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82개 법정 전염병 중 매년 환자수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사망자 또한 가장 많은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홍보 및 치료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됐다.

이 같은 지적은 16~17일 예산 덕산스파캐슬에서 대전·충남 보건소 관계자를 비롯해 질병관리본부·대한결핵협회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결핵퇴치 워크숍’에서 제기됐다.

이날 전문가들은 “결핵의 위험성을 국민 상당수가 모르고 있다”고 지적하고 대책마련의 시급성을 공유했다.

실제 지난해 전국의 결핵환자 발생자 수는 3만 5845명으로 전년대비 1688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의 경우 지난해 1200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학교 및 사회복지시설 등 소집단에서 지속적으로 발생건수가 늘고 있다.

김현규 도 보건행정과장은 이날 ‘결핵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환자 조기발견을 위한 학교 및 사회복지시설 등 소집단 검진을 강화하고, 2012년까지 영·유아의 BCG(결핵예방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해 무료 예방접종을 민간 병·의원까지 확대 실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또 “피로감, 식욕감퇴, 체중감소, 기침·가래와 함께 흉통 등의 증세가 지속될 경우 꼭 병원을 방문해 진찰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