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지역 아파트 시세 결정 기준이 애매해져 거래가 더욱 힘들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이어지고 있다.

아파트 거래가 이뤄지지 않다보니 국토해양부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결정되던 아파트 시세판단이 모호, 팔려는 사람과 사려는 사람의 가격 격차가 점차 벌어져 거래가 더욱 힘든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것.

8일 대전지역 아파트 총 638개에 대한 국토해양부의 아파트 실거래가를 조사한 결과 절반이 훌쩍 뛰어 넘는 375개(58.7%) 아파트가 지난 4월 한달간 매매건수가 전무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별로 살펴보면 서구가 183개 아파트 가운데 96개(52%), 유성구 133개 가운데 73개(54%), 동구 98개 가운데 58개(59%), 중구 110개 가운데 74개(67%), 대덕구 114개 가운데 74개(65%)가 실거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거래된 아파트들조차도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들로 중·대형 아파트 거래는 전무, 전국 부동산 경기 전반에 불고 있는 매매 실종 현상이 대전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매매 실종 아파트들은 지난 5월도 비슷한 상황으로 파악돼 언제 매매가 진행될지 몰라 문제가 심각하다.

이 같은 거래 단절 현상은 매매가 산정을 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져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의 가격격차로 인한 감정대립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실제 중구 A아파트를 사기 위해 인근 부동산을 찾은 김 모(43)씨는 매도인과 가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의견충돌만 빚은 채 발길을 돌려야만 했다.

김 씨가 제시 받은 금액은 지난해 말 아파트 실거래로 등재된 가격보다 2000만 원이 올라간 금액으로 매도인과 타협점을 찾으려고 했지만 “아파트 가격을 떨어 뜨리려는 사람” 이라는 차가운 대접만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실거래 기준이 모호해지다 보니 매도인과 매수인을 연결해주는 중개인들만 골치아픈 상황에 놓였다. 대전지역 B 부동산 대표는 “사려는 사람들은 오르기 전 가격을 갖고 부동산에 오고 팔려고 하는 사람은 현재 시세를 다각도로 판단해 매매가를 정하는 통에 그 둘을 중재하는 중개인들만 죽을 맛”이라며 “최근 아파트 실거래가 이뤄지지 않다보니 가격산정 기준이 모호해져 중재하는데도 한계에 부딪힐 때가 많다”고 하소연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중·소형대 아파트 위주로 이뤄지고 있는 소량의 매매마저 끊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