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청주시정을 책임질 한범덕 당선자는 14일부터 5일간 주요 현안사업을 보고받는다. 특히 한 당선자는 이 자리에 대학교수 등 전문가를 동석시켜 보다 전문적인 검토를 벌일 예정이다. 민선4기 동안 추진돼왔던 주요현안에 대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내비치는 대목이다. 이에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민선4기 주요현안을 중심으로 추진현황, 예상되는 변화 등을 전망해 본다.

민선4기 청주시 대표 역점사업이자 경제정책의 축이 바로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 사업이다.

청주시와 ㈜신영, 산업은행 등이 컨소시엄으로 총사업비 1조2087억 원을 들여 흥덕구 향정동, 외북동, 송절동 일대 334만9000여㎡에 추진할 예정인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은 오는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와 전 세계적인 경제난으로 인해 산업은행 등 금융권 PF(프로젝트파이낸싱)가 중단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게다가 4대강사업으로의 금융권 자금 집중은 테크노폴리스 조성 사업비 조기확보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올 초만 해도 5~6월 중 PF자금조달이 확정되면 곧바로 보상작업에 착수해 10월중 분양 및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었으나 현 상황으론 연내 PF자금조달 조차 확신하기 어려운 상태다.

결국 사업추진의 향배가 민선5기의 몫으로 모두 넘어가게 됐다. 행정의 연속성도 중요하지만 자치단체장이 바뀌면 새로운 단체장의 생각이 정책 중심에 서기 마련이기 때문에 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 또한 지속 추진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

다만 한범덕 당선자 또한 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에 대한 착상에 동조하는 입장이어서 지속 추진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 당선자는 당선 전후 공식석상에서 줄곧 "지역내 산업단지가 청주산단만으로는 부족해 오창·오송과 연계되는 첨단과학단지가 필요하다"며 "이같은 관점에서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은 필요한 사업"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한 당선자의 소속당인 민주당의 정책 기조인 '세종시 원안 사수'와도 맥을 같이 한다는 것이다.

세종시 수정안에 따라 세종시로 입주하게 될 대기업의 중소협력업체를 인근 지방산단으로 분산토록 할 경우 청주테크노폴리스 또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있지만 제한적인 유치는 실익이 없다는 게 한 당선자의 판단이다.

실제 한 당선자는 당선 직후 지역방송에 출연해 "세종시가 행정중심도시가 아닌 경제중심도시로 바뀐다면 청주테크노폴리스에 들어올 수 있는 기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세종시 원안을 지키는 문제와 연결시켜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한 당선자는 또 "취임 즉시 PF자금조달과 기업유치를 위한 작업을 위해 여러 가지 정비사업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는 여야를 떠나 청주시민 모두가 힘을 합쳐 풀어나가야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청주테크노폴리스 자산관리 관계자는 "금융권 PF자금조달 문제는 비단 테크노폴리스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전망을 내놓기는 어렵지만 한 당선자가 이 사업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수차례 피력함에 따라 사업 원안 추진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