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주택과 상가시장의 과도한 가격 책정 등으로 인해 세종시 거품론이 또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12일 세종시에 분양되는 한 아파트 견본주택에서 청약 희망자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종시 거품론이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공동주택을 비롯해 상가시장까지 특정 단지를 중심으로 과도한 가격 책정이 이뤄져 시장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분위기다. 인구 거품론도 제기되고 있다. 세종시로 거주지를 옮기는 일부 젊은층은 저렴한 전세가격을 이유로 꼽고 있다. 향후 전세가격이 폭등할 경우 대전 등 인근 지자체로의 유턴 현상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거품론을 조장하는 가장 큰 요인은 공동주택 시장이다. 세종시 한솔동, 고운동, 아름동, 종촌동 등 기축아파트가 형성된 지역은 전용면적 84㎡ 기준 매매가격이 3억 원 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같은 가격은 대전 도안신도시 및 청주 율량지구보다 비슷하거나 저렴한 수준. 하지만 시청인근 3생활권과 입주가 한창인 2생활권의 특정 단지에서 과도한 거품이 일고 있다. 

2-2생활권 M9블록 금성백조예미지의 경우 101㎡의 매매가격이 8억~9억 원을 형성하고 있다. 3-2생활권 M4블록 중흥 S-클래스리버뷰의 98㎡ 시세는 7억 원 안팎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가격은 분양가의 2배를 뛰어 넘은 것. 거래가 쉽게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호가만 유지되는 것은 과도한 거품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상가시장도 거품론은 일고 있다. 세종시 프라자 상가의 경우 3.3㎡당 분양가격은 6000만~7000만 원으로 월 임대료는 200만~300만 원 수준이다.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분양가격은 3.3㎡당 3000만~4000만 원으로 월 임대료가 200만 원 안팎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설계제안공모를 통해 공급된 어반아트리움의 1층 33㎡(10평)대 분양가격은 10억 원을 웃돈다. 어반아트리움은 LH의 최고가 입찰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오히려 높은 분양가격을 형성시켰다는 비난 목소리가 높다. 

세종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상가의 분양가격 및 임대료는 타 지자체에 비해 높게 형성 된 것은 사실”이라며 “문제는 높은 분양가격과 임대료 탓에 공실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인구 거품론도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의 ‘2017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 전입인구는 8만 2073명, 전출인구는 4만 7383명으로 순이동인구는 3만 4690명으로 조사됐다. 전입 인구는 대전 2만 3707명(40.3%), 경기 7006명 (11.9%), 충남 6587명(11.2%)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대전에서 유입된 비율은 2016년(34.8%)과 비교했을때 증가했다. 세종시 전출 인구는 대전(24.3%), 충남(16.1%), 경기(15.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종시 전입사유는 ‘주택’을 꼽는다. 세종시 84㎡의 전세가는 1억 원대다. 저렴한 전세가격으로 젊은층이 세종을 찾고 있다. 향후 수년간 입주가 많아 전세가 급등은 어렵다. 하지만 시장이 안정기를 찾은 이후 전세가격이 올라 재계약 시즌을 맞아 자금력이 부족할 경우 대전 등으로 유턴을 하는 인구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 → 세종 이전 감소 영향

메인01.jpg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대전과 세종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전국적으로 전세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세종은 기조를 함께하는 반면 대전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기준 대전지역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전남(0.07%), 전북(0.06%), 제주(0.05%)에 이어 서울과 동일한 수치인 0.04%를 기록했다.

반면 세종시는 -0.45%로 2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이처럼 세종시 전세가 하락기조는 방학 이사철 시즌에도 불구하고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증가하면서 공급이 확대된 점이 궤를 같이하고 있다.

더불어 세종시로 편입하려는 공무원 등 직장인들은 물론 대전에서 이전 수요가 예전같지 않으면서 공급대비 수요가 부족한 점도 한 몫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이달 세종시의 입주물량은 더 하이스트 1417세대와 중흥S클래스 센텀시티 370세대(2-1생활권), 세종베아채 331세대(3-1생활권) 등 총 2118세대로 광역시 가운데 부산시(4799세대)를 제외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대전지역의 상황은 다르다. 신규 입주 아파트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한 현상이 이어지면서 소폭이지만 전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세종에 신규분양 받기 위해 우선 전세를 택해 이사하는 수요가 끝물에 접어들면서 세종으로의 유출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도 한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안정적인 주변 인프라와 질 높은 교육환경 또한 대전에서 세종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최근 신규 분양시장의 높은 인기와 함께 올 한해 분양 예정인 도안 호수공원 3블록과 도안 2단계 도안아이파크 2차에 대한 분양 기대감도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키는 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지역 부동산 업계는 당분간 대전과 세종의 아파트 전세가는 비슷한 흐름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내달 세종에 3000여 세대의 입주 물량이 쏟아지는 가운데 전세가 하락세는 이사 수요가 많아지는 봄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며 “반면 대전지역은 신규 입주 아파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전세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더 이상 세종이 답이 아니라는 의견들이 흘러나오면서 대전 전세시장의 가격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정우 기자 wooloos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미분양-견본주택.jpg
▲ ⓒ연합뉴스

대전지역 미분양 주택이 집단대출 규제와 조기 대선 등 주택시장 불확실성 여파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대전 미분양 주택은 726가구로, 1월(551가구)보다 31.8% 늘었다. 대전의 경우 1월 말 현재, 최근 1년 새 가장 적은 미분양 물량을 기록했지만, 예기치 못한 악재를 비껴가지 못하면서 경남에 이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악성 재고 물량으로 지목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276가구)이, 전월(279가구)보다 1.1% 감소한 게 위안이 됐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조기대선 정국에 따른 부동산 정책 불확실성과 집단대출 금리 인상 등이 관망세로 이어지고 있는 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남·북 미분양 물량은 각각 8970가구, 3982가구로, 전월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국 17개 시도 중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 미분양 물량은 단 한 건도 없었다.

지난 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5만 9313가구) 대비 3%(1750호) 증가한 6만 1063호로 집계됐다.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9330호) 대비 2.1% 감소한 9136호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1만 8014호로 전월 대비 4.9% 줄었고, 비수도권은 4만 3049호로 전월대비 6.6% 감소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큰 아파트는 많은데 소형은 없어요", "시내권에서 소형 아파트 구하기란 쉽지 않아요."

대전지역 부동산 중개업소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요즘 전세시장의 트랜드로 '실속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당분간 집 값에 큰 변동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인 가운데 전기세, 관리비 부담이 적은 중소형 아파트에 수요자들이 몰려 대형 아파트 전세금 하락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특히 집 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자금 압박 등으로 수요자들이 실수요적인 측면에서 시장에 접근, 중소형의 인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2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대전충청지사에 따르면 충남·북지역 135㎡형(40평) 이상 대형 아파트 전세금 변동률(지난 1일 대비 15일)은 '0'로 빈집을 채우려는 대형 아파트 집주인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대전지역도 비슷한 양상이다.

135㎡형(40평) 이상 대형 아파트 전세금 변동률도 사실상 제자리다. 그러나 소형과 중형은 오름세를 이어가 전세금 상승에 큰 힘을 보탰다.

충남 전세시장의 경우 66㎡형(19.96평) 이하와 69∼82㎡형(20.87∼24.80평)의 소형 평형은 각각0.16%, 0.20% 올랐다.

85∼99㎡형(25.71∼29.94평), 102∼115㎡형(30.85∼34.78평), 119∼132㎡형(35.99∼39.92평)의 중형아파트는 0.20%, 0.04%, 0.16%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했다.

대전지역은 85∼99㎡형(25.71∼29.94평)과 119∼132㎡형(35.99∼39.92평) 등 중형아파트 전세금 변동률이 0.30% 가까이 뛰어 전세금 상승을 이끌고 있다.

실제 유성구 지족동 열매마을6단지 95㎡형(28평)은 1억 2250만 원을 육박하고 있으며, 가장동 삼성래미안 81㎡형(24평)은 9500만 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서구 둔산동 둥지 89㎡형(26평)은 1억 750만 원, 서구 둔산동 한마루 92㎡형(27평)은 1억 3000만 원 정도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몇년 동안 건설사들이 이익이 많이 남는 중대형 아파트 위주로 분양물량을 쏟아냄에 따라 상대적으로 중소형 아파트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

특히 실수요자 중심의 젊은층들이 전기세, 관리비 부담이 적은 소형아파트만 찾아 인기를 더하고 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