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본회의 부의 요구서’가 빠르면 28일 국회에 제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충청권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특히 요구서가 받아들여지면 세종시 수정안은 29일 본회의에서 국회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표결 처리를 통해 마지막 운명이 결정된다.

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는 지난 22일 국토해양위에서 수정안이 부결된 직후부터 ‘역사적 소명’을 명분으로 본회의 부의를 위한 요구서 서명 작업을 벌여왔다.

27일까지 요구서에 서명한 의원들은 부의 요건인 ‘국회의원 30명’을 훌쩍 70여 명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명자가 100여명을 넘을 것이라던 친이계의 기대에는 못 미치지만, 청와대의 의지가 강력한데다 이미 정치적으로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이란 판단이 나온다.

◆ 본회의 통과 희박

하지만 수정안이 본회의에 부의되더라도 국토해양위의 ‘부결’을 뒤집고 통과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여야의 대체적인 판단이다.

현재 한나라당 의원 168명 중 친이계는 대략 90여 명, 친박계는 50여 명, 야당인 민주당·자유선진당·민주노동당 등을 합치면 110여 명이다. 따라서 단순합산은 찬성 90여 명, 반대 160여명 정도로 반대가 압도적이다.

부의 강행을 고수하고 있는 친이계 내부조차 본회의 통과에 대해선 회의적이다. 자칫 세종시 수정안의 ‘정당성 없음’만 부각돼 한나라당 내부의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내달 14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수정안 본회의 부의에 대한 부담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당 일각에선 9월 정기국회로 부의를 넘겨야 한다는 의견까지 개진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세종시 논쟁 새로운 시작

정부 여당에선 “세종시 수정안이 최종 무산되면 원안에 얹어 줄 ‘플러스 알파(+α)’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형준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 25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세종시 건설을 원안대로 하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세종시에 들어가는 것은 무산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수석은 “과학비즈니스벨트가 들어가는 것을 계기로 해서 들어오려고 했던 기업이나 대학들 같은 경우에도 자율적으로 재고할 것”이라며 “소위 말하는 플러스 알파가 수정안에 있는 알맹이들을 다 넣으면서 또 원안도 넣는 이런 계획은 불가능하다”고 잘라 말했다.

정운찬 국무총리도 지난 23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세종시를 원안대로 추진하면 원형지 개발이나 세제혜택이 어려워져 지역의 자족기능 강화를 위한 기업과 유관기관의 입주도 사실상 힘들어진다”며 플러스 알파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와 관련, 선진당 김창수 사무총장(대전 대덕)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자리에서 “수정안 부결은 세종시 논란의 종결이 아니라 새로운 투쟁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