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화지구 내 주공아파트 입주민들이 수년째 청주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를 상대로 인근 양계장의 악취 민원을 해결할 것을 촉구했지만 여전히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어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2일 성화지구 주공아파트단지 입주민들에 따르면 낮과 밤으로 아파트 문만 열면 인근 양계장에서 가축분뇨의 악취가 코를 찔러 생활을 할 수 없을 지경이라며 대책을 호소했다.
이들은 이러한 민원 발생을 고려해 지난 2005년부터 시와 당시 주공 측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5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해결 실마리를 보이지 못하고 해당 기관들이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성화동 17-10번지 일대 양계장 부지매입을 올 신규사업으로 책정하고, 시비 4억 원과 LH 충북본부가 지난해 말 주공특정재원으로 마련한 4억 원 등 모두 8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양계장 부지를 매입키로 했다.
하지만 지난 3~4월 감정평가를 통해 토지매입을 하기로 한 추진계획은 이미 기간을 넘어선 채 난항을 겪고 있어 조만간 이 일대 주민들의 집단 반발이 일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시 관계자들은 민원 발생을 우려해 양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양계장 주인에게 감정평가를 실시하지 않으면 강제수용 방침을 내비치며 위협하고 있다며 양계장 측이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양계장 주인 최 모(55) 씨는 “시 공무원들이 좋은 방향으로 해결해야 될 것을 강제 수용하겠다며 협박을 하고 있어 기가 찰 노릇”이라며 “어떻게 남의 땅을 자기들 멋대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원도 도로와 같이 최종적으로 민원해결이 되지 않으면 강제수용까지 갈 수도 있기 때문에 검토를 바란다는 의미로 말한 것으로 다소 오해가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LH충북이 민원소지가 있는 곳에 택지개발을 하면서 당시 환경영향평가서 등을 작성할 때 충분한 검토를 하지 않고 비용발생을 문제로 주민들의 불편보다는 수익내기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LH충북본부 관계자는 “당시 환경영향평가를 승인받는 과정에서는 큰 문제점이 없었던 것으로 현재 사업지 외 지역 문제로 별도의 예산책정은 힘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난해 9월 민원발생 등을 고려해서 시와 공동 부담으로 공원추진 방안을 결정했고, 4억 원의 토지보상비 일부를 지원했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2일 성화지구 주공아파트단지 입주민들에 따르면 낮과 밤으로 아파트 문만 열면 인근 양계장에서 가축분뇨의 악취가 코를 찔러 생활을 할 수 없을 지경이라며 대책을 호소했다.
이들은 이러한 민원 발생을 고려해 지난 2005년부터 시와 당시 주공 측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5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해결 실마리를 보이지 못하고 해당 기관들이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성화동 17-10번지 일대 양계장 부지매입을 올 신규사업으로 책정하고, 시비 4억 원과 LH 충북본부가 지난해 말 주공특정재원으로 마련한 4억 원 등 모두 8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양계장 부지를 매입키로 했다.
하지만 지난 3~4월 감정평가를 통해 토지매입을 하기로 한 추진계획은 이미 기간을 넘어선 채 난항을 겪고 있어 조만간 이 일대 주민들의 집단 반발이 일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시 관계자들은 민원 발생을 우려해 양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양계장 주인에게 감정평가를 실시하지 않으면 강제수용 방침을 내비치며 위협하고 있다며 양계장 측이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양계장 주인 최 모(55) 씨는 “시 공무원들이 좋은 방향으로 해결해야 될 것을 강제 수용하겠다며 협박을 하고 있어 기가 찰 노릇”이라며 “어떻게 남의 땅을 자기들 멋대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원도 도로와 같이 최종적으로 민원해결이 되지 않으면 강제수용까지 갈 수도 있기 때문에 검토를 바란다는 의미로 말한 것으로 다소 오해가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LH충북이 민원소지가 있는 곳에 택지개발을 하면서 당시 환경영향평가서 등을 작성할 때 충분한 검토를 하지 않고 비용발생을 문제로 주민들의 불편보다는 수익내기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LH충북본부 관계자는 “당시 환경영향평가를 승인받는 과정에서는 큰 문제점이 없었던 것으로 현재 사업지 외 지역 문제로 별도의 예산책정은 힘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난해 9월 민원발생 등을 고려해서 시와 공동 부담으로 공원추진 방안을 결정했고, 4억 원의 토지보상비 일부를 지원했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