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충남도청이 2012년 홍성·예산으로 이전하게 됨으로써 도청 청사 활용 방안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대전시 중구 선화동에 위치한 현재의 충남도청사. 충청투데이DB | ||
충남도청 활용방안을 두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대전시가 입장 차를 보이며 느림보 걸음을 걷고 있는 난국에서 기초자치단체장의 입김이 과연 그 힘을 발휘할 수 있을 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현재 충남도청 활용방안에 있어 대전시는 ‘국립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문광부는 ‘국립시설은 절대 불가하다’고 주장, 양 기관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활용 용도에 있어 방향은 같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결국 재원이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 난국에 박 구청장이 특별한 구상·대책없이 시가 추진하는 복합문화공간 조성안 내에 특수대학 유치를 내세워 치적용으로 ‘슬쩍 묻어가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박 구청장 당선인은 “특수대학을 유치해 원도심을 젊음의 거리로 만들어 제2의 도심공동화를 막겠다”고 피력한 바 있다.
또 ‘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인에게 의견 전달을 하고 긍정적인 대답을 얻어냈다’ 라는 점을 큰 성과로 자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박 구청장 당선인은 “대전 13개 대학 문화예술학관련 교양과목을 특수대학에 개설, 중구지역에 젊은이들이 운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권까지 살리겠다”며 “염시장 당선인에게 의견을 전해 긍정적인 대답을 얻었냈으니 서로가 공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특수대학 유치 구상에 대해서는 “차근차근 연구 용역을 줘서 방안을 모색한다기 보다 시의 의견을 참작해서 추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수대학 유치에 대한 공약 실행 의지에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대목이다.
다만, 중구청 관계공무원들이 박 구청장 당선인의 공약을 의식해 작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 전부다.
중구 관계자는 “당선인 공약으로 기획실내에 ‘특수대학 유치’ 관리자를 배정할 계획이다. 윤곽은 정확히 잡혀있지 않고 당선인에게 일단 보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립으로 결정 된다면 당장 1000억 원이 넘는 부지를 매입해야 하는 등 재정적으로 신경쓸 부분이 많은데 특수대학 문제까지 관심이 이어 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시는 문광부의 긍정적 대답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