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4일 세종시 논란과 관련, 관련법안이 이미 국회에 제출돼 있는 만큼 국회가 이번 회기에 표결처리 해 줄 것을 요청해 주목된다. ▶관련기사 3·4·21면
특히 6·2 지방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을 겸허히 수용하면서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쇄신 등 국정을 일대 쇄신키로 하겠다고 밝혀 향후 정국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40대 중반에서 50대 초반의 젊은 세대를 중용하는 방안을 시사하는 한편,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유연적인 입장천명과 함께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소통’과 ‘대화’의 의지를 밝힘으로써 경색된 정국이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TV와 라디오로 생방송된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국론분열이 지속되고 지역적·정치적 균열이 심화되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세종시) 관련 법안을 국회가 이번 회기에 표결 처리해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세종시 문제가 이번 6월 임시국회에서 매듭지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나라당은 전원위원회 소집을 검토하고 있는 반면, 야권은 여권 스스로의 폐기를 주장하고 있어 이 문제를 놓고 또 한차례 여야 간 격돌이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특히 “세종시 문제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따지지 않고 국가백년대계를 생각해서, 그리고 지역발전을 위해서 더 좋은 방향으로 수정을 추진한 것이다”며 “정부는 국회가 표결로 내린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6·2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향후 쇄신과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청와대와 내각의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개편하는 한편 준비가 되는대로 새로운 진용도 갖추겠다”고 인적 쇄신 의사를 시사했다.
이와 관련, 당내에서 일고 있는 ‘여권 세대교체론’ 등에 힘을 싣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더 많이 토론하고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할 것이다. 4대강 수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의견도 다시한번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입장은 야당이 반대하는 주요 정책현안에 대해서는 과감히 재검토 내지 수정·보완하고, 한나라당 쇄신요구도 적극 수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특히 6·2 지방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을 겸허히 수용하면서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쇄신 등 국정을 일대 쇄신키로 하겠다고 밝혀 향후 정국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40대 중반에서 50대 초반의 젊은 세대를 중용하는 방안을 시사하는 한편,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유연적인 입장천명과 함께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소통’과 ‘대화’의 의지를 밝힘으로써 경색된 정국이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TV와 라디오로 생방송된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국론분열이 지속되고 지역적·정치적 균열이 심화되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세종시) 관련 법안을 국회가 이번 회기에 표결 처리해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세종시 문제가 이번 6월 임시국회에서 매듭지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나라당은 전원위원회 소집을 검토하고 있는 반면, 야권은 여권 스스로의 폐기를 주장하고 있어 이 문제를 놓고 또 한차례 여야 간 격돌이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특히 “세종시 문제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따지지 않고 국가백년대계를 생각해서, 그리고 지역발전을 위해서 더 좋은 방향으로 수정을 추진한 것이다”며 “정부는 국회가 표결로 내린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6·2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향후 쇄신과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청와대와 내각의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개편하는 한편 준비가 되는대로 새로운 진용도 갖추겠다”고 인적 쇄신 의사를 시사했다.
이와 관련, 당내에서 일고 있는 ‘여권 세대교체론’ 등에 힘을 싣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더 많이 토론하고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할 것이다. 4대강 수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의견도 다시한번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입장은 야당이 반대하는 주요 정책현안에 대해서는 과감히 재검토 내지 수정·보완하고, 한나라당 쇄신요구도 적극 수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