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를 비롯한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이 정부가 추진중인 4대강 사업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 4대강 살리기 금강 10공구(미호2지구) 현장에서는 토목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이런 가운데 지역건설사들의 권익단체인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회장 김경배)가 대응을 하지 않아 비난을 받고 있다.
대운하 사업추진 초기 야당과 환경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침체된 지역건설업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며 적극 환영의사를 밝혔던 것과 사뭇 다른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협회 임원들의 이시종 충북지사 당선자에 대한 눈치보기라는 비판도 일고 있다.
8일 충북도에 따르면 도가 시행한 4대강 사업은 현재 5곳으로, 이 가운데 청주 상당구 외남동~청원군 강외면 동평리 일원 금강 10공구(미호천 일대) 사업이 12~13%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이 사업구간의 경우 도에서 발주한 4대강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큰 530억 원대의 공사로 도내 건설사인 일진건설㈜이 49%, 경기도의 ㈜오렌지이엔지가 51%의 지분으로 참여했다.
이와 함께 나머지 한강 8공구와 한강 15공구, 한강 16공구, 금강 8-1공구 등도 도내 기업들 중 6곳이 단독으로 수주하거나 공동 도급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지난 3월부터 실시한 4대강 관련 지자체 이관 사업들에 대해 충청권 광역단체장 당선자들이 자신들의 권한을 총동원해 4대강 사업 중지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일부 사업의 변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자 관련 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이시종 충북지사 당선자가 선거 공약을 통해 4대강 사업을 환경파괴의 주범이라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자 도 실무관계자들이 벌써부터 재검토에 착수하는 등 긴박하게 대책마련을 세우고 있는 데 반해 충북건설협회는 ‘꿀먹은 벙어리’처럼 침묵, 회원업체들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민주당은 7일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해 진보성향 후보가 당선된 지방자체단체 인수위원회 차원에서 특별위원회를 구성, 4대강 사업을 재검토하고 지자체 예산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앞서 이시종 지사 당선자는 지난 4일 “4대강 사업은 대규모 보 설치와 준설작업을 피하면서 소하천과 지류를 정비하는 쪽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도 선거운동 기간 동안 4대강 사업은 환경을 훼손하고 지방재정을 파탄 내는 사업이기 때문에 예산 20조 원 중 수질개선 사업 등 1조 원만 인정하고 나머지는 사회복지 투자로 전환할 것을 밝혔다.
이처럼 충북을 비롯한 야권 광역단체장들이 한 목소리로 4대강 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한 데다 자치단체 차원에서 제지할 것으로 보여 관련업체가 긴장하고 있으나 이들 업체를 대변할 충북건설협회는 이렇다할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당장 4대강 사업과 관련해 지역 광역단체장들이 준설허가나 지원을 해주지 않을 것으로 우려되면서 공사에 참여한 업체들이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다”며 “하지만 협회가 이에 대한 대책이나 해결방안 등을 내놓지 않고 있어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북건설협회 관계자는 “아직 광역단체장이 취임을 하거나 이렇다 할 방침을 내놓지 않은 상태에서 굳이 먼저 입장을 보일 필요는 없다”며 “도에서 시행한 4대강 사업은 이미 발주가 끝났기 때문에 추이를 지켜보고 대책마련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