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청주시 흥덕구 대농부지를 개발한 (주)신영 측이 용도변경을 조건으로 청주시에 기부 채납한 공공용지가 용도를 찾지 못해 5년여간 방치돼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특히 최근 이 지역에 대한 개발이 속속 이뤄지면서 공공부지 활용방안이 장기간 제시되지 않을 경우 민간기업의 도시개발에 장해가 되는 것은 물론 도심속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 시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시에 따르면 옛 대농지구 내 택지개발지구 8250만여㎡(25만여평)에 포함돼 있는 공공청사 부지 6만6000㎡(2만평)에 대해 청주·청원통합 이후 통합청사로 활용하는 방안을 집중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청주·청원통합 관련 충북도·청주시·청원군 실무협의회가 열리는 등 통합 작업이 본궤도에 오르자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향후 청사문제 등 부수적인 작업도 함께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곳에 대한 민간개발은 속속 이뤄지고 있는 반면 공공청사 부지에 대한 활용방안이 수년째 제시되지 않아 택지개발지구의 본래 모습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시가 적극 나서는 자극제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노후화된 현 시청사의 이전 필요성도 옛 대농지구 내 공공청사 활용방안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현 시청사는 지난 1965년 3층 규모의 본관이 건립된 이후 후관과 의회동, 식당동 등이 차례로 건축됐으나 부지가 1만2540여㎡(3800여평)에 불과한데다 노후화로 하·동절기 에너지소비율이 높아 이전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 때마다 신청사 부지로 사직동 모 문중 땅 일대와 수동 달동네 인근과 함께 옛 대농부지 내 공공청사 부지가 거론됐다.
그 중 대농지구는 통합의 구심점인 지리적 특성과 교통·청주공항·세종시·호남철 오송역 등과의 접근성이 뛰어나 입지조건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공공용지를 무상귀속 받아 800억 원 가량 소요되는 토지매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나머지 용지에 대해선 민관합동개발을 활용해 청사건립을 위한 투자비용을 확보할 수 있다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옛 대농지구 공공청사 활용방안과 관련해 청주·청원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시·군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 통합청사 활용 방안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중"이라며 "한 당선자 또한 이 부지에 대한 활용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고 말했다.
현재 옛 대농지구내 공공청사 부지는 시민들과 청주산업단지 근로자 등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축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