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에 소극적이던 시중은행이 최근들어 공세적 대출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동안의 불경기와 부동산 침체 등으로 가용자원이 쌓인 은행들이 금리 인상기를 앞두고 그동안 닫혀있던 대출문을 열고 있는 것.
그러나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담보대출은 여전히 높은 문턱을 유지한 채 고금리의 신용대출에만 열을 올리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 최근 모 은행으로부터 대출 권유를 받은 회사원 이모(38·대전시 유성구) 씨는 “느닷없이 우수고객이라며 전화를 해 마이너스 대출을 받으라기에 의아했다”며 “솔깃한 마음에 이자를 물어봤더니 10% 내외라고 해 어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씨가 제의받은 연 10%대의 이자는 현재 금리 수준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앞으로 금리가 인상되면 고스란히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고객들은 이 같은 은행권의 태도 변화를 고객들은 곱지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
자영업자 김모(36) 씨는 “지난 달만 해도 대출문턱이 높아 담보대출도 까다롭게 굴던 은행에서 얼마전 신용대출을 받으라는 전화가 왔다”며 “지난 달 급전이 필요해 이미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려 높은 이자를 내고 있는데, 한 달 새 바뀐 은행의 태도에 약이 오른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일각에서는 금리인상을 내다 본 은행들이 손쉽게 이익을 얻기 위한 영업 행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모 금융기관 관계자는 “지금 대출을 해주고 조만간 금리가 인상되면 은행은 인상분만큼의 이익이 발생하게 된다”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때는 대출 조건도 까다롭더니, 최근 신용 대출의 경우 신분증만 제시하면 빠르게 처리해 주는 것이 예사롭지 않다”고 꼬집었다.
반면 은행권에서는 마지막 저금리 기회를 이용해 대출을 받을 수 있어 오히려 가계에 긍정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대출 추이는 주택관련 대출보다는 저금리 대출로 전환하거나,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이 늘고 있다”며 “저금리 추세가 얼마 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가계에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그동안의 불경기와 부동산 침체 등으로 가용자원이 쌓인 은행들이 금리 인상기를 앞두고 그동안 닫혀있던 대출문을 열고 있는 것.
그러나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담보대출은 여전히 높은 문턱을 유지한 채 고금리의 신용대출에만 열을 올리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 최근 모 은행으로부터 대출 권유를 받은 회사원 이모(38·대전시 유성구) 씨는 “느닷없이 우수고객이라며 전화를 해 마이너스 대출을 받으라기에 의아했다”며 “솔깃한 마음에 이자를 물어봤더니 10% 내외라고 해 어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씨가 제의받은 연 10%대의 이자는 현재 금리 수준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앞으로 금리가 인상되면 고스란히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고객들은 이 같은 은행권의 태도 변화를 고객들은 곱지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
자영업자 김모(36) 씨는 “지난 달만 해도 대출문턱이 높아 담보대출도 까다롭게 굴던 은행에서 얼마전 신용대출을 받으라는 전화가 왔다”며 “지난 달 급전이 필요해 이미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려 높은 이자를 내고 있는데, 한 달 새 바뀐 은행의 태도에 약이 오른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일각에서는 금리인상을 내다 본 은행들이 손쉽게 이익을 얻기 위한 영업 행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모 금융기관 관계자는 “지금 대출을 해주고 조만간 금리가 인상되면 은행은 인상분만큼의 이익이 발생하게 된다”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때는 대출 조건도 까다롭더니, 최근 신용 대출의 경우 신분증만 제시하면 빠르게 처리해 주는 것이 예사롭지 않다”고 꼬집었다.
반면 은행권에서는 마지막 저금리 기회를 이용해 대출을 받을 수 있어 오히려 가계에 긍정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대출 추이는 주택관련 대출보다는 저금리 대출로 전환하거나,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이 늘고 있다”며 “저금리 추세가 얼마 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가계에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