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01.jpg
▲ ⓒ연합뉴스/ 사진편집 온라인뉴스부

헌정사상 유례없는 조기대선이 현실화되면서 이번 19대 대통령선거에서의 지역 공약들이 묻혀버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짧아진 선거 준비기간으로 인해 대선 후보들이 정책적 검토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한 데다, 국정농단 사태와 첫 대통령 탄핵과 구속 등 굵직한 전국발 이슈에 지역 공약들이 빛을 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촛불’과 ‘태극기’ 등 대선이 이념갈등으로 흐르는 경향이 강한 데다, 선거 후 대통령 당선인이 인수과정 없이 곧바로 국정을 운영해야 하는 것도 지역 이슈를 묻어버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경선에 이어 본선마저도 특정 후보가 일방적으로 앞서간다면 대선을 통해 지역 현안 사업을 해결하려는 자치단체들의 기대는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5월 9일 ‘장미대선’이 확정되면서 정당별 경선후보들은 충청권 공약으로 세종시의 행정중심도시 완성을 내놓았다.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으로 이전하거나 국회 분원을 설치해 노무현 정부가 시작한 세종시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는 공약이 대표적이었다. 또 일부 후보는 대전을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는 방안과 충남의 환황해권 중심도시 육성을 공약으로 내세워 충청권 지지를 호소했다.

이에 맞춰 대전시와 충남도도 지역 이슈를 대선 공약화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였다. 시는 국방 중소기업 전담기관인 ‘국방중소벤처진흥원’ 설립 등 4개 분야 20개 핵심과제를 각 정당에 전달했고, 충남도 역시 내포혁신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이전 등 12개 과제를 발굴해 대선 공약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지역 이슈들이 대선 공약에 얼마나 반영돼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이미 본선이 시작되기 전부터 경선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대부분 공약들이 지난 선거에서 나왔던 공약을 재탕·삼탕하거나 구체적인 재원 마련 방안도 없어 현실성이 떨어지는 ‘뜬구름 잡기’식 공약이라는 지적이다.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대선 기간 지역적 경쟁 과열과 갈등을 조정해야 하는데 짧은 선거 기간으로 인해 이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대로 선거가 끝나고 차기 정권에 의해 국정 운영이 시작되면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육 교수는 이어 “특히 이번 대선은 다당체제와 이념갈등 속에서 많은 후보가 출마해 검토되거나 구체적 계획이 없는 공약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선심성 공약이나 예전 것을 재탕·삼탕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해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운규 기자 sendm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http://www.cc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이명박 대통령 임기 내에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성과를 거두려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제격이다.”

박성효 대전시장이 13일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와 관련,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심의 구축안을 내놓고 정부 압박 행보에 나섰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편경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지원단장을 만나 “연구개발성과를 사업화하고 비즈니스로 연결시키는 문제는 과학벨트가 아니더라도 국가적 과제로 집중 추진할 일”이라며 “돈을 적게 들이고 시간을 아끼려면 대덕특구 외에 마땅한 곳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 대통령께서 임기 내 성과를 거두려면 당초 행복도시의 기능을 보완하려는 구상대로 과학벨트를 대덕특구 중심으로 조성해 행복도시와 오송·오창을 연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대통령께서 지역공약으로 과학벨트를 발표하고 이제와서 공모형태로 추진되는 것에 대해 충청권의 우려가 대단히 크다”며 “당초 약속대로 진행하는 게 좋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그는 “타 지역에서는 대덕특구가 너무 많이 가져갔다고 한다. 35년간 30조 원이 투자됐다. 하지만 그 100배, 1000배의 부가가치를 국가 전체적으로 창출한 곳이 바로 대덕”이라며 “과학 가지고 나눠먹는 것 봤느냐. 과학은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 국내 1등 제대로 키워야 세계 1등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편 단장은 “아직 과학벨트에 대한 개념이 덜 잡힌 게 사실이다. 입지에 대해 미리 얘기를 꺼내는 것 자체도 상당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출연연구기관들의 의견을 많이 듣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지원단을 공식 발족시켰으며, 과학기획팀, 공간조성팀, 비즈니스기획팀 등 3개팀 15명으로 구성됐다.

김경환 기자 kmusic7@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