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의 금융구제안 부결이라는 초대형 악재에 국내 금융시장이 또 휘청였다. 고공행진을 계속하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경상수지 적자폭 증가와 미국 금융 불안이 더해지면서 그동안 간신히 유지하던 1200원 선을 훌쩍 뛰어넘었다. 국내 증시는 핵폭탄급 미국발 악재에 80포인트 가까이 폭락하며 크게 흔들렸지만 뒷심으로 낙폭을 줄이며 투자자들의 간담을 쓸어내렸다.

◆원·달러 환율 1200원 돌파

30일 국내 외환시장은 혼란과 동요로 들썩였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경상수지 적자 발표와 미국 금융구제안 부결 소식으로 개장과 동시에 1200원을 가볍게 돌파한 후 매수세가 가세하면서 1230원까지 치솟다가, 정부의 구두개입으로 상승폭을 낮추며 전날보다 18.2원 오른 120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금융위원회가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해 1일부터 공매도를 전면 금지키로 하고, 일일 자사주를 매입 한도를 현행 1%에서 10%로 확대하는 등의 긴급조치를 발표하면서 환율 상승이 둔화됐다.

여기에 기획재정부가 외환시장이 불안정할 경우 정부가 적극적으로 달러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환율 잡기에 가세했지만 결국 1200원 이하로 끌어 내리는 데는 실패했다.

긴급 금융시장 점검회의에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필요하면 외환 현물시장에도 외환보유고를 투입해 달러 부족으로 환율이 급등하는 사태를 막겠다"고 밝혔지만, 외환보유액 감소에 따른 시장 불안으로 환율이 더욱 상승압력을 받을 우려가 도사리고 있다.

◆초대형 악재에도 선방한 코스피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예전과 달리 대형 악재에도 잘 버텨 정말 다행입니다."

현대증권 둔산지점 관계자는 모니터를 주시하며 안도의 한 숨을 내쉬었다.

미 하원의 구제금융안 부결 조치로 미국 증시가 지난 9·11사태 당시보다 더 큰 낙폭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국내 증시는 시작과 동시에 72포인트나 급락한 1383.97까지 주저앉으며 장중 한 때 1376.72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추가 상정에서의 가결 기대와 함께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줄이다 결국 전날보다 8.30포인트(0.57%) 내린 1448.06으로 장을 마치며 선방했다.

이날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833억 원과 777억 원을 순매도 했지만 기관이 1276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유지시켰다.

전문가들은 섣부른 판단을 자제하면서도 이후 미국 구제금융안의 의회 통과로 심리적 안정을 찾을 것으로 조심스레 관측했다.

하이투자증권 대전지점 관계자는 "국내 증시가 전체적으로 1400선을 지지하면서 위기를 잘 넘겼다"며 "실물경제가 회복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여유자금을 활용한 적립식 투자나 분할매수의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미국 금융계 불안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국·내외 펀드의 원금손실 규모가 감내하기 힘든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절반에 육박하는 손실에 투자자들은 쉽사리 발도 빼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한편으로는 안정적인 예금 비중이 큰 포트폴리오 재구성으로 위기 돌파를 구상 중인 경우가 많다.

때마침 은행권에 등장한 7%대 고금리 상품들은 이런 투자자들의 마음을 끌기에 나름대로 좋은 조건을 갖췄다. 여기에 주가의 바닥 장세를 반영하면서도 고정이익을 보장하는 주가지수연동예금(ELD)도 펀드의 대안으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국내·외 주식형펀드 손실 43조>


미국에서 촉발된 전 세계 증시의 금융위기 장기화로 국내·외 주식형펀드의 평가손실이 43조 원에 이르고 있다. 22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주 말 현재 해외 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수익률이 -38.55%로 곤두박질치며 이에 따른 평가손실이 25조 3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주식형펀드 역시 -26.31%의 손실률을 기록해 올 들어서만 18조 1000억 원이 공중분해 됐다.

특정 국가나 지역을 대상으로 한 펀드의 경우 절반에 가까운 손실을 보인 곳도 많다. 최고의 펀드투자처로 명성을 날렸던 중국은 올림픽 기대 특수와 달리 맥을 못추며 연초 이후 수익률이 -45.52%에 달했다. 지난 1년 평균수익률 역시 -40.81%로 해외펀드 가운데 인도와 함께 가장 부진했다.

러시아와 브라질 등 각광받던 신흥시장들도 연초 이후 수익률이 각각 -46.35%, -26.73%까지 곤두박질치는 등 펀드가 수익이 아닌 손실을 줄이는 데 급급한 미운 오리 신세가 됐다.


<주가·예금 모두 반영한 ELD>


금융위기로 ELS(주가지수연계증권) 등 파생상품의 손실이 속출하는 가운데 ELD(주가지수연동예금)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안정성과 원금보장성이 부각되며 인기 급상승이다. 특히 원금손실 걱정을 덜면서도 주가 변동장의 매력을 반영한다는 것이 최대 장점으로 부각되면서 이를 찾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

이런 관심도에 편승에 ELD도 진화하고 있다. 기존의 ELD가 예금에 옵션을 가미해 원금은 보장받으면서 최고 연 20∼30% 이상의 고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최근 조정장에서는 0%에 가까운 정기예금 금리보다 못한 수익을 내기도 했다.

사정이 이렇자 금융권은 최저 금리가 보장되는 ELD를 새로 내놓으며 원금을 보장받는 안정성에다 수익성까지 가미했다. 최저금리가 보장되는 ELD는 주가가 하락해도 최소 연 4∼6%의 금리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국민은행의 'KB리더스정기예금 17호'는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연 6.6%를 보장하며, 1년 뒤 주가가 오를 경우 연 7.2%의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앞서 지난 3일부터 판매한 'KB리더스정기예금 16호'에 지난주 말까지 933억 원이 몰리며 인기를 끌었다. 통상 2주 정도 판매하는 은행권 ELD 상품에 900억 원 넘게 뭉칫돈이 몰려든 것은 ELD를 판매 사상 최초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7월 판매실적 18억 9000만 원보다 무려 50배나 늘어난 수치다.

이 같은 인기에 신한은행도 최근 '세이프 지수연동예금 10호'를 선보였다. 이 상품은 1년 만기에 주가 5% 이상 상승시 연 6.5%, 5%∼-20%는 연 6.0%, -20% 이상은 연 4.0%의 금리로 주가가 떨어져도 정기예금 금리를 보장해준다. 이 밖에 우리·외환·하나은행 농협 등이 추가로 최저 금리가 보장되거나 보다 안정적인 형태의 ELD를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ELD는 중도 해지할 경우 해지수수료 때문에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구관이 명관, 은행 예·적금>


펀드의 막대한 손실로 투자자들이 고수익 고위험을 꺼리고 저수익 저위험을 선호하면서 은행권의 예·적금도 부각되고 있다. 시중은행들도 이런 추세에 맞춰 고금리 예·적금 상품을 잇따라 내놓으며 고객들에게 손짓하고 있다.

또 기존 상품에도 특별금리를 적용해 7%에 이르는 금리조건이 안정성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입맛을 맞추고 있다. 때문에 최근 마이너스 수익을 내는 적립식 펀드들이 속출하면서 목돈이나 종잣돈을 모으는 데는 정기적금이 더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은행창구가 북적이고 있다.

국민은행의 '가족사랑자유적금'은 계약기간별로 기본이율이 1년제 연 4.75%, 2년 연 4.95%, 3년 연 5.05% 등이며 여기에 0.8%포인트의 우대금리가 제공된다. 또 올해 히트상품인 '와인정기예금'은 기본금리는 5.5%에 주거래고객, 카드사용, 금연약속 등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0.8%포인트를 더 받을 수 있고, 이달 중 가입자에게 사은금리 0.6%포인트를 더 주면서 최대금리가 6.9%까지 올라간다.

하나은행의 '하나와인처럼적금'도 연 4.9%의 기준금리에 신용카드 실적과 자동이체 신청 등 부가 금리로 6%대에 달하고, '하나 여우예금'도 1년 만기 기준 연 6.3%의 금리를 준다. 우리은행의 '팝콘예금'도 기본금리에 급여이체나 연령 등에 따라 최대 연 6.32%를 보장한다. 여기에 매달받는 이자를 다시 적금에 투자해 이자를 불려주는 방식으로 일반 정기예금보다 0.14%포인트의 금리를 더 받는 셈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