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충남 태안 서부시장에서 방화로 추정되는 대형화재가 발생하면서 화재에 취약한 재래시장 문제가 또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대전지역의 재래시장 역시 화재 시 대형참사로 이어질 우려가 크지만 이렇다 할 예방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전지역 대표 재래시장인 동구 중동 중앙시장은 30년이 넘은 낡은 건물이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고, 난전 등을 포함해 443개 점포가 운영 중이다.
음식을 파는 점포나 난전은 하루 온종일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상점 내에는 조명과 선풍기 등 각종 전기선이 이리저리 뒤엉켜 누전에 의한 화재 위험마저 도사리고 있다.
사람이 지나는 통로는 점포 앞에 진열한 상품들과 난전들이 얽혀 한 명이 간신히 지나갈 정도로 비좁았다. 또 날씨가 추워지면 상점마다 석유·전기난로, 전기장판 등을 사용하면서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상인회 관계자는 "얼마 전에도 몇 차례 화재가 발생했는데 가까스로 불을 껐다"며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은 알고 있지만 영세한 상인이 많아 돈을 낼 형편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태안 서부시장 화재도 이런 재래시장 문제가 화를 키웠지만 영세한 상인들 입장에서 시설현대화 등에 투자할 엄두를 못 내고 있다.
대전시에서도 열악한 재래시장 여건 개선을 위해 지난해 151억 원, 올해 160억 원을 들여 현대화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정부 60%, 시·구비 30%, 상인회가 10%를 구조로 사업 규모에 따라 많게는 수천만 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상인들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그나마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재래시장은 상인 수가 많아 다행이지만 규모가 작은 시장은 엄두도 낼 수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시에서 추진하는 현대화사업도 화재예방을 위한 취약시설 개선보다 소비자들의 이용 편의를 위한 주차장이나 화장실, 비가림막 설치 등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대전지역 재래시장 31곳 가운데 시설 현대화 사업이 추진된 곳은 23곳이 이르지만 모두 주차장이나 화장실 개선 등에만 그쳤고, 화재 시 필요한 소방시설 보수나 단전 등의 위험을 줄이는 지중화 사업은 5곳에 불과했다.
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 재래시장을 제외하면 CCTV나 자체 감시 인력이 없어 방화나 야간화재 시 취약하다는 게 소방 관계자들의 말이다.
소방 관계자는 "재래시장을 화재 취약지역으로 분류해 특별관리하고 있지만 특성 상 오래된 건물과 밀집한 점포로 화재 시 대형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지속적인 소방시설 점검과 순찰활동, 야간 자체 감시인력 배치 권고 등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성낙희 기자 owe@cctoday.co.kr
대전지역의 재래시장 역시 화재 시 대형참사로 이어질 우려가 크지만 이렇다 할 예방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전지역 대표 재래시장인 동구 중동 중앙시장은 30년이 넘은 낡은 건물이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고, 난전 등을 포함해 443개 점포가 운영 중이다.
음식을 파는 점포나 난전은 하루 온종일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상점 내에는 조명과 선풍기 등 각종 전기선이 이리저리 뒤엉켜 누전에 의한 화재 위험마저 도사리고 있다.
사람이 지나는 통로는 점포 앞에 진열한 상품들과 난전들이 얽혀 한 명이 간신히 지나갈 정도로 비좁았다. 또 날씨가 추워지면 상점마다 석유·전기난로, 전기장판 등을 사용하면서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상인회 관계자는 "얼마 전에도 몇 차례 화재가 발생했는데 가까스로 불을 껐다"며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은 알고 있지만 영세한 상인이 많아 돈을 낼 형편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태안 서부시장 화재도 이런 재래시장 문제가 화를 키웠지만 영세한 상인들 입장에서 시설현대화 등에 투자할 엄두를 못 내고 있다.
대전시에서도 열악한 재래시장 여건 개선을 위해 지난해 151억 원, 올해 160억 원을 들여 현대화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정부 60%, 시·구비 30%, 상인회가 10%를 구조로 사업 규모에 따라 많게는 수천만 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상인들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그나마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재래시장은 상인 수가 많아 다행이지만 규모가 작은 시장은 엄두도 낼 수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시에서 추진하는 현대화사업도 화재예방을 위한 취약시설 개선보다 소비자들의 이용 편의를 위한 주차장이나 화장실, 비가림막 설치 등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대전지역 재래시장 31곳 가운데 시설 현대화 사업이 추진된 곳은 23곳이 이르지만 모두 주차장이나 화장실 개선 등에만 그쳤고, 화재 시 필요한 소방시설 보수나 단전 등의 위험을 줄이는 지중화 사업은 5곳에 불과했다.
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 재래시장을 제외하면 CCTV나 자체 감시 인력이 없어 방화나 야간화재 시 취약하다는 게 소방 관계자들의 말이다.
소방 관계자는 "재래시장을 화재 취약지역으로 분류해 특별관리하고 있지만 특성 상 오래된 건물과 밀집한 점포로 화재 시 대형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지속적인 소방시설 점검과 순찰활동, 야간 자체 감시인력 배치 권고 등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성낙희 기자 ow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