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2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지역 금융소외자의 연체대출금은 7조 4595억 원으로 전년(6조 6720억 원) 대비 11.8% 급증했다.
반면 지난해 말 현재 대전·충남지역 금융소외자에 대한 대출은 8조 3266억 원으로 전년(9조 7018억 원) 대비 14.2%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이는 금융기관이 금융위기 이후 보수적 경영을 통해 우량 신용등급자에 대한 대출은 늘리는 반면 저신용등급자에 대한 대출은 크게 줄인 데 기인한다.
실제 지난해 대전·충남지역 금융기관의 우량 신용등급자에 대한 대출은 전년 21조 3816억 원에서 24조 5846억 원으로 15% 확대됐지만, 저 신용등급자에 대한 대출은 오히려 14.2% 축소됐다. 같은 기간 지역의 금융소외자는 45만 1000명에서 42만 3000명으로 줄었다.
그러나 지역의 전체 금융기관 이용자 중 금융소외자 비율은 26.3%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충남지역의 금융소외자 증가율은 과거 수년간 전국기준 증가율을 상당폭 상회했으며, 이는 특히 지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영세 자영업의 휴폐업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한은은 판단했다.
또 지역의 연령대별 금융소외자는 30~40대가 전체의 57.3%를 차지했고, 이 가운데 30대 이하 연령층의 금융소외자 비중이 전국보다 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기관의 금융소외자에 대한 대출은 금융기관의 리스크관리 강화와 감독당국의 은행에 대한 예대율 규제 등으로 계속 제한될 것으로 전망이다.
한은 관계자는 “현재 시행중인 금융소외자에 대한 다양한 금융지원 제도가 실효성있게 운용되야 한다”며 “현재의 경기회복 추세가 고용확대와 자영업 회복 등으로 이어져 조기에 금융소외자의 신용회복이 이루어지도록 서민친화적 경제정책운용이 지속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