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이 충북도내 교장단을 대상으로 교육정책을 홍보하는가 하면 대안학교를 방문하는 등 충북교육에 깊은 관심을 보인 가운데 충북도교육청이 언론 취재를 통제하려해 비판을 받고 있다.
충북도교육청은 지난 25일 출입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통해 이주호 교과부 1차관의 충북 방문을 알렸다.
이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차관은 오전 10시50분부터 1시간 동안 도내 교장단을 대상으로 '2010 대한민국 교육의 즐거운 변화'라는 주제의 특강을 하도록 돼 있다.
또 오후 2시부터는 대안학교인 청원군 옥산면 양업고를 방문, 학교 관계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학교 현황에 대한 보고를 받은 후 간담회와 기념촬영을 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양업고에서의 간담회에 대해 "학생 대표, 학부모 대표, 교사 대표 등 8명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가 곧바로 전화를 걸어 "뭣하러 그곳까지 가려고 하느냐?, 간담회는 하지 않고 교장과 환담만 할 예정이다"라며 기자들의 현장취재를 막기 시작했다.
"간담회의 내용을 현장에서 들어야 무슨 대화가 오갔는지 정확히 알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도 "당사자가 원하지 않으면 가지 않는 것이 옳지 않느냐?"며 거듭 현장취재를 하지말 것을 종용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공식적으로 비공개 행사인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비공개는 아니다"라고 못박으면서도 "행사에 오신 분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지 않는 것이 예의가 아니냐"며 현장 취재를 허락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도교육청의 이같은 행태는 지난달 7일 교과부의 '학부모와 함께하는 충청권 교육정책 설명회' 개최 때와 동일한 것으로 당시 도교육청은 이주호 1차관이 특강을 하기로 돼 있음에도 이를 보안에 붙였다가 출입기자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은 바 있다.
도교육청의 이런 취재통제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전혀 비공개로 할 행사도 아니고 취재 통제를 지시한 바도 없다"며 "도교육청에서 왜 그러는지 우리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부교육감이나 담당 과장이 교과부 출신이기 때문에 차관을 편하게 모시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그렇게 하면 좋은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하는가"라고 비난했다.
한편 교과부는 지난 3월말 대안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해 대안학교 설립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충북도교육청은 지난 25일 출입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통해 이주호 교과부 1차관의 충북 방문을 알렸다.
이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차관은 오전 10시50분부터 1시간 동안 도내 교장단을 대상으로 '2010 대한민국 교육의 즐거운 변화'라는 주제의 특강을 하도록 돼 있다.
또 오후 2시부터는 대안학교인 청원군 옥산면 양업고를 방문, 학교 관계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학교 현황에 대한 보고를 받은 후 간담회와 기념촬영을 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양업고에서의 간담회에 대해 "학생 대표, 학부모 대표, 교사 대표 등 8명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가 곧바로 전화를 걸어 "뭣하러 그곳까지 가려고 하느냐?, 간담회는 하지 않고 교장과 환담만 할 예정이다"라며 기자들의 현장취재를 막기 시작했다.
"간담회의 내용을 현장에서 들어야 무슨 대화가 오갔는지 정확히 알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도 "당사자가 원하지 않으면 가지 않는 것이 옳지 않느냐?"며 거듭 현장취재를 하지말 것을 종용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공식적으로 비공개 행사인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비공개는 아니다"라고 못박으면서도 "행사에 오신 분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지 않는 것이 예의가 아니냐"며 현장 취재를 허락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도교육청의 이같은 행태는 지난달 7일 교과부의 '학부모와 함께하는 충청권 교육정책 설명회' 개최 때와 동일한 것으로 당시 도교육청은 이주호 1차관이 특강을 하기로 돼 있음에도 이를 보안에 붙였다가 출입기자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은 바 있다.
도교육청의 이런 취재통제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전혀 비공개로 할 행사도 아니고 취재 통제를 지시한 바도 없다"며 "도교육청에서 왜 그러는지 우리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부교육감이나 담당 과장이 교과부 출신이기 때문에 차관을 편하게 모시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그렇게 하면 좋은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하는가"라고 비난했다.
한편 교과부는 지난 3월말 대안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해 대안학교 설립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