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충북지역 4대강살리기 사업이 6·2지방선거 이후 쟁점화가 되고있어 앞으로의 사업 추진 계획의 행보가 주목 되고 있다. 사진은 충주시 가금면의 4대강 살리기 공사구간의 모습이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충북도에 따르면 4대강 살리기 사업 도내 사업물량은 7개 사업 382건, 21조 3748억 원으로 한강수계 104.18㎞ 10건 8893억 원, 금강수계 156.82㎞ 232건 1조 4855억 원이 투입된다.
이중 4대강 본류하천사업은 15건 4718억 원, 지류하천 정비사업은 41건 6687억 원 등이다.
도는 지난해 6월 이같은 4대강 살리기 사업 마스터플랜을 확정하고 올해 본류하천 4건에 대해 공사를 시작했다.
또, 올 연말까지 68건에 458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같이 충북 북부지역의 한강수계와 중남부지역 금강수계에 대한 4대강 사업이 본격화된 가운데 민선5기를 이끌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가 반대의사를 밝혔다.
여기에 청와대가 지역주민과 지자체가 반대할 경우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밝혀 충북의 4대강사업 지속적인 추진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이와관련, 민선5기 충북도정 정책기획단 관계자는 “충북지역에서 추진되고 있고, 계획돼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해 좀더 검토해봐야 하겠지만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당선자가 밝혔듯이 대운하를 전제로한 대규모 준설이나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 설치 등 이수와 관련된 부분을 반대하는 것”이라며 “충북의 한강수계와 금강수계에서 추진되고 있거나 설계된 것을 볼 때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4대강살리기사업과 관련해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는 “보설치와 준설을 위한 이치는 반대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치수사업은 찬성한다”고 밝힌바 있다.
이 당선자의 이같은 4대강 살리기사업 입장에 따라 충북지역 한강과 금강의 보설치구간과 준설구간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당선자는 지난 15일 충북도내 4대강 사업 중 유일하게 보가 설치되는 청원군 미호천과 청주 무심천 합수지점 현장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이 당선자는 충북도청의 업무보를 받고 “환경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단체 등과 조율해 검토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 당선자는 미호천 4대강 살리기 사업 현장에서 업무보고와 현장상황을 살펴본 후 기존 보를 개량해 가동보로 설치하는 것에 대해 타당성이 있음을 시사했다”며 “개량형 보를 설치할 경우 기존 보의 높이가 35㎝ 높아지면서 환경단체가 생태계 파괴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율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강수계 4대강 사업 구간 중 충주 조정지댐과 경기도 경계지점 26.8㎞구간에 대한 준설작업의 경우 샛강을 만드는 사업으로 준설토가 많지 않아 민선5기 충북도정 정책기획단과 충북도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책기획단의 또다른 관계자는 “4대강 사업에 대해 큰 틀에는 변화가 없을 수도 있으나 다소의 설계변경을 통한 일부 사업추진의 변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