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정운찬 국무총리가 세종시 수정을 거론하면서 논란을 점화한 후 10개월여 동안 충청 출신 정부 고위 관계자와 정치인이 보여준 엇갈린 행보가 새삼 관심을 끌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이 지난 2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 부결되는 등 논란이 종착역을 향해 달리고 있다는 점에서 세종시 문제가 종결되면 이들의 정치적 평가도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충남 공주 출신의 정 총리는 세종시 수정 논란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정 총리는 총리 지명 발표 당일인 지난해 9월 3일 “세종시는 경제학자의 눈으로 볼 때 효율적인 모습은 아니다. 원점으로 돌릴 수는 없지만 원안대로 추진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세종시를 소용돌이로 빠뜨렸다.
이후 12차례에 걸친 충청지역 방문 등 정면 승부를 택하면서 ‘세종시 총리’라는 비아냥거림을 들으면서 ‘수정론’의 총책임자 역할을 자임해 왔다.
국회 국토위의 수정안 부결 후에도 정 총리는 “세종시는 국회법에 따라 전체 의원의 뜻을 물어야 한다”며 본회의 부의를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 총리는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으로부터 세종시 수정 논란 종식과 함께 퇴진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으며, 고향인 충청권에서조차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아야하는 처지에 놓였다.
충남 청양이 고향인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세종시 수정의 실무 책임자 역할을 담당해 왔다. 세종시 건설의 최종 결재자 위치인 정 장관은 그동안 수정안의 장점을 중점 강조해 왔으며, 지난 22일 국토해양위에 참석해서도 “수정안이 부결되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설치 지역도) 원점에서 재검토돼야 한다”고 밝혀 충청권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정 장관의 경우 그동안 국회의원 선거나 지방선거 등이 있을 때마다 유력한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등 충청을 이끌 정치인으로 지목돼 왔다. 그러나 세종시 논란 과정에서 보여준 그의 행보는 정치 이력에 오점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 출신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주어진 위치나 직책으로 인해 ‘수정안 찬성’의 길을 걸었다면 정치인들은 이해관계나 신념, 판단에 따라 각자의 길을 선택했다.
우선 충청권을 기반으로 둔 선진당 국회의원들과 민주당 양승조 의원(천안갑) 등 충남에 근거를 둔 의원들은 세종시 논란 이후 ‘원안 사수’를 위해 정치 운명을 건 치열한 전쟁(?)을 벌여온 것이 사실이다.
세종시 논란이 극에 달했던 지난 1월 선진당 류근찬(보령·서천), 김낙성(당진), 임영호(대전 동구), 이상민(유성), 김창수(대덕) 의원 등 5명은 원안사수를 위해 삭발을 마다하지 않았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도 지난 2월, 22일간의 단식 투쟁으로 수정안에 맞서며 민심을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무소속 이인제 의원(논산·계룡·금산)은 세종시 수정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이 의원은 지난 22일 국토해양위에서도 “세종시 수정안은 원안을 백지화 하는 것이 아니고, 더 좋게 만들겠다는 의도로 제출된 것 아니냐”며 “원안대로 하면 1만 명 정도의 공무원 중 상당수는 수도권 등에서 출퇴근 하게 될 것”이라며 수정안에 대한 찬성 입장을 밝혔다.
또 수정안에 대한 표결에서도 친이(친 이명박)계를 제외한 의원 가운데 유일하게 찬성표를 던졌다.
충북 제천·단양이 지역구인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은 세종시 수정 반대 입장을 피력해 왔다.
친박(친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송 의원은 그동안 수정 입장이 많은 당내에서 반대의 목소리를 분명히 해 왔다. 특히 친박계로 분류되는 그는 세종시 수정안을 다루는 국토해양위의 위원장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송 의원은 22일 수정안 표결에서 ‘기권’에 표를 던졌다. 국토해양위 위원장이라는 직책을 수행하기 위해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세종시 수정안이 지난 2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 부결되는 등 논란이 종착역을 향해 달리고 있다는 점에서 세종시 문제가 종결되면 이들의 정치적 평가도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충남 공주 출신의 정 총리는 세종시 수정 논란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정 총리는 총리 지명 발표 당일인 지난해 9월 3일 “세종시는 경제학자의 눈으로 볼 때 효율적인 모습은 아니다. 원점으로 돌릴 수는 없지만 원안대로 추진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세종시를 소용돌이로 빠뜨렸다.
이후 12차례에 걸친 충청지역 방문 등 정면 승부를 택하면서 ‘세종시 총리’라는 비아냥거림을 들으면서 ‘수정론’의 총책임자 역할을 자임해 왔다.
국회 국토위의 수정안 부결 후에도 정 총리는 “세종시는 국회법에 따라 전체 의원의 뜻을 물어야 한다”며 본회의 부의를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 총리는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으로부터 세종시 수정 논란 종식과 함께 퇴진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으며, 고향인 충청권에서조차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아야하는 처지에 놓였다.
충남 청양이 고향인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세종시 수정의 실무 책임자 역할을 담당해 왔다. 세종시 건설의 최종 결재자 위치인 정 장관은 그동안 수정안의 장점을 중점 강조해 왔으며, 지난 22일 국토해양위에 참석해서도 “수정안이 부결되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설치 지역도) 원점에서 재검토돼야 한다”고 밝혀 충청권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정 장관의 경우 그동안 국회의원 선거나 지방선거 등이 있을 때마다 유력한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등 충청을 이끌 정치인으로 지목돼 왔다. 그러나 세종시 논란 과정에서 보여준 그의 행보는 정치 이력에 오점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 출신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주어진 위치나 직책으로 인해 ‘수정안 찬성’의 길을 걸었다면 정치인들은 이해관계나 신념, 판단에 따라 각자의 길을 선택했다.
우선 충청권을 기반으로 둔 선진당 국회의원들과 민주당 양승조 의원(천안갑) 등 충남에 근거를 둔 의원들은 세종시 논란 이후 ‘원안 사수’를 위해 정치 운명을 건 치열한 전쟁(?)을 벌여온 것이 사실이다.
세종시 논란이 극에 달했던 지난 1월 선진당 류근찬(보령·서천), 김낙성(당진), 임영호(대전 동구), 이상민(유성), 김창수(대덕) 의원 등 5명은 원안사수를 위해 삭발을 마다하지 않았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도 지난 2월, 22일간의 단식 투쟁으로 수정안에 맞서며 민심을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무소속 이인제 의원(논산·계룡·금산)은 세종시 수정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이 의원은 지난 22일 국토해양위에서도 “세종시 수정안은 원안을 백지화 하는 것이 아니고, 더 좋게 만들겠다는 의도로 제출된 것 아니냐”며 “원안대로 하면 1만 명 정도의 공무원 중 상당수는 수도권 등에서 출퇴근 하게 될 것”이라며 수정안에 대한 찬성 입장을 밝혔다.
또 수정안에 대한 표결에서도 친이(친 이명박)계를 제외한 의원 가운데 유일하게 찬성표를 던졌다.
충북 제천·단양이 지역구인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은 세종시 수정 반대 입장을 피력해 왔다.
친박(친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송 의원은 그동안 수정 입장이 많은 당내에서 반대의 목소리를 분명히 해 왔다. 특히 친박계로 분류되는 그는 세종시 수정안을 다루는 국토해양위의 위원장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송 의원은 22일 수정안 표결에서 ‘기권’에 표를 던졌다. 국토해양위 위원장이라는 직책을 수행하기 위해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