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7일 “주택가격의 안정 기조는 지속돼야 한다”면서 “앞으로 정부 정책은 실수요자를 배려해 거래 불편을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투기 목적으로 주택을 사던 시대는 지났다”면서 “이제 주택은 투기 목적이 아닌 주거 목적이라는 큰 흐름에 맞춰가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정부는 정책을 실수요자 위주로 세심하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면서 “이사를 가고 싶어도 집이 팔리지 않아 불편을 겪거나 전셋값이 올라 어려움을 겪는 선의의 실수요자들을 살필 수 있도록 주거 안정 측면에서 정책을 검토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같은 언급은 주택 경기가 침체됐다고 총부채상환비율(DTI) 한도 폐지 같은 급격하고도 인위적인 부양책을 쓰는 것은 소망스럽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1주택 소유자의 거래 불편이나 전세가격 급등으로 인한 서민 불편이 없도록 정부의 정책 보완이 절실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은 이와 관련, “대통령의 발언은 이제 투기적 주택 거래를 방지하고 실수요적 거래를 정상적으로 이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뜻”이라며 “다만 이 과정에서 실수요자들의 선의의 불편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이를 정책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지 검토를 지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건설 경기에 편승해 무책임하게 주택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많은 이들에게 부담을 준 데 대해 도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관계부처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나인문 기자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투기 목적으로 주택을 사던 시대는 지났다”면서 “이제 주택은 투기 목적이 아닌 주거 목적이라는 큰 흐름에 맞춰가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정부는 정책을 실수요자 위주로 세심하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면서 “이사를 가고 싶어도 집이 팔리지 않아 불편을 겪거나 전셋값이 올라 어려움을 겪는 선의의 실수요자들을 살필 수 있도록 주거 안정 측면에서 정책을 검토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같은 언급은 주택 경기가 침체됐다고 총부채상환비율(DTI) 한도 폐지 같은 급격하고도 인위적인 부양책을 쓰는 것은 소망스럽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1주택 소유자의 거래 불편이나 전세가격 급등으로 인한 서민 불편이 없도록 정부의 정책 보완이 절실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은 이와 관련, “대통령의 발언은 이제 투기적 주택 거래를 방지하고 실수요적 거래를 정상적으로 이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뜻”이라며 “다만 이 과정에서 실수요자들의 선의의 불편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이를 정책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지 검토를 지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건설 경기에 편승해 무책임하게 주택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많은 이들에게 부담을 준 데 대해 도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관계부처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나인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