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 10년이 넘도록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는 청주국제공항이 민영화 시범공항으로 선정돼 민영화가 추진중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올해 안에 청주국제공항의 민영화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는 민영화 중단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 당선자는 “청주국제공항 민영화는 당초 공항 활성화가 아닌 공기업인 한국공항공사의 구조조정 때문이었다”며 “적자운영상태인 청주공항을 민영화해도 몇 년 못가서 적자에 허덕이다가 인천공항철도처럼 다시 공기업에 떠맡겨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당선자는 지난해 정부의 청주국제공항 민영화 추진이 가시화되면서부터 반대했다. 이 당선자는 적자운영 지방공항은 흑자전환시까지 정부가 운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당선자는 지난해 10월 국회의원 시절 국정감사에서 해외 공항의 민영화 실패사례를 들며 중단을 요구한바 있다. 충북도와 한국공항공사측은 당시 이 당선자가 제시했던 해외사례 등에 대해 자료를 통해 조목조목 반박했었다.

또 한국공항공사는 “공항안전시설 등 기본시설 투자는 현행대로 정부가 추진한다는 원칙이며, 민영화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었다.

10여년이 넘도록 자구노력을 기울여왔던 이용객 증대를 통한 흑자전환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궁여지책으로 민영화라는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일단 이 당선자가 중단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토해양부가 추진하고 있는 청주국제공항 민영화 중단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민영화 이외에 청주공항 활성화 일환으로 추진중인 항공기정비센터(MRO)는 충북도가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투자유치작업을 벌여왔다.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 2월 충북방문당시 적극 지원을 약속한바 있다. 하지만 현재 MRO 유치의 경우 일부 지방공항과 유치경쟁을 하고 있어 민선5기에 적극적인 유치노력이 필요하다.

또 민영화와 관련해 충북도가 정부에 건의한 활성화 방안이 시행될지 여부도 주목된다. 충북은 중부권 거점 국제공항 위상 제고, 저비용항공사 모기지화, 활주로 4000m 연장, 천안~청주공항간 수도권 전철연장, 백두산 여행 전문공항 지정, 공항 북측 진입도로 개설, 편의시설 확충, 항공기정비센터 조성 등을 요청한바 있다.

도는 청주국제공항의 저비용항공사 모지기화를 위해 오사카 등 일본 노선과 중국 연길노선 개설 등을 건의했다. 하지만 국토해양부가 김포~오사카간 저비용항공 국제노선 운항을 허용하는 등 여타 지방공항의 저비용항공 국제노선 개설로 청주공항 모기지화 건의를 무색케했다.

이밖에 청주국제공항 이용객 증대 등 활성화 방안의 일환 중 하나인 수도권 전철 연장 운행의 조기 실천여부다.

이 당선자도 이번 선거에서 공약으로 내세웠던 수도권 전철 연장은 민선4기 핵심지역현안으로 추진돼 왔었다.

이명박 대통령도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 전철의 천안~청주국제공항 연장 건의에 대해 지원을 약속해 전망을 밝게 했었다.

하지만 야당 도지사가 이끄는 민선5기 핵심현안사업이 될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각종 사업들이 순조롭게 추진될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