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노동부의 고용보험 환급금을 활용해 시내버스의 서비스 향상과 교통사고 예방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리고 있다.

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노동부의 고용보험 환급금을 통해 시내버스 운전기사에 대한 전문 교육을 위탁, 시행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위탁교육에 따른 소요경비는 연간 7억 원으로, 국비나 시비 부담없이 노동부 산하 고용지원센터의 고용보험 환급금과 업체 자부담으로 운영된다.

대전 시내버스업계의 경우 근로자의 직업능력 교육 고용보험료로 지난해 모두 2억 8000만 원을 납부했고, 사업주는 납부액의 240%인 6억 7000만 원 한도 내에서 교육비로 다시 환급받을 수 있다.

그 동안 시내버스 업계는 늘어나는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최선책은 운전자에 대한 전문 교육이라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교육비용의 환급기준에 시내버스업이 포함되지 않았고, 휴일에 교육을 받아야 하는 업종 특성 등도 교육비 환급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해 대전고용지원센터와의 수차례 협의를 통해 교육비용 환급비용은 유사 직종 단가로 지급키로 최종 합의를 도출시켰다.

특히 시내버스 노동조합과 회사를 꾸준히 설득한 결과 사업주가 교육비용의 일부를 부담하고, 노조에서 교육비를 포기, 고용보험 환급절차를 통해 전문교육을 받을 수 있는 터전을 마련했다.

시는 이를 통해 시내버스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사·학·정간 교육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운수업계 설립 이후 최초로 임원진과 관리직 44명에 대해 14일간 장기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운전기사 1169명에 대해 우편통신원격교육을 실시했다.

또 지난 2월부터는 신규채용자와 교통사고 발생자를 대상으로 선진국형 교육프로그램인 '안전운전 체험교육'을 실시한 결과 교통사고를 66% 줄였으며, 지난달부터는 친절서비스 안내도우미를 버스에 탑승시켜 운전기사가 승객에게 인사하는 방법을 교육시키고 있다.

이날 강철구 대중교통과장은 "추가적인 예산 부담 없이 국비 지원을 통한 운수종사자 교육으로 안전운전생활화와 친절서비스 향상을 도모한 결과 교통사고를 66% 감축시켰다"며 "앞으로 시내버스 운수종사자들에 대한 교육과 인센티브제를 병행 실시해 '시내버스 친절서비스 전국 1위 도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