되면 어떠한 규모로 민원상담소가 입주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해 답변을 주지 않고 있다”며 “행정안전부의 결정이 늦춰지면서 민원상담소 이전예산 마련도 언제 배정할지 고민 중”이라고 토로했다.

충남지방노동위원회도 지난해 대전청사로 이전키로 결정했지만 행정안전부의 입주계획 미확정으로 예산배정 및 대전청사 내 면적 보유 등에 뚜렷한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청사관리소 관계자는 “지난 3~4월 대전청사 내 기관들을 방문해 배정 위치, 면적 규모 등 조사를 마치고 현재 입주계획안 확정을 위해 검토 중”이라며 “각 기관의 면적 규모 등은 매우 민감한 사항이어서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예산상 문제로 인해 각 입주청은 물론 외부 임차업체의 배정, 그리고 신규 입주기관에 대한 재검토도 포함돼 논의되고 있지만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