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재창조 사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이 사업은 그 동안 지역의 최대 PF사업으로 관심을 모았지만 민간사업자 공모에 신청자가 단 한 곳도 나타나지 않았고, 부동산 경기 회복도 상당 기간 늦어질 것으로 보여 현재로선 재추진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여기에 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인이 공동주택을 포함한 정주시설 허가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고, 추가 용역 및 시민의견 수렴 과정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엑스포재창조 사업은 민선 5기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대전시는 지난 2월 17일 민간사업자를 공모한 후 사업신청을 마감한 결과, 사업신청자가 전무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업자 공모 후 가진 사업설명회에서 삼성물산 등 국내 대형건설사를 포함한 90여개 기업, 170명이 참석했고, 지난 3월 응모신청 시 15개 업체가 참여 의향을 밝히는 등 공모 초반의 뜨거웠던 분위기와는 180도 다른 결과가 나온 셈이다.
시는 엑스포 재창조 사업을 그 동안 관주도의 사업방식에서 탈피, 대규모 민자 유치에 바탕을 둔 민·관 합동 PF사업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계획 아래 복합개발구역 내 정주시설 허용 및 토지대금 대물변제 납부 방식 등의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내걸었다.
또 공모기간 중 분양가상한제 해제라는 부수적인 수혜 요인까지 더해져 민간사업자 공모 성공에 대한 기대가 한층 컸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엑스포재창조 PF사업 공모가 무산된 것에 대해 시는 '부동산·건설시장의 경기 위축'과 '건설사의 신규 PF사업 참여 위축' 등을 주원인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과정에서 공동주택을 포함한 주거시설의 허용 여부가 가장 큰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대형 건설사 등을 중심으로 사업에 대한 리스크 부담 등으로 참여를 회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이번 공모사업에 대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민간사업자들의 참여 실패로 대책 마련에 부심이다.
시 관계자는 "우선 엑스포과학공원 내 추진 중인 국책사업이나 민선5기의 공약사업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에 엑스포재창조사업을 수정·보완해 향후 재공모를 추진하는 등 적정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이 사업은 그 동안 지역의 최대 PF사업으로 관심을 모았지만 민간사업자 공모에 신청자가 단 한 곳도 나타나지 않았고, 부동산 경기 회복도 상당 기간 늦어질 것으로 보여 현재로선 재추진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여기에 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인이 공동주택을 포함한 정주시설 허가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고, 추가 용역 및 시민의견 수렴 과정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엑스포재창조 사업은 민선 5기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대전시는 지난 2월 17일 민간사업자를 공모한 후 사업신청을 마감한 결과, 사업신청자가 전무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업자 공모 후 가진 사업설명회에서 삼성물산 등 국내 대형건설사를 포함한 90여개 기업, 170명이 참석했고, 지난 3월 응모신청 시 15개 업체가 참여 의향을 밝히는 등 공모 초반의 뜨거웠던 분위기와는 180도 다른 결과가 나온 셈이다.
시는 엑스포 재창조 사업을 그 동안 관주도의 사업방식에서 탈피, 대규모 민자 유치에 바탕을 둔 민·관 합동 PF사업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계획 아래 복합개발구역 내 정주시설 허용 및 토지대금 대물변제 납부 방식 등의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내걸었다.
또 공모기간 중 분양가상한제 해제라는 부수적인 수혜 요인까지 더해져 민간사업자 공모 성공에 대한 기대가 한층 컸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엑스포재창조 PF사업 공모가 무산된 것에 대해 시는 '부동산·건설시장의 경기 위축'과 '건설사의 신규 PF사업 참여 위축' 등을 주원인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과정에서 공동주택을 포함한 주거시설의 허용 여부가 가장 큰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대형 건설사 등을 중심으로 사업에 대한 리스크 부담 등으로 참여를 회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이번 공모사업에 대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민간사업자들의 참여 실패로 대책 마련에 부심이다.
시 관계자는 "우선 엑스포과학공원 내 추진 중인 국책사업이나 민선5기의 공약사업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에 엑스포재창조사업을 수정·보완해 향후 재공모를 추진하는 등 적정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