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안신도시의 행정구역 간 경계조정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이곳은 2개 자치구에 중첩 포함되면서 서구 3개동, 유성구 10개동에 총인구 14만 6000명과 4만 2000가구가 양분될 상황에 처했지만 지자체 간 첨예한 대립 속에 행정구역 경계 조정 문제는 수년째 제자리 걸음만 걷고 있다.

7일 대전시, 서구, 유성구 등에 따르면 지난 2008년 '행정구역 조정방안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에 의거 도안신도시의 행정구역 조정안은 크게 '갑천과 계백로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 '계백로와 남북대로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2가지 안으로 도출됐다.

당시 대전발전연구원은 갑천~계백로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이뤄질 경우 유성구는 16만 3701명, 4만 7626가구, 6.09㎢의 면적이 각각 새롭게 편입돼 41만 9601명, 13만 7458가구, 183.1㎢의 면적을 포함하게 되고, 서구는 1만 7701명, 5626가구, 6.09㎢의 면적이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계백로~남북대로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이뤄질 경우 서구는 14만 6000명, 4만 2000가구, 13.17㎢의 면적이 각각 늘어나 64만 5938명, 21만 5226가구, 108.56㎢의 면적으로 변화하지만 유성구는 104명, 43가구, 0.09㎢의 면적이 각각 감소하게 된다.

이후 시는 서구와 유성구의 의견을 청취, 조율한 뒤 각 자치구 의회와 시 의회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행정안전부에 건의한다는 계획을 지난해 밝혔지만 6·2 지방선거가 끝난 6월 현재까지 "자치구 간 의견 조율이 끝나지 않았고, 이를 강제할 수단이 없다"는 이유로 민선 5기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전환했다.

유성구 측은 "서구에서 일부지역을 양보하면 유성구는 인구 30만 명으로, 국회의원 수를 2명으로 늘릴 수 있어 지역의 힘을 키울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서구 측도 "유성구는 앞으로 노은·학하·덕명 등 신규 택지개발과 도시개발사업 등으로 3~4년 안에 인구 30만 명을 무난히 달성할 수 있는 마당에 굳이 도안신도시까지 욕심내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논리다.

이에 따라 신도시 입주민들은 오는 8월 첫 입주를 앞두고, 동주민센터 등 기초행정서비스를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이며, 같은 단지에 거주하면서도 2개의 자치구로 나뉠 형편이다.

전문가들은 "행정구역 경계 조정 문제는 워낙 첨예한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다"면서 "민선5기 단체장들이 도저히 합의할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현 단체장들이 이 문제를 매듭짓고 떠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