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효 시장이 이끈 민선 4기 대전시는 '변화와 혁신'이라는 시대적 흐름속에서 화려하지는 않지만 각 분야별 최고의 성과를 이뤘다.
정통 행정관료 출신으로 사회복지, 환경, 교통, 경제 등 시정 각 분야를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히 챙겼던 박 시장의 업무 스타일이 그대로 반영돼 내실을 충실히 다지고,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모색한 시기로 볼 수 있다.
대전의 사례를 세계적 복지모델로 발전시킨 '무지개 프로젝트 사업', '목척교 르네상스 사업', '보문산 아쿠아월드 조성 사업', 56년만의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 등으로 대전시민 삶의 질을 한 단계 올렸다.
박 시장은 또 고속철도변 정비사업, 대학가 주변의 캠퍼스 타운 조성, 신탄진 프로젝트 등 '원도심 U-턴 프로젝트'를 추진해 둔산 신도심 조성 후 낙후됐던 원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특히 홍명상가를 35년 만에 철거하고, 옛 목척교 정비·복원사업을 추진하면서 정부의 4대강 살리기와 연계한 3대 하천 정비 사업은 공익과 시민을 향한 박 시장의 진정성의 결실로 최대 치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도시철도와 시내버스를 연계한 대중교통 환승제 도입, 오-월드·한밭수목원 조성과 대전문화재단의 설립 및 문화예술 지원, 대전컨벤션센터 개관과 MICE 산업에 대한 전략 육성 등은 민선 4기 대전시와 시민들의 아름다운 동행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지난 2006년 취임과 동시에 야심차게 추진한 '30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은 숫자에 연연한 무리한 식재와 함께 시내 주요 도로에 세운 나무심기용 중앙분리대, 자전거 도로 조성 사업 등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채 '밀어붙이기식 행정가'라는 비난을 스스로 자초했다. 무엇보다 자기부상열차, 로봇랜드,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국책사업의 잇단 유치 실패와 엑스포과학공원 강제청산 명령 이후 엑스포재창조 사업의 답보 상태는 시민들에게 큰 실망감과 좌절감을 안겼다.
박 시장은 자신을 '행정의 달인'으로 표현할 만큼 행정에는 자신감을 보였지만 정치적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 시점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지역의 미래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 채 지난 4년을 마무리했다. 결국 민선 4기의 공과 과는 모두 민선 5기가 안고 가야하며, 대전의 미래를 책임질 사업발굴도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될 전망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정통 행정관료 출신으로 사회복지, 환경, 교통, 경제 등 시정 각 분야를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히 챙겼던 박 시장의 업무 스타일이 그대로 반영돼 내실을 충실히 다지고,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모색한 시기로 볼 수 있다.
대전의 사례를 세계적 복지모델로 발전시킨 '무지개 프로젝트 사업', '목척교 르네상스 사업', '보문산 아쿠아월드 조성 사업', 56년만의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 등으로 대전시민 삶의 질을 한 단계 올렸다.
박 시장은 또 고속철도변 정비사업, 대학가 주변의 캠퍼스 타운 조성, 신탄진 프로젝트 등 '원도심 U-턴 프로젝트'를 추진해 둔산 신도심 조성 후 낙후됐던 원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특히 홍명상가를 35년 만에 철거하고, 옛 목척교 정비·복원사업을 추진하면서 정부의 4대강 살리기와 연계한 3대 하천 정비 사업은 공익과 시민을 향한 박 시장의 진정성의 결실로 최대 치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도시철도와 시내버스를 연계한 대중교통 환승제 도입, 오-월드·한밭수목원 조성과 대전문화재단의 설립 및 문화예술 지원, 대전컨벤션센터 개관과 MICE 산업에 대한 전략 육성 등은 민선 4기 대전시와 시민들의 아름다운 동행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지난 2006년 취임과 동시에 야심차게 추진한 '30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은 숫자에 연연한 무리한 식재와 함께 시내 주요 도로에 세운 나무심기용 중앙분리대, 자전거 도로 조성 사업 등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채 '밀어붙이기식 행정가'라는 비난을 스스로 자초했다. 무엇보다 자기부상열차, 로봇랜드,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국책사업의 잇단 유치 실패와 엑스포과학공원 강제청산 명령 이후 엑스포재창조 사업의 답보 상태는 시민들에게 큰 실망감과 좌절감을 안겼다.
박 시장은 자신을 '행정의 달인'으로 표현할 만큼 행정에는 자신감을 보였지만 정치적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 시점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지역의 미래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 채 지난 4년을 마무리했다. 결국 민선 4기의 공과 과는 모두 민선 5기가 안고 가야하며, 대전의 미래를 책임질 사업발굴도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될 전망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