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4기에 추진됐던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과 경제자유구역 지정 문제가 어떻게 추진될지 주목되고 있다.

민선5기 충북도정 정책기획단측은 최근 지역현안 가운데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에 대해 좀더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재검토 가능성을 언급했다.

정책기획단 관계자는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의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한 문제점이 거론됐다”며 “좀더 세밀하게 접근해서 사업추진 전반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은 민선4기 동안 야심차게 추진돼왔던 핵심현안사업 중 하나로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등에 6조 5000억 원을 투자해 오는 2017년까지 240만 9000㎡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연구와 비즈니스 촉진 기능의 오송메디컬벤처타운, 의료관광단지 조성의 오송헬스케어타운, 세계적 명문 교육기관 유치의 오창아카데미타운을 조성하는 것.

이를 위해 충북도는 △하버드의대 협력병원인 PHS유치 △마그넷스쿨 유치 △마이애미대학교, 부속병원 및 연구소 유치 △에모리대학교 및 부속병원 오송 진출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최근까지도 사업이 적극 추진돼 왔다.

하지만 민선5기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측이 지역현안 검토과정에서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져 재검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사업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전제로 추진되고 있어 사업에 변화가 올 경우 경제자유구역 지정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큰 당위성 중 하나인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이 민선5기에서 포기할 경우 경제자유구역 지정도 그만큼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오송메디컬그린시티사업에 대해 논란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서는 대형병원, 교육시설 등의 유치가 필수적”이라며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 필요성을 밝혔다.

정책기획단은 오송메디컬시티 조성 사업을 검토후 이번주 중 사업의 계속 추진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당위성이던 오송메디컬시티 조성 사업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는 속에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항공기정비센터(MRO) 유치도 영향을 받게 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이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어려워질 경우 청주국제공항 MRO에 투자할 외국기업 유치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