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에 당선된 단체장들이 청주·청원통합 추진을 약속한 가운데 2014년 중앙정부의 계획에 맞추는 것보다 더 적극적인 노력으로 2012년에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 등도 2012년 통합 마무리를 목표로 하고 있어 향후 추진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한국지역정책연구소와 충북대 사회과학연구소는 17일 대학 사회과학대 세미나실에서 '청주·청원 상생발전 방안 모색'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선 배정환 한서대 교수와 전찬주 충북대 교수는 "청주·청원통합에 대한 긍정적 환경변화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2014년이라는 중앙정부의 계획에 맞추는 것보다 더 적극적인 통합노력을 통해 더 많은 인센티브 확보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2010년 6월을 기준으로 가능한 빠른 통합을 전제로 2012년 통합작업을 마무하는 단계별 실천방안을 제시했다.

이들은 첫 번째 단계로 "청주·청원통합 작업에 앞서 양 지역 단체장 당선자 및 지방의회는 현재 통합에 대한 필요성 인지 등 분위기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다소 불명확한 입장보다는 추진일정과 계획 등이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적 측면에서 실용적인 사업개선 및 청주와 청원이 독자적으로 추진했던 사업 간 대안적 사업조정을 진행하는 조정 단계를 거쳐 청주·청원의 자원을 공유하고 이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는 방안을 모색하는 협동단계를 밟는다면 지역주민이 통합 필요성을 직접적으로 느끼는 기회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지역학계를 중심으로 2012년 총선과 시기를 같이해 청주·청원통합을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는 주장이 제기되자 일제히 청주·청원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 한범덕 청주시장 당선자, 이종윤 청원군수 당선자 등의 향후 행보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시종 당선자의 경우 청주·청원통합을 민선5기 핵심과제로 선정하고 '청주·청원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해 2012년까지 통합작업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나 통합의 키를 쥐고 있는 한범덕 당선자와 이종윤 당선자는 '통합추진협의기구' 구성에 동의하면서도 시기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이와 관련 엄태석 서원대 정치행정학과 교수는 "그동안의 실패에서 알 수 있듯이 통합을 위해선 자치단체장, 국회의원 그리고 지역정치인들과 지역시민단체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